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11/17 16:44:16
Name 드림씨어터
Subject 팀플을 팀밀리로 교체하는건 어떨까요??
예전에도 한번 올렸었지만.. 그땐 pgr임에도 불구하고 팀밀리에 대해 모르시는 분들이 계셔서
우선 팀밀리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한종족을 여러명에서 플레이 할수 있게한 방식이 팀밀리입니다.
그리고 사람마다 종족선택도 가능한데.. 예를 들면 처음 시작은 테란 커맨드센터로 하지만 프로브1기 드론1기씩 갖고
플레이 하게 할수도 있습니다. 당연히 자원이 된다면 프로브로 파일론 지을수도 있고 드론으로 해처리 펼수도 있습니다.
물론 테란은 scv만 저그는 드론만 플토는 프로브만 가지고 플레이 할수도 있죠..
그리고 컨트롤 생산부분도 공동으로 컨트롤이 가능합니다. 결국 팀플이 맞아야 잘한다는것이죠.
테니스의 복식이나 탁구의 복식과 비슷한 룰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아래 글을 보니 지금 팀플 연습하는 사람들은 전부 낙오자이며 실력안되면 때려치워라 하시는데..
팀플 전문으로 프로게이머 생활하는 선수들은 어떻게 합니까? 지금까지 팀플을 할려고 개인전 연습도 마다하고
팀플에만 전념해온 선수들이 수두룩한데 그 선수들은 당장 짐싸고 떠나야 하는건가요??
지금까지 흘린 땀방울이며 보낸 시간은 보상 못받는 건가요?? 단지 몇몇 팬이라 자칭하는 사람들 때문에요?
잘은 몰라도 그 선수들 대부분이 지금 하고 있는 팀플에 젊은 한창의 시기를 게임에 투자 하고 있는 사람들입니다.
적어도 오프라인 응원은 가뭄에 콩나듯 다니며 그냥 집에서 티비보면서 키보드나 두드리는 사람들보다는 프로리그 발전에
힘쓴사람들이고요.

지금까지 몇년을 해온 만큼 팀플 자원도 분명 버려서도 안되고 소홀히 해서는 안됩니다.
처음부터 팀리그로 갔다면 모를까 지금 몇년이 지났는데 갑자기 바꾸면 수십명의 인생을 망칠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팀밀리를 조심스레 추천 해봅니다.
팀밀리가 1:1잘하는 선수만 2명 한다고 해서 꼭 잘할순 없습니다. 테니스 복식을 보더라도 개인전 잘하는 선수가
복식까지 잘하기는 엄청 힘들죠. 팀밀리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팀웍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거겠죠..

어떤팀은 컨트롤을 2명이 하는팀.. 어떤팀은 한명은 생산 한명은 컨트롤.. 어떤팀은 한명은 운영 한명은 상황정리
어떤팀은 둘다 복합 등등 할거라고 봅니다. 서로 연습을 딱딱 맞게 하겠지만 인간이 하는 만큼
그리고 그 인간이 하니까 실수를 유발하게 하는 플레이도 할수있고.. 더 나아가
자동차 렐리에서 처럼 한명은 운전 한명은 거의 구경하다 싶이 게임을 구경만 하면서 게임하는 플레이어에게 여러가지
전략이나 전술 조언등을 해줄수도 있고요.(초시계를 들고 시간을 재면서 건물 완성시간이나 드론 숫자등등을 파악하면서
확실하게 상대 전술에 대해 조언을 해주는 것등등)

컨트롤을 2명이 하는 팀은 물량이 쌓이면 쌓일수록 화려한 컨트롤을
보여주게 되고 그만큼 컨트롤이 서로 엉키지 않게끔 확실하게 연습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양방향 드랍이 오더라도
한명만 그 상황에 집중을 해야 하며 한명은 끊임 없이 전투를 해야 하는 등등 여러가지
팀웍이 필요한 상황이 많습니다. 그리고 나아가 상대 팀원들의 실책을 하게 만드는 플레이까지 나올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운영은 개인 선수의 정신적역량에서 나오는 것이라 포함이 안되겠지만
물량과 컨트롤은 지금 개인전보다 훨씬 압도적으로 화려할것이라고 봅니다.
아마 초반 일꾼 싸움부터 엄청 치열할듯 싶습니다. 그렇게 되면 처음 시작부터 끝까지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보게 될듯 합니다.

이정도 매리트라면 지금 팀플레이에 대한 방안으로 괜찮을듯 싶은데 여러분은 어떤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papercut
07/11/17 16:47
수정 아이콘
게임단들이 새로운 방식은 거의 무조건 거부할겁니다. 협회도 그렇고 게임단들도 그렇고, 시청자의 재미보다는 자신들의 편의가 우선이고, 그래서 기존에 있던 룰도 지워나가고 있는데 아예 새로운 방식을 도입한다면 '연습하기 어렵다' '재미 없을 것이다.'등의 이유로 거부당할 공산이 크지요.
드림씨어터
07/11/17 16:53
수정 아이콘
연습하기 어렵다, 재미없을 것이다는 팀밀리에 대한 이유가 아닐거 같은데요..
팀리그로 가는것 보다는 덜 위험하고 모험적이기도 하고요.
비공개
07/11/17 17:07
수정 아이콘
좋은 생각같군요.... ^^;;
07/11/17 17:08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팀플을 즐기는 한 사람으로서 팀밀리는.. 반대네요
드림씨어터
07/11/17 17:15
수정 아이콘
빵긋님// 그렇다면 팀리그로 바뀌는건 찬성하시나요?
그리고 제가 아니라도 많은분들이 팀플 할 시간에 채널 돌린다고 하는것과..
vod조회수 등등..을 근거하면 팀플은 이대로 간다면 바뀌게 될거 같지 않나요?
팀플팬에게 죄송한 말이지만요..10명중 9명이 돌린다고 하니까요.
오가사카
07/11/17 19:25
수정 아이콘
프로리그시작전에 제가 글올렸을때는
지존 팀플도 인기많고 잼밌다고 거의 대부분이 팀밀리 반대였었죠
hysterical
07/11/17 19:40
수정 아이콘
2:2 파이썬 생컨 고수만!!
(응?;;;)
08/01/06 02:19
수정 아이콘
문제는 팀밀리는 옵저버가 안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3122 MBC GAME 한발더 치고 나가자. [21] 처음이란5711 07/12/07 5711 1
33121 [팬픽] 불꽃의 비상 [2] kama5197 07/12/07 5197 1
33120 캐리어의 몰락 [22] 선비테란7860 07/12/07 7860 1
33119 과연 오늘 3.3절에 버금가는 기적이 일어날것인지.. [62] 처음느낌7632 07/12/07 7632 1
33118 오늘 서바이버 토너먼트 4조, 5조 경기 결과 및 짤막한 감상 [18] The xian5771 07/12/06 5771 1
33117 프로리그 10주차 엔트리 - 마재윤 선수 랜덤 출전/머머전/역시나 50% 넘는 동족전 [50] The xian9587 07/12/06 9587 1
33116 프로리그 홈 앤 어웨이 방식은 어떤가요? [11] 지나가다4397 07/12/06 4397 0
33114 팀리그에 대한 저의생각..(반대의견) [50] 서성수4262 07/12/06 4262 2
33113 스타챌린지 2007 시즌2 전적현황(진행중) [5] 프렐루드4581 07/12/06 4581 0
33111 스타리그 8강 마재윤 vs 김택용 2경기의 중국 팬들 반응 [32] 드림씨어터10477 07/12/06 10477 0
33109 오오오! 서지훈 선수! [22] My name is J7557 07/12/05 7557 0
33108 위메이드 4연승이군요. 엄청난 상승세! [22] 헤나투6808 07/12/05 6808 1
33107 프로게이머 박태민 [58] 비밀....9514 07/12/05 9514 0
33106 MSL 4차 곰티비 서바이버 박지호vs이성은 해설에 오류가 있어서 글을 남깁니다. [99] 밀가리10778 07/12/05 10778 9
33105 언젠가는, 랜덤본좌가 등장할 수 있을까요 , .. [21] Lupus5746 07/12/05 5746 1
33103 가능성이 없어 슬픈 종족, 테란 [44] 볼텍스7047 07/12/05 7047 4
33102 송병구!! [33] 종합백과6889 07/12/04 6889 0
33100 진정한 팀 대 팀의 대결이라는 측면에서의 팀리그에 대한 생각 [45] 블레싱you4316 07/12/04 4316 1
33099 선수추천을 위한 자료입니다. [2] 프렐루드5074 07/12/04 5074 1
33098 07시즌. 현재까지 선수들의 커리어 순위 정리. [26] Leeka6671 07/12/04 6671 1
33096 김택용 vs 송병구 2007시즌 승률비교 [38] 6269 07/12/04 6269 0
33095 김택용선수와 마재윤선수의 EVER스타리그 8강 경기가 끝났을때_ [11] 아뵤7110 07/12/04 7110 3
33094 프로리그 이런 방식은 어떤가요? <에결에 비중을 높이자> +++ [16] 메렁탱크4320 07/12/04 4320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