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11/04 01:30:16
Name 홍승식
Subject [제안] 프로리그 사전 엔트리 제출 및 엔트리 교체 방법에 대해
요즘 리그의 중심이 프로리그냐 개인리그냐인 것으로 많은 말들이 오가고 있죠. 프로리그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입장에 선 사람으로서 프로리그의 재미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런 방법은 어떨까 생각해 봤습니다.

1. 사전 엔트리 제출

프로리그의 재미 중의 하나는 당일에 발표되는 엔트리입니다. 엔트리 발표 직전까지의 두근거림은 큰 즐거움이니까요. 하지만 상대를 정확하게 모른다는 것은 경기를 준비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1주일 이상 준비시간이 있는 개인리그에 비해서 경기질을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을 뜻하기도 합니다.

저도 그렇고 다른 분들도 몇번 언급한 바가 있듯이 사전 엔트리를 제출해서 선수들에게 경기를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을 주었으면 합니다. 경기 3일 전 쯤에 발표한다면 준비할 시간으로는 충분하다고 봅니다.

당일에 발표하는 것이 3일전으로만 바뀐 것 뿐이니까 팬들은 경기 3일 전에는 엔트리 발표의 두근거림을 느낄 수 있고 엔트리 발표 후 경기 전까지는 경기에 대한 예상으로 즐거울 수 있습니다. 각 팀에서도 3일 전에 상대 엔트리를 예측하는 것은 똑같은 것이고 경기 준비에 도움이 되니 보다 재밌는 경기를 펼칠 수 있다고 봅니다.

2. 엔트리 교체

사전에 엔트리를 제출하게 되었을 때 상성상 맞물리게 되거나 천적이 붙게 되었을 때, 그리고 선수의 컨디션이 안 좋을 때 등 좋은 경기를 기대하기 힘든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를 대비해서 각 팀마다 엔트리를 교체할 수 있게 해줄 수 있어야 합니다.

저는 엔트리의 교체를 단순히 선수 교체보다는 엔트리 포인트(이하 EP)라는 것을 만들어서 사용하게 했으면 좋겠습니다. 각 팀마다 총 경기수*2의 EP를 가지고 그것으로 선수를 교체하는 거죠. 예를 들어 2007년 전기리그에 각 팀당 20경기를 치른다면 각 팀은 리그 시작시 40EP를 가지고 시작하게 되는 겁니다.

선수를 교체할 때는 같은 종족으로의 교체는 1EP가 소모되고, 다른 종족으로 교체할 때는 2EP가 소모되게 하는 겁니다. 물론 총 포인트의 제한이 있으니 경기당 교체 제한은 없습니다. 또한 EP의 중요성을 높이기 위해 순위를 정할 때에도 승률-승점-EP 순으로 같은 결과가 나왔다면 교체를 적게 한 팀이 순위에서 오를 수 있게 하는 겁니다.

이렇게 되면 온게임넷의 찬수/명수 선수나 동욱/재욱 선수처럼 종족에 특화된 선수를 보유하고 있다면 EP를 적게 소모하고도 역상성을 극복할 수 있을 겁니다. 게다가 리그 후반이 되었을 때 상위권 팀은 EP의 제약이 있을 수 있지만 하위권 팀은 남은 EP 다 써버려도 문제가 없기 때문에 완벽한 스나이핑 엔트리로 고추가루 부대 역할을 톡톡히 할 수도 있죠.

사전 엔트리 제출로 경기 질을 유지하면서도 세트 시작 직전에 교체로 흥미진진함을 배가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현실적으로 스타크래프트 리그를 확대 발전시키려면 개인리그보다는 팀단위리그로 무게 중심이 옮겨져야 한다고 봅니다. 개인리그로는 이미 커져버린 이 판을 유지하기 힘든 것이 사실이니까요. 지금은 개인리그냐 팀단위리그냐 하는 논쟁보다는 어떻게 하면 프로리그를 재미있게 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되지 않나 생각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11/04 01:34
수정 아이콘
EP라는 제도 자체가 쉽네요 보는것도 시행하는것도.. 여태까지의 의견중 제일 재미 있는 방식이 아닌가 싶습니다
loadingangels
06/11/04 12:40
수정 아이콘
저도 찬성인데요...엔트리 교체는 같은 종족에 한에서라는 선에서 마무리 되면 좋겠습니다..
아무래도 종족까지 교체한다면 악용할 가능성도 있어 보이고요..
信主NISSI
06/11/04 14:07
수정 아이콘
위 방식은 분명히 킬러선수들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단, 단점이라면 그 교체포인트를 '강팀'에게 몰아서 쓸 수 있다는 겁니다. 각팀이 굳이 의도하지 않았더라도 리그를 마치고 나면 어느팀이든 EP포인트가 좀더 많이 소모된 팀이 나올 것이고, 이건 형평성에 문제가 있습니다.

내년엔 각팀당 2회씩 격돌하니까, 팀대팀에서 1회나 2회에 한해서 같은 종족으로 교체할 수 있는 정도면 활용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6843 오영종과 박영민 - 대 테란전 완성형 프로토스에 대하여. [22] S_Kun5094 06/11/07 5094 0
26841 서바이버 2라운드 결승전 곧 시작합니다. [418] SKY925654 06/11/07 5654 0
26840 pgr운영진과 매니아들의 의견 충돌, 무엇을 의미 하는걸까??? [71] NeverMind5275 06/11/07 5275 0
26839 프로리그와 개인리그.. 시청자의 선택? [5] 4301 06/11/07 4301 0
26838 [평점 스페셜 이벤트] 역대 최고의 명경기 평점 결과 - COP = 강민 [96] 메딕아빠8564 06/11/06 8564 0
26836 프로리그 와 개인리그 [26] 김주현4468 06/11/07 4468 0
26833 Fourms님의 글입니다. [215] FELIX9193 06/11/07 9193 0
26831 저그의 동그라미, 세모, 네모.세가지 스타일, 세가지 모양. [5] legend5159 06/11/07 5159 0
26830 나같이 그냥 대충 챙겨보는 사람은 프로리그 확대든 뭐든 그냥 예전처럼 [8] 잠언4048 06/11/07 4048 0
26829 깊은 밤엔 음악이 좋다- [2] 루트4422 06/11/07 4422 0
26754 PgR21 vs YGCLAN 대회 맵 추천받습니다 :) [35] 캐럿.4281 06/11/04 4281 0
26353 Pgr + YG 얄딱꾸리 대회 (커뮤니티 최강전) [42] 항즐이6159 06/10/17 6159 0
26823 개인 리그의 한 경기와 프로 리그의 한 경기가 과연 같은 의미인가? [9] 왕초보로템매3982 06/11/07 3982 0
26822 무겁다는 write 버튼을 눌러 봅니다. [28] 레몬막걸리4104 06/11/06 4104 0
26821 토론할 때 신경써야 할 것에 대하여...지난번 경기에 대하여 [6] 화랑^^;;3587 06/11/06 3587 0
26820 잠든사이에 뒤집어진 승부 그리고 첫눈. [12] 하수태란4100 06/11/06 4100 0
26818 박영민은 진정한 프로선수라고 생각... [31] 이즈미르4343 06/11/06 4343 0
26816 왜 많은 사람이 걱정하는가. [10] 포로리4963 06/11/06 4963 0
26815 선수와 팬은 닮아간다.? [3] 영웅을 꿈꾸며4022 06/11/06 4022 0
26814 [Kmc의 험악한 입담] 밥 숟가락 [8] Ntka4775 06/11/06 4775 0
26813 좋구나. 흥분할 상대가 있다는것은. [82] 볼텍스5517 06/11/06 5517 0
26812 SKT T1 VS STX Soul 라인업. [474] SKY928164 06/11/06 8164 0
26811 사나이라면 질럿 남자라면 박정석 [38] KilleR5006 06/11/06 500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