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8/11 15:44:32
Name newromancer
Subject 스타 2의 테란, 승리를 위한 혁신
주말이라 시간이 나서 주다스 페인님이 올려주신 테란 테크트리에 대해 재검토를 해봤습니다. 원문은 여기에.
https://pgr21.net/zboard4/zboard.php?id=free2&page=2&sn1=&divpage=5&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31705

세세한 변경에 집중하기보다, 게임의 전반적인 운영에 영향을 줄만한 점을 골랐습니다.

1. 새로운 Salvage기능.
테크트리 설명한 그림 오른쪽에 이런 글이 있습니다
SALVGE: Certain structures can be salvaged, returning the Full value of the structure to Terran Player.

저도 처음 봤을땐 이 구절을 주의깊게 보지 않았습니다만, 다시 보니 좀 무섭군요. 일단 "returning the Full value"라는 구절에 집중합시다.
(returning the Full value?-> 무념...)
이것은 정말 많은 가능성을 테란에게 주는 것입니다. 혁신적이죠. 설사 나중에 100%가 아니라 50%로 낮춰진다고 해도 그 의미는 적지 않습니다.

기존 스타 1의 테란은 체제전환이 프로토스보다도 힘든 종족이었습니다. 에드온 건물까지 포함한다면 생산 건물의 건설비용이 3종족 중 최고가였거든요. 대신 일단 완성된 체제가 무너지지 않고 계속 유지되면서 보완관계에 있는 유닛들을 조금 추가해 주는 형식으로 종반까지 운용될 수 있다는 점으로 커버해 왔습니다.
예를 들어, 대 저그전 바이오닉 체제 완성뒤 탱크-배슬을 추가하는 정도고, 탱크 배슬 추가후에도 바이오닉은 계속 사용되죠. 대 테란, 대 프로토스전도 기본 골격은 동일합니다.

스타 2에서는 체제 전환에 따라 낭비되는 자원은 구 체제 유닛들을 위한 각종 업그래이드(공방업, 스팀팩&사거리업등의 기능 업그레이드같은)비용밖에 없습니다. 허공에 날려버릴만한 자원이 거의 없죠. 따라서 전략적인 측면에서 훨씬 유연한 대응이 가능합니다.
-> 대 프로토스전에서 바이오닉 실패 = 좌절 이런 공식은 끝입니다.
스타 1에서의 체제전환 유연성 : 테란<프로토스<<저그
스타 2에서의 체제전환 유연성 : 프로토스<테란<저그

게다가 맵의 자원을 다 써버려서 서로 가난한 상태까지 와버린 극 후반에선 서플라이나 기타 기간생산시설들을 다 팔아가며 싸울 수 있는 테란이 유리하게 되었습니다. 도망자 테란, 이사테란도 절대로 유머가 아닙니다...-_-;
시간 여유가 있다면, 어떤 지점에 커맨드 센터와 기타 생산시설을 건설했는데 자원을 다 파먹었다면 방어할 지역을 줄인다는 측면에서 다 팔아버리고 적당한 지점에 재건설하는게 낫겠더군요.

2. 병력 운용의 파워업
스타 1에서, 바이오닉 병력을 운용하면서 가장 큰 숙제는 한방병력이 출발하고 나서 생산된 후속 병력의 운용입니다. 1. 드랍쉽 병력으로 활용, 2. 육상으로 충원 본대와 합류시킨다의 선택지가 있지만 중간차단의 위험은 따를 수 밖에 없습니다.
스타 2에서는 강습병 병력은 조금 더 안전한 우회경로를 활용할 수 있고 주력인 마린들은 배럭스에서 생산하기보다 뉴클리어 사일로에서 낙하장치를 생산해 축적해 두는 형태로 운용한다면 고트스를 활용해 원하는 지점에 투입해 합류시킬 수 있습니다. 물론 일반적인 방법보다 추가비용부담이 예상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약해지는 한방병력보다는 어떻게든 계속 충원되는게 중요하니까요. 매딕은 부대가 전멸하지 않는 한 마지막까지 생존하는 병력이므로 큰 문제는 없습니다.
공중군은 원래 이 문제와는 별 관계가 없고, 메카닉 병력 또한 바이킹이 비행능력이 있어 희망적입니다. 코브라는 기동성이 좋은 유닛이고... 문제는 시스텡크와 토르정도일까요? 토르는 메카닉 병력이 자리를 잡은 상태에서 SCV가 현장생산할수도 있네요.

원하는 위치에 병력을 투입할 수 있다는 의미는 진출한 주력부대의 힘과 적 멀티기지에 대한 견제&사전억제능력, 후방타격능력등을 포괄하는 의미입니다. 유닛 자체의 파워보다는 유닛활용의 유연성이 태란군대의 핵심같군요.

3. 태크트리의 단축
이건 주다스 페인님의 원문에 잘 설명되어 있네요. 나왔던 이야기라 설명은 생략하겠지만, 핵심적인 사항은 사이언스 퍼실리티 삭제&에드온 건물의 범용화로 요약됩니다.

4. 건설 인터페이스의 향상
초보 테란유저의 최대 약점은 건설&생산과 유닛 컨트롤이 동시에 안된다는 겁니다. 항상 서플라이는 막히고 자원은 쌓이는 광경은 누구나 공유하고 있는 경험이죠.
워크래프트 3에서 선보였던 건물 예약건설, 건물부대지정&생산이 스타 2에도 도입되면서 테란유저들의 고민이 상당부분 해결되게 되었습니다. 향상된 인터페이스의 축복을 가장 많이 받을것이 테란인 것은 확실해 보이는군요.

이 밖에 공중군의 대 지상 공격력이 대폭 향상된 점이 있습니다만, 이점은 프로토스도 동일하므로 별도 항목을 배정할 필요는 없겠습니다.

전반적으로 프로토스는 유닛들이 개편되긴 했지만 테란이 보여주었던 혁신적인 변경은 아닌 것 같습니다. 기존 3가지 테크트리 선택방식도 유지되었기 때문이죠(그래서 현재 시점에서는 테란만큼의 흥미를 못느끼고 있습니다). 다만 워프 게이트와 페이즈 케논이 방어와 병력 운용에 있어 많은 가능성을 부여해 주겠군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8/11 15:58
수정 아이콘
근데 스타2에도 메딕이 나오긴 나오나요?
거기에 관련된 정보는 못본것같아서요
07/08/11 16:13
수정 아이콘
플레이 동영상 보니 메딕이 나오긴 하더군요.
07/08/11 18:32
수정 아이콘
플토와 테란이 이렇게 전작에 비해 전체적으로 향상이 되었는데
저그는 어떤 모습일지 궁금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1786 낭만적인 스타일리스트. '네가 찢어지지 않으면 내가 찢어지겠다.' 김환중. [11] SKY925272 07/08/14 5272 0
31784 본좌라인은 언제 교체 되었을까? [109] Peter8399 07/08/14 8399 0
31783 스타챌린지 시즌 2 예선전 대진표입니다. [52] SKY927124 07/08/14 7124 0
31781 [ 피지알21 후로리그 ] 제 1 회 후로파이트 공지! [10] 이프4837 07/08/14 4837 0
31779 e-Stars 2007 - 장재호 선수 주요 경기 하이라이트 영상 [26] kimbilly7402 07/08/13 7402 0
31778 IEF 2007 마재윤 vs 김택용 1경기 리뷰 [39] 메렁탱크10695 07/08/13 10695 0
31777 [알림] 8월 신규평가위원 명단 [14] 메딕아빠4706 07/08/13 4706 0
31776 역대 최고의 공통맵과 역대 최악의 공통맵은?(투표해 주세요..) [42] 彌親男6012 07/08/13 6012 0
31775 본좌와 천적 [33] 굿럭7011 07/08/13 7011 0
31774 프로토스 시대의 도래?! [22] 리버 IQ업그레5431 07/08/13 5431 0
31773 이젠 배넷에서 즐거운 마음으로 공방도 못하는건가요..... [36] 돌은던지지말6542 07/08/13 6542 0
31772 홍진호 VS 서지훈,홍진호 VS 한동욱. 그 두개의 VOD를 보고. [13] SKY925392 07/08/13 5392 0
31771 최근 1년간 리그 우승자 정리. [18] Leeka4764 07/08/12 4764 0
31770 결국 이번에도 저그와 프로토스가 우승했군요 [65] 마빠이6633 07/08/12 6633 0
31769 김택용의 미스테리한 마재윤전의 의문점... [15] 퍼펙트테란7332 07/08/12 7332 0
31768 요즘 최고의 기세. 이제동선수가 결국 우승을 차지하네요. [9] Yes4949 07/08/12 4949 0
31767 이제 저그는 김재동시대??? 김재동 트리오가 넘어야할 산 김택용 [30] 처음느낌6374 07/08/12 6374 0
31766 김택용의 테란전? [30] JUSTIN6087 07/08/12 6087 0
31765 김택용의 대 마재윤!!! [128] sana9619 07/08/12 9619 0
31764 e-stars 2007 - 곰TV 시청과 현장에서 보고 온 느낌 정리... [3] kimbilly6034 07/08/12 6034 0
31762 리만두vs안드로장 진짜 사람 미치게 만드네요! 결승최종세트 울트라초대박 나나전 [56] 처음느낌8841 07/08/11 8841 0
31761 IEF 2007 후기. [10] limyh0165778 07/08/11 5778 0
31760 결승은 이제동 대 허영무 선수인가요? [36] 戰國時代7311 07/08/11 731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