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11/30 22:41:24
Name 공공의적
Subject 아시안게임에서 스타크래프트의 종목채택 확률은.
도하아시안게임 개막이 내일이네요.
축구고,농구고,야구고,
기타 비인기종목이지만 최선을 다하는 선수들의 선전을 기원합니다.
이번 아시안게임부터 서양장기인 체스가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더군요.
뭐 향간의 이야기를 듣자니
멘탈스포츠의 도입이 활발해 질거라네요.
그래서 든 생각인데, 스타크래프트가 아시안게임에 채택될확률은 없을까요?
뭐 많은 장애 요인들이 있겠죠.
하지만 저는 조금만 노력한다면 전혀 불가능하지는 않지 않느냐하는 생각이 듭니다.

먼저, 아시안게임은 사실상 한중일 아시아 빅3의 싸움입니다.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중국은뭐 아예 스포츠로 인정받고 있으니 말입니다.
한국과 중국이 이것을 추진한다면 우선 설득력을 얻을수 있을거 같네요.
(한국과 중국만 하더라도 인기가 어마어마하니 말입니다 ^^)

하지만 아시아는 유럽에 비해 스타를 덜하다는 걱정이 있겟죠.
하지만 우리 이렇게 생각해봅시다.
신생 종목이 실제로 아시안 게임 정식 종목으로 채택될경우
오히려 많은 사람이 기회를 엿봅니다.
(그렇겠죠. 자기네나라는 스타라는 것을 전혀안하는데, 여기서 메달을 따면 아시안게임 연금이 나온다하니 저절로 사람이 모일수밖에요)
약간은 이해가 안가실테지만 실제로 아겜에서 비인기 종목은 이렇게 명목을 유지하고있습니다.
물론 한국과 중국때문에 메달따는것이 쉽지는 않겠지만요.

아, 그리고.
행여나 된다하더라도 우리나라의 금메달 독식이 유력하므로 일본이나 기타등등다른나라는 종합순위 때문에 분명히 반대할겁니다.
이런부분도 생각해봐야겠네요.

아무튼 블리자드에서 라이센스 등등 여러가지 문제만 협조 해준다면 전혀 불가능한것은 아니라고봅니다.
그렇게 보수적이던 공군도 이스포츠를 받아들이고
우리가 꿈에서나 보던 상무팀이 생겼습니다.
하나하나 천천히 하는겁니다


제가 너무 말도않되는 소리를 한거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드네요^^
하지만 저는 꿈꿉니다.
우리한국의 선수가 드라마틱한 승부로 아시안게임금메달을 따주는것을.

10뒤고 20년뒤라도, 이스포츠는 언젠가 진짜 스포츠로 인정받을겁니다!꼭!!!!!!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쥴레이
06/11/30 22:43
수정 아이콘
4년마다 한번이라는걸 생각해보면.. -_-

후우..
EpikHigh-Kebee
06/11/30 22:44
수정 아이콘
스타팬들 빼고 전부 그게 무슨 스포츠냐 이런식으로 나오던데요... 많이 힘들죠.
공공의적
06/11/30 22:44
수정 아이콘
네이버의 덧들을 다는 사람들을 보니 마음이 아프더군요 ㅠ ㅠ
아직도 저딴 오락에 놀아나냐는 말을 쓰는데 뭐라할말은 딱히 안떠올라 슬펐다는 ㅠㅠ 이런분은 상대안하는 편이 낫겟죠?
06/11/30 22:45
수정 아이콘
스타는 힘들겠죠 사실 해외에선 거의 매니아들만 살아있는 게임인데;;

음 그나마 워3는 중국에서 워낙에 인기가 많으니 모르겠습니다만,,
06/11/30 22:46
수정 아이콘
혹시 전국 체전이라면 모르겠네요
공공의적
06/11/30 22:47
수정 아이콘
아 그러고 보니 국내에서 전국체전이라면 가능할수도 있겟네요 바둑도 있고 체스도 있으니 ....
레이지
06/11/30 22:50
수정 아이콘
예전에 포럼님이 말씀하신 내용중에 스타가 스포츠가 될수 없는 이유는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있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Alchemist#TRY
06/11/30 23:02
수정 아이콘
아 윗분 댓글 보니 공감이 갑니다..저작권이 블리자드에 있으니..
아시안게임에서 채택될 확률은 0%이겠군요
06/11/30 23:06
수정 아이콘
드라마틱한 승부... 나올수 있을까?
스타를 스포츠로 보지 않아서가 아닙니다.
경쟁이 되지 않는다는데 있죠
왜 야구가 올림픽에서 제외되었는지를 생각해보셨음 합니다.
어쩌다보면 반대하는 입장을 스타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 입장으로 몰아부치는 게 조금 거슬려서 하는 말입니다.
(어처구니 없지만!! 같은 방식으로 일본에서 미연시를 아시안게임으로 채택하자면 뭐 어쩔수 없는거 아니지 않겠습니까 -_-)
참고로 윗말은 스타를 비하하자는 얘기는 아니고 재미삼아 해본 말일뿐입니다.
우리나라에만 존재하는 프로게이머.. 만약 형평을 고려한다면 예전의 농구와 야구에서처럼 프로가 아닌 아마츄어가 출전하는 형식이 되겠지요-
화염투척사
06/11/30 23:08
수정 아이콘
일어 하나도 몰라도 엔딩을 보고야 마는 한국 미연시 플레이어 무시하나요!
무적뱃살
06/11/30 23:10
수정 아이콘
본인 스타리그빠입니다만 굳이 스포츠로 인정받으려고 할 필요가 있나 오래전부터 생각해왔습니다.
물론 이스포츠라는 용어가 대중성 확보하는 데 기여를 하긴 했습니다만 아무리 생각해도 스포츠라고 생각되지지가 않아서요.
어울리지 않은 옷을 억지로 입고 있는 것같은 느낌이랄까요?
엔터테인먼트의 또 하나의 장르로, 독자적인 문화로 밀고 가는게 특성상 더 어울린다 생각합니다.
06/11/30 23:14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생각으로 스타는 가능성없고.. 가능성이 그나마 있는건 워3 or 카스 정도일듯
06/11/30 23:31
수정 아이콘
스타는 WCG 명맥 유지만으로 만족해야 할겁니다.
06/11/30 23:31
수정 아이콘
체스의 역사가 2500년인가요..

아무래도 스타도 최소 수십 수백년은 지속되야 가능하겠죠
율곡이이
06/11/30 23:39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만해도 게임에 대한 인식이 안 좋지 않나요?
어린얘들이 하는 놀이에 불과하다고 생각하는 인식이 지배적인데...;;
그것보다는 WEG를 알리고 활성화시키는게 더 낫지 싶은데요
highheat
06/11/30 23:48
수정 아이콘
가능성을 떠나 '지적 재산권'이 있는 모든 게임종목은 스포츠 정신에 어긋날 것 같습니다-_-;;
06/12/01 00:16
수정 아이콘
제 또래 상당수 이상이 야구,축구,농구보다는 스타를 더 잼있어 한다는
붉은낙타
06/12/01 00:31
수정 아이콘
워크는 잘하면;
랩퍼친구똥퍼
06/12/01 02:43
수정 아이콘
e-스포츠로 따로 분류되서 굳이 스포츠쪽에 못 들어간다고 생각함.
wcg도 있고 weg도 있고 그것들을 발전시키면 된다고 봄.
WizardMo진종
06/12/01 03:14
수정 아이콘
워3나 카스 정도면 모를까

스타는 1그램도 안될듯;; 유저는 많을지몰라도 국가별 유저가 고르게 있는게 아니라 우리나라에만 너무 한정되어있어서;;
찬양자
06/12/01 04:07
수정 아이콘
Mp3님/제가 님 또래인지는 잘모르지만.....야구는 잘 모르겠고;; 한적이 없어서..저는 스타없어지면 잘살겠지만 축구 농구 없어지면 살맛이 없어질것 같은데요--;
볼텍스
06/12/01 08:37
수정 아이콘
마재윤선수가 1년동안 프로토스전 전패할 확률
임요환선수가 무단탈영할 확률
PC방 듀얼 스타리그 모두 전승우승하는 선수가 나올 확률
프로리그 정규리그 올 3:0셧아웃 결승전까지 4:0 셧아웃시키는 팀이
나올 확률
....
DynamicToss
06/12/01 13:25
수정 아이콘
PC방 듀얼 스타리그 모두 전승우승하는 선수가 나올 확률
이거는 좀 가능성이 있지 말입니다 .
최연성 선수도 MSL 에 승률 90 % 넘었을떄도 있었듯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7639 아시안게임 젤 기대되는종목 농구.... [5] 사신토스4464 06/12/02 4464 0
27638 협회의 랭킹을 신뢰할 수 없는 이유 + 마재윤선수의 단체전 점수에 대한 의문 [63] namo6762 06/12/02 6762 0
27636 지금 야구 보고 계신가요? [287] Nerion5901 06/12/02 5901 0
27635 질리아스를 아시나요.. [30] 김홍석5500 06/12/02 5500 0
27634 SKY프로리그2006 후기리그 STX Soul VS 온게임넷 Sparkyz 엔트리 공개! [187] DNA Killer5167 06/12/02 5167 0
27633 역대 저그본좌 논쟁에서 빠져선 안되는 저그 [70] 노게잇더블넥5961 06/12/02 5961 0
27631 워크래프트3 ACB6차대회 결승전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8] 사기유닛SCV4619 06/12/02 4619 0
27630 마재윤이 공격하게 만드는건? [21] 64675755902 06/12/02 5902 0
27629 이 느낌 너무나 싫은걸요? [25] 혀니5210 06/12/02 5210 0
27628 팬택 vs 르카프 경기 엔트리발표! [78] 미라클신화4667 06/12/02 4667 0
27627 전상욱과 마재윤 경기는 재미가 없다? [부제:로마군의전술] [29] Tsunami4614 06/12/02 4614 0
27626 스타판.... 다시 활기를 되찾다. [18] 無의미3800 06/12/02 3800 0
27625 [TvsZ] 테란의 해법을 제시하라! [18] 이명제4449 06/12/02 4449 0
27624 [응원글]최강칭호를 받고 싶은가? 그렇다면 이윤열을 이겨라 [7] 무적뱃살4041 06/12/02 4041 0
27623 비판의 글을 올리는 것은 때와 타이밍이 필요하지 않을까? [5] OPMAN4241 06/12/02 4241 0
27622 이윤열은 단지 최악의 상황에서 마재윤과 붙은 것 뿐이다. [53] G.N.L6240 06/12/02 6240 0
27621 마재윤선수를 분석해보자! [6] 다쿠5695 06/12/02 5695 0
27620 늦은 슈퍼파이트 3회대회 감상평 [19] 아유4121 06/12/02 4121 0
27619 어제 홍진호 선수 경기를 보고난 후.. [14] [NC]...TesTER4148 06/12/02 4148 0
27618 본좌들의 싸움... 그 뒤에 묻힌 사람... [14] 언젠가는4395 06/12/02 4395 0
27617 마에스트로 마재윤, 누가 더 수준이 높은지 여실히 증명했군요. [79] 김광훈7822 06/12/02 7822 0
27616 대세는 묻어가기. [1] nodelay4150 06/12/02 4150 0
27615 홍진호 선수, 잊지 않겠습니다. [11] DeaDBirD4481 06/12/02 448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