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7/14 20:40:11
Name 나다
Subject 결승전관람후기
저는 송병구 선수를 응원했습니다

결과는 김택용 선수 승리 정말 아쉽더군요

마지막 gg를 치는순간 결과를 믿기가 싫었습니다.

하지만 어쩔수가 없더군요. 마지막 인터뷰에서 더욱

아쉬운 맘이 들었습니다. 드라군 사업 미완료..

저는 입스타라서 이것이 전투에 얼마나 크게 영향을 미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후회없이 싸웠으면 미련은 안 남을텐데요..

두 선수의 차이를 어떤 것이 만들었을까요? 저는 경험이라고 생각합니다.

경험이 있는 김택용 선수에 비해서 송병구 선수는 본인의 말처럼 긴장을 했었나바요

송병구 선수 실수도 실력이에요 본인의 실력발휘를 다 할수 있는 강심장을

다음 시즌에는 가지고 오세요

때로는 선한 마음도 좋지만 독한 마음을 가지는 게 필요할 것 같습니다.

도발도 좀 하고 마음에 여유를 가지고 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김택용 선수 우승 축하하고요 송병구 선수도 쳐지지 말고 다음에는

우승하길 빌어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7/14 20:41
수정 아이콘
스포..스페셜포스.,.
MeineLiebe
07/07/14 20:43
수정 아이콘
사업만 했더라면~~~
07/07/14 20:45
수정 아이콘
사업... 차이 엄청 크지요... 우선 공격 받고 시작한단 이야기니깐요...
ArcanumToss
07/07/14 20:49
수정 아이콘
김택용 선수를 만나는 선수들은 뭔가 실수를 하는 경향이 있죠.
그렇다면 그것은 김택용 선수의 실력입니다.
강한 선수를 상대할 때는 긴장하기 마련이고 그렇게 긴장하게 만드는 경기 내용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사거리업을 안했다면 그만큼 자원이 남고 타이밍에서 앞서게 되죠.
송병구 선수는 자기도 모르게 그 이득을 게임 내에서 봤던 것입니다.
하지만 송병구 선수는 그 이득을 끝까지 유지하지 못했고
김택용 선수는 그것을 극복했으니 송병구 선수의 '사거리업을 안해서 졌다'는 말은
안좋게 작용한 점만 생각하고 좋게 작용한 점은 생각하지 않은 발언입니다.
운도 실력이듯이 실수도 실력입니다.

또... 승부처는 업그레이드와 아비터의 스테이시스 필드였습니다.
김택용 선수는 장기전에 대비해서 업그레이드에 꾸준히 투자했고
병력 싸움에서 확실히 이득을 보기 위해 아비터 테크를 먼저 탔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교전에서의 승리로 이어졌죠.
결승 5 경기에서의 주제는...

'두 가지의 결정적 변수를 만들어낸 김택용 선수의 승리'이지
'사거리업을 하지 않은 송병구 선수의 패배'가 아닙니다.

ps. 역사엔 '만약 ~였다면 ~했을 것이다'는 성립하지 않습니다.


ps2. 2명의 공룡급 프로토스(탱'룡' 선수와 공변뱅) 탄생을 축하합니다.
07/07/14 20:58
수정 아이콘
ArcanumToss님의 생각에 공감합니다.
어쨌든 두 선수 모두 잘했으니 패배에 대한 미련을 마음에 품기보다 다음 승부에 대한 비수를 마음에 품어주기를....
프리스타일 NaDa
07/07/14 20:59
수정 아이콘
갑자기 울트라 방업을 안하고 경기에 패하고도 경기내용에 대해 별다른 말없이 점점 재밌어진다고 말한 마재윤 선수 생각이 납니다.
07/07/14 21:08
수정 아이콘
ArcanumToss님의 생각에 공감합니다. (2)
오소리감투
07/07/14 21:24
수정 아이콘
ArcanumToss님 말씀에 전적으로 동감입니다.
상대의 실수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은 곧 실력이죠~~
sway with me
07/07/14 22:19
수정 아이콘
ArcanumToss님// 님의 분석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더불어 김택용 선수를 상대하는 선수들은 긴장...이라기 보다는 심리적으로 흔들리는 면이 좀 있는 것 같더군요.
아마 승리할 대는 상대를 철저하게 짓밟는 습관을 가진 선수를 상대하는 것이,
좀 그런 심리적인 흔들림을 주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07/07/14 23:18
수정 아이콘
저같은 경우 생각이 조금 다릅니다. 김택용 선수 때문에 흔들렸다기 보단 생애 첫 결승이라는 자리가 병구 선수를 흔들리게 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곰티비 시즌1 생애첫 결승에서 떨지않은 김택용 선수가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07/07/15 11:29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실수도, 결승전의 긴장감 극복도, 마인드 컨트롤도 모두 실력이죠.. 다음번에는 좀더 좋은 모습보여주길 기대합니다.

김택용선수에게는 축하의 박수를, 송병구선수에게는 격려의 박수를 아낌없이 보냅니다.
물빛구름
07/07/15 21:47
수정 아이콘
ArcanumToss님의 생각에 공감합니다. (3)

여튼 이런 경기를 보게해준 두 선수 모두에게 아낌없는 박수를 보냅니다.
오랜만에 경기들이 너무 재밌어서 두 선수 모두가 너무 고마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1681 미스테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예순여덟번째 이야기> [8] 창이♡3242 07/08/04 3242 0
31680 드디어 결전에 날이군요. 프로리그 결승전!! [8] 신동v4130 07/08/04 4130 0
31679 [블리즈컨 체험기] 블리즈컨 첫째/둘째날 사진입니다. [20] 메딕아빠5595 07/08/04 5595 0
31674 [블리즈컨 체험기] 스타2 관련 한국기자 간담회. [10] 메딕아빠5931 07/08/04 5931 0
31673 [블리즈컨 체험기] 스타2 게임 후의 느낌. [33] 메딕아빠6964 07/08/04 6964 0
31671 내일 프로리그 결승전 경기 선수별 전적 [4] EnVy♥4256 07/08/04 4256 0
31670 차기시즌 진출자현황(1) [16] 信主NISSI4992 07/08/03 4992 0
31669 역시!(3일 듀얼토너먼트 스포 및 리뷰) [20] 볼텍스4886 07/08/03 4886 0
31668 팀플레이에서 저그의 숙명. 하지만 없어서는 안될 존재 [15] Yes4303 07/08/03 4303 0
31667 [Red]Nada 의 영혼을 느껴보는게 얼마만인가! [38] 고흐4914 07/08/03 4914 0
31666 핵 버그라는 것도 있나요?? [17] 찰스왈왈4744 07/08/03 4744 0
31665 박성준, 한동욱. 그리고 트레이드 시장과 마케팅. [34] 하늘유령6452 07/08/03 6452 0
31663 4:0/4:2는 삼성승 4:1/4:3은 르까프승??? [27] 처음느낌4540 07/08/03 4540 0
31661 3개의 맵으로 개인리그를 치루자. [17] 信主NISSI5554 07/08/03 5554 0
31660 워3 팬으로서 삼성칸을 응원하는 이유가 되는 선수... [23] 워크초짜7169 07/08/03 7169 0
31659 뒤늦게 올리는 2주간 스타관전평 [2] 질롯의힘4740 07/08/03 4740 0
31658 블리즈콘에서 홍진호 선수와 첫 경기를 치루는 skew선수의 인터뷰입니다. [10] 초록별의 전설5978 07/08/03 5978 0
31656 어제 듀얼 오프 후기 -ㅇ-; [26] 후치6748 07/08/02 6748 0
31654 [정보] 오늘 아프리카 방송에 김준영 선수 출연합니다. [6] guy2095375 07/08/02 5375 0
31653 T1의 테란들.. 이제 변화가 필요하지 않을까요? [33] Yes6430 07/08/02 6430 0
31652 김택용의 강함 [45] Judas Pain9715 07/08/02 9715 0
31651 BlizzCon 2007 - 스타/워3 경기 대진표 및 일정 발표 [20] kimbilly4969 07/08/02 4969 0
31648 다시보는 명결승전. 올림푸스배 결승전 홍진호 VS 서지훈. [26] SKY926436 07/08/01 643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