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10/27 17:58:15
Name 종종종그그미
Subject [질문]수학 공부에 대한 질문 입니다
이번에 재검으로 인한 공익 떨어 지면서 수능 공부를 할생각 입니다
영어와 수학 공부를 중심으로 하려고 합니다...
(둘다 기초가 떨어 져서요..)
영어는 단어 책과 몇몇 기초 강좌를 들으면서 하면 되겠다 싶은데....

문제는 수학입니다 ....
중학교 이후 수학은 포기하여 기초가 전혀 없습니다
(물론 중학교 때 배운 수학들도 모두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
어떻게 시작 해야 하며
문제집이나 강좌 공부법 등을 알려 주세요 ...
시간은 적게는 1년 길게는 3년까지 보고 있습니다
(공익 하면서 시험은 항상 볼수 있으니깐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NaMuGatzz
07/10/27 18:28
수정 아이콘
중학교 수학은 교과서랑 서점나가서 참고서 조금만 둘러보시면 괜찮은거 많구요
10-가,나 부터는 역시 정석책이 좋더군요. 고3 수험생인 저로서는 수학은 개념잡고 양치기하는게 왕도인듯 싶어요
웨인루구니
07/10/27 19:06
수정 아이콘
길게보지마시고 다음해에 꼭 이루겠다는 생각으로 공부하길 바랍니다.
지금 안하는 사람은 나중에도 절대 안합니다.
펠릭스~
07/10/27 20:37
수정 아이콘
아예 기초가 없다면 차라리 다행입니다...
다만 조금 쉬운 책을 풀수 있는 만큼만 풀라고 이야기 해 드리고 싶네요...
그래도 수학은 차근차근 단계를 밟으면 실력이 점점 오릅니다..
새로운별
07/10/28 14:12
수정 아이콘
저랑 비슷한 경우시군여... 전 실업계나와서 전문대갔다가 자퇴를하고 재수를 하는중입니다...

저같은 경우는 실업계 전문 학원을 다니고있는데 역시 기초가 부족한 실고생들에 가장 어려운 난적은 수학입니다...

님도 비슷한 입장같으신데 저로서는 수학을 독학하는건 엄두가 안나지만 학원에서 하는 방식을 말해드리자면

일단 수학에 수업난이도는 수능난이도입니다 수능시험에 범위를 공부하는거죠 그리고 그 안에서 기초가없으니 막히는것들이 있죠

그것은 수학선생님이 하나하나 설명해주시면서 천천히 나아가는 중입니다 독학을 하신다면 일단 수능난이도에 기본서랑 문제풀이집

사신다음에 기본서보시면서 풀어가다가

풀다보면 막히는게 있을겁니다 설명이 안되있는... 그런거는 다 전에 끝냈어야할 기초과정인거져 어쩔수없이 그럴때마다 그 부분에 공부

를 따로 하셔야할거같군요... 함수라던지 이차방정식 근의공식 삼각함수 연립방정식 등등 저도 하나도 몰랐는데 점점 배워가는 중이에요..
The_CyberSrar
07/10/28 17:45
수정 아이콘
중학수학부터 다시 차근차근 밟아 나가면 될겁니다. 우선 4칙연산이 제대로 되어야겠죠. 가끔 중학생 과외를 하다보면 일반적인 숫자
계산은 잘하는데 다항식 연산이라던지 괄호가 있는 것에서 분배법칙,교환법칙,결합법칙등등을 모르는 학생들이 많거든요.
중학수학에서는 기본적인 4칙연산과 간단한 방정식을 세우는 방법, 기본 도형의 이해, 인수분해 등을 학습목표로 삼고 공부하시고
고등수학부터는 정석이나 개념원리책을 벗삼아 차근차근 유제 풀어가면서 개념을 이해해 가시길 바랍니다.
기본서를 3번 정도 돌려가면서 반복학습하다보면 전체적인 수학의 윤곽이 보일것이고 그 이후부터 수능식 문제집을 풀면서
몰랐던 풀이방법이나 문제유형을 익혀가면 좋은 성적 받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처음에는 답지를 보는데 부끄러워하지 않아도 되지만 후에는 스스로 생각하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답지를 되도록이면 보지 않는쪽으로
가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인 즉슨 답지를 보면 이해가 간다 할지라도 그것이 기억에 남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그렇습니다. 틀리는 문제는 다시 틀리게 된다고나
할까요? 아무튼 제가 경험한 바로는 그렇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3407 숫자로 본 2007년 PgR 평점 정리 [16] 메딕아빠4648 08/01/02 4648 0
33406 PGR에서의 첫글이자,마재윤의 프로토스전. 그리고 PvsZ [15] nickvovo6276 08/01/02 6276 0
33405 새로나올 스타2배틀넷에 'vision방'이 생긴다면...? [16] EsPoRTSZZang6341 08/01/02 6341 0
33404 이제동의 뮤탈이 두렵긴 두려운가 봅니다. [13] Akira7486 08/01/02 7486 0
33401 마재윤,테란전 자신감을 되찾아라. [10] SKY925393 08/01/02 5393 1
33400 팀리그의 엔트리와 연습에 대한 소고 [23] Judas Pain7147 08/01/02 7147 24
33399 확정된 07 프로리그 포스트시즌 경우의 수 정리. [7] Leeka5526 08/01/01 5526 0
33396 와우~~도재욱~!! [36] [KIA]윤석민7471 08/01/01 7471 0
33395 마재윤선수...힘내세요... [21] 김택신님7790 08/01/01 7790 0
33391 -제가 보지 않아도 ... 임요환은 늘 현재 진행형이네요.. [10] 올드팬7355 07/12/31 7355 3
33389 공군 화이팅. [20] 호시6115 07/12/31 6115 1
33388 [공지] 2008년 PgR 평점 ... 신규 평가위원 명단. [11] 메딕아빠5099 07/12/31 5099 0
33386 날카로움이 사라진 T1 [15] Tsunami5609 07/12/31 5609 0
33385 그래도 김택용이다. [45] sylent11327 07/12/31 11327 63
33383 프로게이머의 눈물 [22] 머신테란 윤얄6967 07/12/31 6967 0
33382 김준영vs김택용<블루 스톰> 전남 팀배틀 감상기 [14] 김연우9012 07/12/31 9012 5
33380 e-sports란 무엇입니까? [36] kapH4431 07/12/31 4431 1
33379 포스트 임요환은 이성은이 아닐까. [43] 옹정^^7918 07/12/31 7918 7
33378 스포츠와 e-스포츠는 다르다? Why? [21] AnDes4980 07/12/31 4980 7
33377 마재윤, 기로에 서있다 [18] 라울리스타8148 07/12/30 8148 1
33376 마재윤 선수의 화난 행동에 대해 [123] 풍운15752 07/12/30 15752 0
33375 진정한 '프로게이머' 삼성전자 칸 이 성 은 [105] KilleR8825 07/12/30 8825 0
33372 [응원글]이 와중에 '르까프 오즈' 정규리그 1위 확정!! [8] HalfDead4074 07/12/30 407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