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2/25 00:03:33
Name 소현
Subject Battle in Zama Regia - 세기의 두 영웅
제목 보고 거부감 드시는 분들에게는 죄송합니다마는...
(왜 거부감이 들까라고 물으신다면... 영어니까... ^^)


이윤열선수와 마재윤선수의 경기를 직접 눈으로 본 저에게
딱 떠오르는 전투가 있었습니다.


자마 레기아 전투(Battle of Zama Regia).


역시 물음표를 던지시는 분들을 위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기원전 202년 고대 로마.
때는 제2차 포에니 전쟁.
한니발 군대는 에스파냐의 영토를 점령한 후 사군툼이라는 에스파냐의 카르타고 기지를 기어나와서 피레네와 알프스를 넘고 로마의 숨통을 조입니다.
"나의 목표는 로마다! 쓸데없이 도중에 군사를 잃지는 않겠다."
이 한니발의 무서운 집념 아래에 한니발이 마르세유로 진격할 줄 알았던 로마는 그야말로 뒤통수를 얻어맞은 격이 되었죠...
4만 대군 중 1만 4천이 알프스를 넘다가 죽고 남은 병력은 2만 6천.
로마의 파비우스 막시무스 장군이 새 사령관이 되자 막시무스 장군은 튼튼하게 방어하자는 전략을 내놓습니다마는...
로마 인의 반응은 이랬습니다.
"막시무스, 겁쟁이! 배신자! 적들보다 훨씬 수가 많은 우리가 어째서 저들과 싸우지 않는단 말인가!" (당시 로마 군 5만 4천)
그래서 결국 로마 군은 막시무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한니발과 대접전을 벌입니다.
이것이 바로 칸나에 전투.
"아버지시여, 아버지의 원한이 이 곳에서 풀어지리이다...!" (한니발)
한니발의 군대는 소수였으나 중군이 적군을 끌어들인 후 좌우 양군이 적을 포위해서 신나게 공격하는 전술을 씀에 따라서 승리.
(삼국지 읽어보신 분이라면 아실 십면매복계와 그 기본 수법이 똑같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이 전투에서 한니발의 군대는 대승을 거두고 로마로 로마로 진격합니다마는...

이때 홀연히 바람처럼 등장한 한 인물이 있었으니
그의 이름은 스키피오.
그는 에스파냐의 카르타고 군을 섬멸하고 즉각 카르타고를 기습합니다.
이 때문에 황급히 돌아와야만 했던 한니발의 군대와 자마 레기아에서 대접전을 치루게 되죠...

자마 레기아 전투.
로마의 젊은 장군 스키피오와 백전의 노장 한니발의 숙명을 건 맞대결.

이 전투는 스키피오의 대승으로 끝납니다.
역사란 참으로 얄궃은 것이...
글쎄, 이 자마 평원에서 스키피오가 썼던 전술이 바로 칸나에에서 한니발이 썼던 전술과 한 치의 오차도 없이 똑같지 않겠습니까!


이제 글을 읽어보신 분은 아시겠지요...
이윤열선수는 저그라는 종족을 상대로 계속되는 승전을 거듭했습니다.
그의 천재적인 플레이는 그에게 말 그대로 천재라는 닉네임을 안겨주었고
그의 센스가 넘치는 플레이 덕분에 많은 선수들이 그 앞에서 무릎을 꿇어야 했습니다.
특히 많은 저그유저들이 그리했지요.

그러나...

그런 저그유저에게 홀연히 나타난 한 사나이,
그의 이름 마재윤.
마재윤선수가 보여주었던 센스는...
오늘 경기를 보면서 느낀 대로 적자면 이 선수가 먼저 나왔으면 천재저그라는 닉네임을 갖지 않았을까 싶더군요.
그렇습니다.
이윤열선수는 오늘... 자신이 그간 보여주었었던 전술의 핵심 그대로 마재윤선수에게 당했다는 느낌이었습니다.


기본적으로 저는 스타를 시작한 지 아주 늦게 되었고(빌드와 상성이라는 기본요소를 안 게 불과 8달 전입니다),
따라서 이윤열선수의 플레이를 그리 자주 보지는 못했습니다마는...
하지만 이윤열선수의 닉네임, 천재라는 것에서 유추해 보았을 때,
단순히 물량보다는 센스있는 플레이, 재기 넘치는 플레이가 그의 주력이라고 생각했기에 글을 이렇게 적었습니다.
그가 센스보다 물량이었다면 천재라는 닉네임을 결코 얻었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그렇습니다.
그 천재는, 홀연히 온게임넷에 나타난 젊은 장군 마재윤에게 전략적인 면에서 자신이 여러 저그들을 울린 만큼 당했다고 해야 할까요... (말이 좀 어렵군요.)
정말 자마 전투가 생각날 만큼... 두 선수, 정말 대단했습니다.


하지만...
비극적인 최후를 마친 한니발과는 달리,
이윤열선수는 아직 기회가 많이, 정말 많이 남아 있습니다...
오늘 마재윤선수의 우승을 보고도 웃을 수 없었던 이유...
바로 이윤열선수의 안타까운 모습... 그리고...
저번 올림푸스 때의 홍진호선수가 생각났기에...


나다... 지금 이 순간,
저는 나다가 다시 결승무대에서 우승하고 웃기를 바랍니다.
자마 레기아에서의 실책을 털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펠릭스~
07/02/25 00:13
수정 아이콘
전 나다가 천재라고 생각하는 입장입니다...
파나소닉때 부터 스타를 보아왔고...
어쩜 우승보다도 힘들다는 부활을 성공적으로 했으니까요..
마재윤 선수가 패배를 극복하고 강해지는 모습을 보여왔듯..
이윤열 선수가 한층 성장하는 계기가 될꺼로 생각합니다.
07/02/25 00:27
수정 아이콘
긍데 그렇게 비유하긴 제가 보기엔 안맞습니다..
일단 자마 평원전투 자체가 스피키오에게 유리했던걸로 기억합니다..
일단 한니발의 기본 전략 자체가 상대방보다 많은 기병수에 전술인데
자마 전투시엔 스피키오군의 기병이 더 많았죠... 그리고 한니발 군대 병력자체의 과반수가 급히만들어진 용병군대였기때문에 이기긴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싸우기전에 한니발도 그걸알고 회담요청해서 싸우지말자고 했고요..
상황자체가 마재윤선수 와 이윤열선수 가 틀려서 비유하기엔 적합하지 않다고 봅니다.
그리고 경기스탈 자체도 이윤열선수와 마재윤선수는 다르다고 보고요...
김사무엘
07/02/25 00:49
수정 아이콘
PvsNP// 제가보기에 이건 느낌 상의 비유니까 그렇게 까칠하게 따져대실 것 까지는 없다고 봅니다.
07/02/25 01:15
수정 아이콘
별로 까칠하게 반론을 제기하신거 같진 않은데;;
문체도 그리 사납지 않고 내용도 별로 적대적이지 않은거 같은데요?
07/02/25 01:51
수정 아이콘
제 댓글이 까칠했다면 소현님께 사과드립니다..(소현님께서 까칠한것 같에서 기분이 나쁘시다면 삭제하겟습니다.)
전 그냥 아는 내용이 나왔고 상황상 안맞는거 같에서 댓글을 달아본 것뿐입니다..
07/02/25 12:13
수정 아이콘
PvsNP님// 괜찮습니다^^
덕분에 모르는 것을 알게 되어서 더욱 좋았습니다- 좋은 지적 감사드립니다!
(제 눈에는 그렇게 까칠하게 보이지 않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760 뉴타입군 VS 마재윤 그 찬란한 결말. [2] 이직신4747 07/03/03 4747 0
29759 김택용 선수의 2.69%를 실현시킨 승리 요인 10가지...그리고 한 줄 요약 [18] 풀업프로브@_@7612 07/03/03 7612 0
29758 오늘까지의 일주일은;;; [4] 냠냠^^*4125 07/03/03 4125 0
29757 본좌의 7일 천하. 그리고 봄에 핀 토스의 꽃 [30] ArcanumToss6909 07/03/03 6909 0
29756 현재진행형 [2] 미나무4056 07/03/03 4056 0
29755 승리토스. [4] 체념토스4267 07/03/03 4267 0
29754 혁명의 완성. [1] seed4662 07/03/03 4662 0
29752 그래도 본좌여 .. 잘 싸우셧습니다 .. [12] 느와르4334 07/03/03 4334 0
29751 예지(결승전 후기) [1] 소현4260 07/03/03 4260 0
29750 마재윤선수... 그도 역시 인간이군요. [14] DodOvtLhs6307 07/03/03 6307 0
29746 완벽 밸런스게임 스타크래프트;; [9] 워3나해야지4994 07/03/03 4994 0
29745 김택용 선수, MSL 우승을 축하합니다! [9] 소년4046 07/03/03 4046 0
29744 김택용 선수, 마재윤 선수 고생하셨습니다. [1] 혀니5224 07/03/03 5224 0
29742 3.3절 프로토스의 대명절&코치계의 박본좌 박용운!!!!!! [30] 처음느낌6657 07/03/03 6657 0
29741 2.69%........... [21] BaekGomToss7769 07/03/03 7769 0
29740 오늘 문자 중계 안하나요??^^ [83] Pride-fc N0-16017 07/03/03 6017 0
29739 오늘 우리집을 잃었습니다. [16] 그녀를기억하6168 07/03/03 6168 0
29737 MSL의 결승. 끝없는 저주인가? 무한한 축복인가? [11] 청보랏빛 영혼6957 07/03/03 6957 0
29736 더블원(Double One)은 이루어질 것인가? [13] 테페리안5122 07/03/03 5122 0
29735 김택용/박용운/박성준 - 대기적을 꼭 만들어내세요~~~ [19] 처음느낌5335 07/03/03 5335 0
29733 [설레발] 광통령, 그리고 어느 반란군 지도자의 이야기 (2) [19] 글곰4309 07/03/03 4309 0
29732 왜 이 논쟁 어느 가운데에서도 선수들의 목소리는 들을 수 없는겁니까!!! [6] 김주인4779 07/03/03 4779 0
29731 골수 토스빠 중의 한명으로서... [9] S_Kun4116 07/03/02 411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