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1/29 16:16:33
Name 식신
Subject ■프로리그/팀리그 정보
■프로리그/팀리그 결승 한번도 못가본 팀
르까프 오즈, eSTRO

■프로리그/팀리그 최다 결승진출 팀
SK텔레콤 T1 9회 (프로리그 7회, 팀리그 2회)

■프로리그/팀리그 최다 우승 팀
SK텔레콤 T1 7회 (프로리그 5회, 팀리그 2회)

■프로리그/팀리그 최다 준우승 팀
KTF 매직엔스 4회 (프로리그 3회, 팀리그 1회)

■연도별 최고의 팀
2003년-CJ 엔투스
2004년-한빛스타즈
2005년-SK텔레콤 T1
2006년-MBC게임 HERO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1/29 16:23
수정 아이콘
케텝......................
겨울나기
07/01/29 16:27
수정 아이콘
케텝아!!!!
막강테란☆
07/01/29 16:31
수정 아이콘
STX 소울은 결승전 언제 가봤죠?
세상속하나밖
07/01/29 16:33
수정 아이콘
피망배였던가요.. 소울이 결승갔을때가.. 팬택한테 진걸로.
EyeInTheSky
07/01/29 16:34
수정 아이콘
막강테란님//2004 스카이프로리그 2라운드때 팬택엔큐리텔 큐리어스 (현 팬택EX) 팀과 결승전을 치룬적이 있답니다 ^^
막강테란☆
07/01/29 16:37
수정 아이콘
EyeInTheSky님// 그렇군요 이제 기억나네요.. 소울팀이 저그를 주축으로 했던 때..
찡하니
07/01/29 16:44
수정 아이콘
소울팀 프로리그 팀리그 합치면 결승전 3번가지 않았어요? 다 준우승이었지만 ㅠㅠ
레인메이커
07/01/29 16:52
수정 아이콘
cj won the championship 4 times.
Forever_Sooyoung
07/01/29 16:53
수정 아이콘
CJ 4번 먹었죠. KTF 그저 눈물이 앞을...ㅜ
상어이빨
07/01/29 17:08
수정 아이콘
준우승...ㅠㅠ
아~ ~~KTF~! 아~~ 홍진호~

홍진호 선수 잠시 Toona SG로 옮겼으나. 그 때 역시 Toona 준우승~~
07/01/29 17:46
수정 아이콘
아; 소울팀; 지금도 온게임넷이 자사 광고&홍보영상 제작할 때 많이 들어가는 소울팀의 준우승 인터뷰... 당시 플레이오프 때 한빛을 5경기서 이긴 유력 선수가 한승엽 선수죠; 무엇보다 2004년의 한빛은 최고=_=! 피망배 도중 박정석 선수와 변길섭 선수가 이적했는데도 우승 2회에 전체 3위 한 번;
07/01/29 21:31
수정 아이콘
소울의 결승진출 횟수는 두번이죠.(프로리그 한번/ 팀리그 한번) 유감스럽게도 두번 다 준우승이었지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003 만약에 이런게임이 벌어진다면...[약간 스포일러] [12] Born_to_run5775 07/02/04 5775 0
29002 마재윤..그의 강함에 이끌리다. [27] 소주는C16933 07/02/04 6933 0
29001 입스타니 뭐니 해도 [41] 잠언7892 07/02/04 7892 0
28999 마재윤과 전상욱, '본좌'와 '4강 테란'인 이유 [24] 라울리스타8552 07/02/04 8552 0
28998 마재윤이 가장 상대하기 까다로운 테란 플레이어... [46] 다크고스트10634 07/02/03 10634 0
28997 [PT4] 1회차 방송 시작 합니다. (종료) kimbilly4177 07/02/03 4177 0
28996 이번 신한은행 3차리그 누가 우승할거같나요? [74] Dennis Rodman5651 07/02/03 5651 0
28994 [PT4] 진행요원 급모집 [6] 캐럿.4482 07/02/03 4482 0
28993 PgR21 Tournament Season 4 오프닝 공개 [13] 삭제됨3779 07/02/03 3779 0
28992 [PT4] 2월 3일 시청을 원하시는 선수를 선택 해 주세요! [22] kimbilly4264 07/02/01 4264 0
28991 SK T1의 선택과 집중, 현재로썬 완벽한 실패같습니다. [58] 김광훈8012 07/02/03 8012 0
28990 프로리그 중계권 분쟁에 대한 분석 [63] 아유5194 07/02/03 5194 0
28989 마재윤이 두려운 이유 [18] 그래서그대는7541 07/02/03 7541 0
28988 강민의 MSL 4강을 앞두고... 강민의 옛 경기들을 추억해봅니다. [37] New)Type6457 07/02/03 6457 0
28985 스타리그 상호등록, 온게임넷이 무엇을 잘못한것인가? [26] Eugene5244 07/02/03 5244 0
28984 신한은행 스타리그 16강 3주차 경기 리뷰. [12] 다크고스트4435 07/02/03 4435 0
28983 [sylent의 B급칼럼] 전상욱의 매너리즘? [33] sylent7529 07/02/03 7529 0
28972 마지막 16강전 허접관전평 및 패배원인...? [2] 신병국3992 07/02/03 3992 0
28971 [PT4] 최종명단 [3] 캐럿.4124 07/02/01 4124 0
28970 [PT4] 맵&1차예선 대진 [7] 캐럿.4179 07/02/01 4179 0
28968 오영종 징크스는 이번시즌도...? [6] love js3995 07/02/03 3995 0
28967 한동욱 - 박성준 전 엄재경해설의 해설이 문제가 되었는데 [79] Eugene8775 07/02/03 8775 0
28966 한동욱이 좋다! [10] 하늘유령4086 07/02/03 408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