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5/21 23:28:28
Name 김광훈
Subject 이 정도면 DMZ말고 지오메트리를 퇴출시켰어야 하지 않나요??
지오메트리의 테저전 10:2인가요?? 슈파까지 합치면 12:2정도 되겠네요. 하지만 롱기누스나 아카디아 II의 전례를 살펴봤을때

아직까진 더 지켜볼 가능성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적어도 최근엔 플토도 가끔씩 나와주고 저그도 테란 상대로

조금이나마 승리를 따내가고 있었으니까요. 개인리그에는 안쓰여서 그런진 몰라도 그렇게까지 미운털은 안 박혔습니다.

하지만!! 오늘 박명수 선수의 인터뷰가 가히 충격적이군요.



-하고 싶은 말은.
▶지오메트리에서 연습을 하다보니까 5시 지역이 저그의 일꾼만 미네랄을 잘 채취하지 못한다. 다른 종족의 일꾼 보다 80% 정도 밖에 못 캔다. 수정해 주셨으면 좋겠다



이게 사실이라면 좀 무섭군요. 박명수 선수가 굳이 거짓말 했을것 같지도 않고요. 80%면 로템 6시만도 못한 자원 채취율 아닙니까??

논란이 꽤나 있었던 구 백두대간이나 포르테의 자원 채취율도 이 정도는 아니었던 걸로 기억이 되는군요.

DMZ가 퇴출당할때도 지오메트리가 같이 퇴출되어야 된다는 생각은 그다지 들지 않았습니다.

적어도 롱기누스2나 아카디아 II같은 전례가 있었기에 섣부른 판단을 하기보단 그냥 지켜보는게 좋겠다 싶었죠.

그 맵들은 프로게이머들의 해법 연구로 어느 정도 극복이 되었듯이 지오메트리도 그러지 말란 법이 없으니깐요.

근데 오늘 박명수 선수 발언은 상당히 충격적이었습니다. 맵퍼께서 자원 채취율 테스트는 제대로 한건지 모르겠습니다.

예전에 구 백두대간이나 포르테에서 일어났던 자원 채취율을 능가할 법한 문제점이 아닌가요??

암튼 밸런스 문제는 뒤로 제껴두고서라도 자원 채취율 문제가 이 정도로 있어고 지금까지 방치되어왔다는건

좀 그렇습니다. 선수들의 노력이 고작 위치운 하나로 엄청 큰 차이가 날 수도 있으니깐 말입니다.

박명수 선수의 지오메트리 5시의 자원 채취율 80%발언...... 이게 사실이라면 좀 무섭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5/21 23:29
수정 아이콘
채취율을 떠나 이미 지오메트리는 가망이 없다고 봅니다
tongjolim
07/05/21 23:33
수정 아이콘
드론이 어떻게 하길래 자원채취율이 80%나 차이가....
미네랄앞에서 우왕자왕 하는건가요....
07/05/21 23:33
수정 아이콘
맵간 거리가 너무 가깝고 언덕이 많아서 테란이 조아요
tongjolim
07/05/21 23:34
수정 아이콘
러쉬거리 짧고 오버로드 둘곳없고 본진 옆쪽 앞마당 외곽쪽만 터렛 3개씩 배치하면 뮤탈게릴라는 재미도 못봐서 시간끌기도 힘든데 앞마당 가스는 2000밖에없죠....
제자백가
07/05/21 23:36
수정 아이콘
다음 시즌에 사용될 확률이 0%에 가까워지고 있군요
07/05/21 23:41
수정 아이콘
맵 수정작업을 거치면 또 모를까 지금 그대로 쓸 확률은 예전부터 0%였다고 봅니다.
Gplex_BluSkai
07/05/21 23:50
수정 아이콘
tongjolim님// 80%나 차이나는 게 아니라 다른 스타팅 포인트의 80% 수준이라고 하는 것 같은데요 :)
tongjolim
07/05/21 23:53
수정 아이콘
아 그러네요... 제가 잘못 읽었군요...
07/05/21 23:59
수정 아이콘
러쉬거리만 조금만 더 길게 하면 100% 저그맵이 될 요소를 갖추고 있죠.
다만 가까운 러쉬거리와 수많은 구릉지대(시즈탱크라는 요소 때문에 무조건 불리하게 시작) 떄문에 불리하죠.
제가 보기엔 t1신인 저그선수가 보여준 운영하고 조용호선수가 보여준 운영이 제일 좋아 보이더군요. 조용호 선수 후반 뒷심이 부족해서 졌지만 중반까지 좋았는데 말이죠
『루베트♪』
07/05/22 00:36
수정 아이콘
협회에서 만든 프로리그 전용 맵들은
테스트 기간이 짧아서 상당수의 맵버그들이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맵수정없이 리그를 운영하겠다는 협회의 의지를 보면 속 터지는 일이죠.
07/05/22 00:50
수정 아이콘
맵수정 없이가 아니라 감독회의에서 지형 깨짐 같은건 게임에 큰 영향이 없으므로 올 시즌은 넘어간걸로 알고 있습니다.
유희열다나
07/05/22 01:11
수정 아이콘
팔진도와 지오매트리는 너무 대충 만든 것 같더군요.
(생긴것도 단순하고 종족 출전비율도 편차가 심하죠)
그래서인지 개인리그에서도 이 맵들은 안 쓰이고 있죠.

후기리그에서는 좀 더 나아지겠죠.
07/05/22 02:28
수정 아이콘
80% 수준이면 엄청난거 아닌가요...
남들 10덩이에서 캐는거 8덩이에서 캔다는 소리니까...후아
07/05/22 04:55
수정 아이콘
과거 로템 오리지날 6시가 정말 극악이었고
제 기억으로는 개마고원버전에서도 1시가 극악이었던적이 있던걸로...
매퍼들이 아니더라도 방송사 측 혹은 케스파에서라도
이런건 확실히 무수한 실험을 통해서 검증해야 합니다.

이런 비대칭을 원한건 아니거든요.
Naraboyz
07/05/22 06:23
수정 아이콘
개마고원은 5시였죠.
안티테란
07/05/22 06:50
수정 아이콘
다른 종족은 일꾼 수를 아주 많이 채워서 그 gap을 좁힐 수가 있지만 저그는 그렇지 않거든요.
07/05/22 10:28
수정 아이콘
안티테란님 // 저그는 티가 확확 나겠네요.
그나마 다행인건 왠지 5시 저그를 별로 못본것 같아요. 에스케이 신인선수빼고는 거의 맵의 서쪽에 주로 나온듯한 느낌이.. 이건 단편적인 생각이라 확신은 못하겠네요.
시미래
07/05/22 10:52
수정 아이콘
전기리그는 어쩔 수 없다 치고 후기리그는 맵 좀 바꿔야 할 듯...ㅡㅡ
07/05/22 11:58
수정 아이콘
cald님/ 조형근 선수가 5시에 나왔던 기억이 나네요
Forgotten_
07/05/22 13:00
수정 아이콘
직접 실험해보신 분은 없나보네요? 저도 직접 실험한게 아니라 모르겠지만 80%는 아니었던 것 같은데.. 그리고 3종족의 채취율을 완벽히 맞추는 건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같은 맵이라도 어떤 종족은 7시가 제일좋고 어떤 종족은 7시가 제일 나쁘고 한 경우가 굉장히 많거든요..(종족별로 일꾼의 미네랄 캐기 인공지능이 조금씩 다릅니다. -_-) 실험을 통해 검증하는데도 한계가 있어요. 미네랄 채취의 오묘함에 대해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으면 따로 글로 써 드리죠..
07/05/22 14:44
수정 아이콘
오묘함...; 사실 제 스타일은 어떤 종족이든지 무조건 물량에 부자 위주라 잘 모르겠던데 말이죠[...] 포가튼님 글 기대합니다 :D
07/05/22 16:46
수정 아이콘
미네랄 채취의 오묘함에 대해 궁금해 하시는 분(1) 입니다^^:
07/05/22 17:05
수정 아이콘
미네랄 채취의 오묘함에 대해 궁금해 하시는 분(2) 입니다^^:
그를믿습니다
07/05/22 21:20
수정 아이콘
미네랄 채취율을 떠나서 저그에게나 플토에게나 맵자체가 썩 좋은 지형은 아닌듯 싶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1026 안석열 선수가 은퇴를 했습니다. [20] [NC]...TesTER8565 07/06/12 8565 0
31025 과거에 그러했고, 현재도 그렇고, 미래에도 그러할 단 두 사람. 그리고 영원불멸을 깨부수려는 어린 혁명가의 전진은 신 시대의 바람인가, 한때의 광풍인가. [9] legend6072 07/06/12 6072 0
31023 지오메트리가 큰 문제인 이유입니다. [31] Leeka5570 07/06/12 5570 0
31021 ESWC 2007 한국 대표 선발전 - 워크래프트 III 8강 방송 안내 [20] Gplex_kimbilly4317 07/06/12 4317 0
31020 김택용, 강요된 평화가 부른 혁명의 철검 [51] Judas Pain9070 07/06/12 9070 0
31019 공식 테테전 맵 지오메트리 뭔가 대안 없나요? [18] SkPJi4537 07/06/12 4537 0
31018 e-sports 전문 프로그래머의 필요성 [14] 지바고_100su5237 07/06/12 5237 0
31017 [부고] 공군 ACE 프로게이머 이재훈 부친상 [126] 불곰6990 07/06/12 6990 0
31016 선수들이 조금만 더 경기를 즐겼으면, 그런 분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33] 아브락사스6342 07/06/11 6342 0
31015 캐리어-스카웃-탱크 [17] legend7025 07/06/11 7025 0
31014 삼성전자. 광안리 직행할 자격이 확실히 있군요.. [19] Leeka6229 07/06/11 6229 0
31013 와.... 이성은.... [60] TopaZ8136 07/06/11 8136 0
31012 [sylent의 B급칼럼] 김택용, 거침없이. [44] sylent8640 07/06/11 8640 0
31011 新 라이벌의 탄생 [18] 더미짱6406 07/06/11 6406 0
31010 보아? 서지훈? [20] winnerCJ8414 07/06/11 8414 0
31009 온게임넷 중계와 김준영선수에 대한 간단한 이야기 [21] Boxer_win8095 07/06/10 8095 0
31008 개념탑재한 플레이의 선수와 개념을 모두 선수에게로 줘 버린 '일부'팬들 [63] KilleR7918 07/06/10 7918 0
31007 임요환의 아스트랄함 [21] 몽키.D.루피8012 07/06/10 8012 0
31005 와일드카드전 대진표가 나왔네요. [56] SKY927431 07/06/10 7431 0
31003 양박저그의 결합효과 확실히 나타나는듯 [31] 처음느낌7285 07/06/10 7285 0
31002 APM 손빠르기에 대하여... [29] 본호라이즌7617 07/06/10 7617 0
31001 오늘 경기중 가장 감동적이었던 장면. [9] 협회바보 FELIX7881 07/06/10 7881 0
31000 All for one, One for All - 두 ACE의 이야기 [7] The xian5701 07/06/10 570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