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1/28 09:58:31
Name 날라라강민
Subject 본좌의 옛이야기... 그리고 한동욱
2004년 5월 19일이었죠. 슈마지오와 KOR의 프로리그 경기가 있던 날이었습니다.

당시 맵밸런스가 상당히 좋았던 노스텔지어에서 현 본좌 마재윤과 아트 한동욱이 격돌하게 됩니다.

당시 마재윤은 팀리그에서 KTF킬러로 명성을 알리고 있었고 온겜넷에서는 여전히 버로우 중이었죠. 한동욱 선수는 처음으로 스타리그에 직행해 포스트 임요환으로 주가를 올리고 있는 중이었죠.



아무튼 한동욱선수는 노스텔지어 1시, 마재윤선수는 7시에 위치하게 됩니다.

그리고 경기 초반 김동수 당시 해설이 이런 말을 하는데요. 우연히 마재윤선수 개인화면을 보게 되었는데, 신인답지 않게 긴장없이 플레이하는게 확 와닿았다고 하네요.

경기는 일단 한동욱 선수가 3배럭을 하고 마재윤선수는 앞마당의 해처리를 건설하고 무난히 갑니다.



한동욱 선수는 뛰어난 컨트롤으로 전진하지만 마재윤선수가 막아냅니다.

마재윤 선수는 가스멀티를 2개나 시도하면서 우위를 잡아갑니다.



하지만 한동욱 선수 병력을 계속 밀고 내려오면서 선전하고요. 뛰어난 컨트롤도 보여줍니다. 베슬살리는 컨트롤 말이죠.

하지만 디파일러가 나오면서 다시 마재윤선수에게 승기가 기울어 갑니다.



디파일러가 나오자 파이어뱃을 다수 뽑으며 달려드는 한동욱 선수. 잡아냅니다.

그 이후로 한동욱 선수가 멀티를 파괴하며 승리를 따냅니다. 오랜만에 다시 봐도 재미있는 경기네요. 두 선수의 풋풋한 모습을 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뱀꼬리 1. 캡쳐하기 진짜 힘드네요. 사진 계정이 없어서 디씨 기타갤에서 올리고 퍼오고 했다는... 그리고 이게 제 PGR 첫 글이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날라라강민
07/01/28 10:00
수정 아이콘
마재윤 선수 사진 지금 보니깐 소스감인데요 ;;
아웃사이더
07/01/28 10:59
수정 아이콘
저때 이후로 한동욱 선수가 러커상대로 파뱃 주구장창 뽑는 플레이 자주하다 몇번 역전패당했죠;;
07/01/28 11:26
수정 아이콘
마재윤 선수 순간캡처에 희생되나요;;;;;;
CoolLuck
07/01/28 11:40
수정 아이콘
저때 마재윤선수가 정말 잘했는데, 한동욱선수가 한타이밍 교전에서 디펜시브 마린 가지고 신들린 컨트롤 보여주면서 밀어버렸죠.
07/01/28 11:50
수정 아이콘
한동욱 선수가 디파만 보면 파벳뽑아서 저그전 승률 그당시 꽤나 떨어졌을걸요....
07/01/28 13:02
수정 아이콘
갑자기 김동진 선수와 박성준 선수의 레퀴엠 생각이[...]
음, 그런데 저 때 쯤이면 한동욱 선수 4드론의 악몽이 있었을 듯=_=;;;
07/01/28 13:23
수정 아이콘
듀얼토너먼트 패자조에서 박영훈 선수와 루나경기에서 유리한 상황에서 파뱃 뽑다가 앞마당만 먹고 디파 간 박영훈 선수한테 졌던 기억이 나네요; 지금 한동욱 선수 저그전 보고 있으면 상상이 안되네요;
07/01/28 13:40
수정 아이콘
사...사진이...
OvertheTop
07/01/28 16:18
수정 아이콘
많이 기대한 마재윤 선수 경기였었는데 잘한다는 소리가 많아서, 한동욱선수의 임팩트가 커서 가려버렸었죠
제3의타이밍
07/01/28 18:29
수정 아이콘
저 때 저 매치업도 상당히 기대되는 매치업이었던 걸로 아는데.
당시 포스트 임요환이라고 기대받았던 한동욱 선수의 경기력이 상당히 좋았죠.
겨울나기
07/01/29 14:45
수정 아이콘
저당시 문제는 곰덫도 곰덫이지만 역시나 공한증.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092 요번 중계권 이야기에 대해서 어떤 생각들 가지고 계신가요? [15] NavraS4321 07/02/09 4321 0
29091 과연 6년만의 OSL 전대회 우승자 4강진출은 이루어질껏인가 [17] 처음느낌4094 07/02/09 4094 0
29090 [sylent의 B급칼럼] 이윤열 다시보기. [45] sylent6394 07/02/09 6394 0
29089 김택용 선수와 마재윤 선수의 경기가 성사된다면? [40] 티티7212 07/02/09 7212 0
29088 뜬금없이 올리는 맵 밸런스 표준편차 2회 [4] 소현5528 07/02/09 5528 0
29087 PGR21에 선수들 비난는글이 많이올라오는거 같네요 [43] 비류현인4948 07/02/09 4948 0
29086 오늘, 새로운 전설의 시작이 될수 있을까요? [9] justin3965 07/02/09 3965 0
29084 미안합니다, 날라. [6] 에인셀3893 07/02/09 3893 0
29082 강민의 눈감고 풍경화 그리기... 하지만 여전히 그를 응원합니다... [11] 아브락사스4752 07/02/08 4752 0
29080 결승갈만한 급의 선수의 조건은 도대체 뭘까요? [80] 보라도리5780 07/02/08 5780 0
29079 토스팬들은 아무나 올라가도 대동단결이 됩니다. [25] SilentHill4339 07/02/08 4339 0
29078 내일 8강. 대구투어! [14] SKY924192 07/02/08 4192 0
29077 마재윤 선수 한주에 4강 경기를 두번이나ㅜㅜ [13] Pride-fc N0-15654 07/02/08 5654 0
29076 ★여러분이 생각하는 역대 저그대 프로토스의 최고의 경기?! [78] Pride-fc N0-14720 07/02/08 4720 0
29075 MSL 4강 김택용 vs 강민... [48] New)Type6764 07/02/08 6764 0
29073 과연 사상최초 MSL 로얄로더간의 결승이 성사될것인가 [55] 처음느낌5617 07/02/08 5617 0
29072 오늘경기를보고..몇년전의4강..임요환vs서지훈선수의경기가.. [18] 손상모4246 07/02/08 4246 0
29071 2006신한 결산(中) [5] 信主NISSI4575 07/02/08 4575 0
29069 이윤열 선수의 맵운과 대진운. [50] 창이5601 07/02/08 5601 0
29066 디파일러 이후엔 필히 울트라를 가야 한다. [49] 아유5947 07/02/08 5947 0
29065 이윤열 vs 박명수전의 관전평 [119] Canivalentine7199 07/02/08 7199 0
29064 [알림] 2006 년 최우수 게임단으로 선정된 르까프 OZ 팀.... [3] homy4687 07/02/07 4687 0
29063 열리지 않을줄 알았던 카트라이더 5차리그가 열리네요.. [14] 금쥐유저4159 07/02/08 415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