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11/17 20:35:10
Name ls
Subject 새로운 경쟁의 시작 - 곰TV MSL S3 결승전, 박성균 vs 김택용
박성균이 김택용을 잡아내면서 MSL 우승 트로피를 품에 안았습니다. 임-이-최-마 라인의 뒤를 이어 다섯 번째 본좌 등극 초읽기에 들어갔던 김택용의 패배가 아직까지 쉽게 믿겨지질 않는군요. 아직도 약간 멍- 합니다. 김택용이 마재윤을 완벽하게 제압했던 3.3 혁명의 날에 느꼈던, 그런 멍함이네요.

여느 때처럼 여섯시 반에 경기가 시작하는 줄로 알고 있다가 첫 번째, 두 번째 경기를 놓쳤습니다. 1:1로 동률을 이룬 상황에서 시작하는 세 번째 경기부터 보기 시작했어요. 경기를 보면서 드는 생각은 단 하나, 박성균이 토스전을 정말 잘한다더니, 그게 설레발이 아니었구나, 였습니다.

모르겠어요. 앞의 두 경기를 보지 못했기 때문에 오늘 김택용의 경기력이 어느 정도였는지는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적어도 뒤의 삼사경기만 놓고 보았을 때, 오늘의 김택용은 그냥 평범한 프로토스 유저 같아 보였습니다. 아무런 소득을 올리지 못한 파이썬의 다크 템플러, 캐리어를 여덟기나 모으고도 지상 병력 힘싸움에서 완벽하게 밀리며 다 잡은 경기를 내준 로키2까지. 특히 마지막 경기에서 상대의 정찰을 허용하고, 자꾸 움츠려들기만 하는 김택용의 모습은 참 낯설기까지 하더군요. 이게 진영수를 잡아냈던 그 자신만만한 비수가 맞나 싶을 정도로요.

그리고 당연한 이야기입니다만, 박성균은 정말로 강했습니다. 사실 김택용이 평범한 프로토스처럼 보였던 것은 그만큼 박성균이 압도적으로 그를 제압했기 때문이겠죠. 프로토스가 저그에게 대역습을 가했던 3.3 혁명의 그 날처럼, 박성균은 그야말로 실력으로 김택용을 압도하며 정말 오랜만에 MSL에서 테란의 우승을 일궈냈습니다. 그것도 로얄로더에, 최연소 우승이라는 기록까지 덤으로 세우면서 말이죠.

이번 시즌 전까지만 해도 박성균은 사실 듣도 보도 못한 수많은 프로게이머 중 한 명에 불과한 선수였습니다. MSL 32강 조지명식 때 순번도 31번이었다고 하죠. 하지만 이번 시즌 그의 행보를 되짚어보면 꽤 재미있는 길을 걸어왔음을 알 수 있습니다. 16강에서는 전전본좌인 최연성을 꺾었고, 4강에서는 전본좌인 마재윤을, 결승에서는 현재 본좌의 자리에 가장 가까이 서 있었던 선수인 김택용을 꺾었습니다. 세 선수의 종족도 각각 테란, 저그, 프로토스고요. 요즘 최연성의 포스가 다른 테란들에 비해 다소 떨어진다고 볼 수 있지만, 마재윤과 맞붙기 전까지는 줄창 테란전만 거듭하면서 올라왔던 선수인지라, 이번 시즌 하나만으로 세 종족 전이 모두 검증되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닐 겁니다.

덕분에 이번 우승으로 스타계에는 또 한 명의 초대형 신인이 등장한 셈입니다. 전 종족전을 어느 정도 검증 받은, 현재 준본좌로 인정받는 김택용을 꺾은, 최연소 로얄로더 MSL 우승자가요. 앞으로 이 선수가 어떤 포스를 뿜어낼지, 과연 김택용과 다른 쟁쟁한 선수들을 상대로 경쟁하여 마재윤의 뒤를 잇는 다섯 번째 본좌자리에 등극할 수 있을지.

이제 스타를 보는 재미가 또 하나 늘었습니다. 이래서 스타판이 재미있는 거죠.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그레이브
07/11/17 20:38
수정 아이콘
듣보잡에서 우승자로 거듭났으니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됩니다.
yellinoe
07/11/17 20:58
수정 아이콘
뭐 파이썬은 김택용선수가 늘상 경기후 인터뷰에서 하는말처럼,, " 아니다. 12시 2시는 플토에게 불리하지 않다. 6시 2시가 어렵다.." 공고룝게도 그렇게 됬네요,, 6분의1 확률이 그맵에서 발동되어부렸으니 하하.. 물론 박성균 선수는 6시 2시를 가장 힘들어 할수도 있으니 그건또 모르는 거고요,,
이젠안녕
07/11/17 21:21
수정 아이콘
1.2 경기는 괜찮은 경기력이였지만,

3경기에서 드라군의 7시 미네랄 멀티견제 플레이를 빼고는

김택용스러운 컨트롤과 플레이가 단 한번도 안나왔습니다.

캐리어 8기 보유하고서 지상병력,.. 질럿 2부대 이상. 드라군 1부대 이하.. 뭐 이런 병력구성이 있습니까?

많이 실망했습니다,

플토가 멀티가 1개정도 적어도, 로키에서 캐리어 8기띄우면 이기는게 당연시됬는데. 같은자원먹고서도 지다니 참...
발업프로브
07/11/17 21:32
수정 아이콘
김택용 선수의 경기력을 탓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3.3 혁명때도 그랬습니다. 그 날 마재윤 선수는 뭔가에 홀린 듯 평소 답지 않은 플레이를 보여줬으니까요.

상대에게 압도된다면 이미 그걸로 끝난거지요...
하늘여운
07/11/17 21:56
수정 아이콘
원래 파이썬 2시와 6시 사이의 지상 동선이 비교적 짧지 않습니까.. 입구의 위치도 그렇고.. 더블넥과 투팩의 빌드상 가위바위보에서

진거라고 할 수 있겠죠. 박성균 선수가 원팩 더블을 무난히 가져갔다면 결과는 달라졌을거라 생각합니다. 정찰을 통해 더블넥을

확인하진 못했으나 자신이 준비해온 투팩 타이밍에 맞춰 진출한 박성균 선수의 판단이 기가 막혔네요.
HoSiZoRa
07/11/17 23:36
수정 아이콘
스타리그 보면서 이렇게 온몸에 소름돋고, 떨려 본적이 3.3이래로 이번이 두번째 네요...
박성균선수 정말 잘하네요..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되는군요...
개인적으론 차기시즌에 박성균 대 송병구 선수랑 하는거 보고싶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3129 테란이라는 종족에 관한 개인적인 회고 및 고찰 [2] 럭스4829 07/12/07 4829 1
33128 3년동안 9번시즌 연속 테란 결승진출이 끝나는군요. [18] 삼삼한Stay5577 07/12/07 5577 0
33126 이제동vs신희승 온게임넷 스타리그 4강 2경기까지 끝났네요.. [67] 레미오로멘6000 07/12/07 6000 0
33123 스타크래프트 2 개발진 Q&A 23번째 [6] Tail5026 07/12/07 5026 0
33122 MBC GAME 한발더 치고 나가자. [21] 처음이란5714 07/12/07 5714 1
33121 [팬픽] 불꽃의 비상 [2] kama5199 07/12/07 5199 1
33120 캐리어의 몰락 [22] 선비테란7866 07/12/07 7866 1
33119 과연 오늘 3.3절에 버금가는 기적이 일어날것인지.. [62] 처음느낌7635 07/12/07 7635 1
33118 오늘 서바이버 토너먼트 4조, 5조 경기 결과 및 짤막한 감상 [18] The xian5773 07/12/06 5773 1
33117 프로리그 10주차 엔트리 - 마재윤 선수 랜덤 출전/머머전/역시나 50% 넘는 동족전 [50] The xian9595 07/12/06 9595 1
33116 프로리그 홈 앤 어웨이 방식은 어떤가요? [11] 지나가다4400 07/12/06 4400 0
33114 팀리그에 대한 저의생각..(반대의견) [50] 서성수4263 07/12/06 4263 2
33113 스타챌린지 2007 시즌2 전적현황(진행중) [5] 프렐루드4584 07/12/06 4584 0
33111 스타리그 8강 마재윤 vs 김택용 2경기의 중국 팬들 반응 [32] 드림씨어터10480 07/12/06 10480 0
33109 오오오! 서지훈 선수! [22] My name is J7559 07/12/05 7559 0
33108 위메이드 4연승이군요. 엄청난 상승세! [22] 헤나투6811 07/12/05 6811 1
33107 프로게이머 박태민 [58] 비밀....9519 07/12/05 9519 0
33106 MSL 4차 곰티비 서바이버 박지호vs이성은 해설에 오류가 있어서 글을 남깁니다. [99] 밀가리10781 07/12/05 10781 9
33105 언젠가는, 랜덤본좌가 등장할 수 있을까요 , .. [21] Lupus5748 07/12/05 5748 1
33103 가능성이 없어 슬픈 종족, 테란 [44] 볼텍스7050 07/12/05 7050 4
33102 송병구!! [33] 종합백과6891 07/12/04 6891 0
33100 진정한 팀 대 팀의 대결이라는 측면에서의 팀리그에 대한 생각 [45] 블레싱you4317 07/12/04 4317 1
33099 선수추천을 위한 자료입니다. [2] 프렐루드5077 07/12/04 5077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