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7/29 00:24:30
Name 한방인생!!!
Subject 블리자드 스타크래프트 최강팀 토너먼트에 참가하는 선수와 팀 목록이 나오고 있네요
Krzysztof "Draco" Nalepka(폴란드 선수, 토스유저, 이름은 드래코라고 불립니다... 저번 커리지매치에서 실패한 전력이 있지요;;)

Sha Jun "Pj" Chun(중국 선수, 토스유저(참고로 여기서는 랜덤으로 출전), 뭐 알만한 분
들은 다 아시리라고 봅니다... SKT1 소속 프로게이머이지요)

Roger "Odin" Gimenes(브라질 선수, 테란유저)

Jonathan "PltO" Walsh(스웨덴 선수, 토스유저)

Peter "Legionnaire" Neate(호주 선수, 토스유저, 이 선수도 뭐 국내팬들한테는 상당히
많이 낮이 익는 선수이지요;; ([구]POS,[현]MBC게임),([구]핵사트론,[현]이네이쳐)에서 활동했었음)

Josu?"Fayth" Sauvageau(캐나다 선수, 토스유저)

Ant?io "Quirion" Pedro Cocco Martins Gusm?(포르투갈 선수, 저그유저)

Simon "ScHnibL0r" M?z(독일 선수, 저그유저)

Dmitry "Advokate" Demichev(러시아 선수, 테란유저)

Ho "In_Dove" Young Song(우리나라 선수, 테란 유저, 이 선수도 아시는분은 아마 아실
겁니다...)

Eugin "Strelok" Oparyshev(우크라이나 선수, 테란유저)

Dae "CrayOn" Yoo(미국 선수, 저그유저, 이 선수도 종종 리플레이 싸이트에 언급 되고
있지요...)

Geoff "iNcontroL" Robinson(미국 선수, 저그유저)

Jaimie "MidiaN" Hallam(영국 선수, 저그유저, 이 선수는 ToT길드에서 활동하는 선수로
서 리플레이 싸이트에 언급되는 선수중에 한분이지요...)

Jussi "KaaZ" Hallman (스웨덴 선수, 저그유저)

Yang "SEn" Chia Cheng(대만 선수, 저그유저, 이 선수도 마찬가지로 ToT길드에서 활동
하는 선수로서 마찬가지로 리플레이 싸이트에 언급되는 선수중 한분입니다...)

Christoph "Mondragon" Semke(독일 선수, 저그유저, 이 선수는 ToT길드의 대표선수로
서 여러 리플레이 싸이트에 가장 많이 언급되는 외국인 선수중 한분이지요... 뭐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David “SquaLL” Saez (스페인 선수, 저그유저)

Eduardo “ZeloTITO” Castello(스페인 선수, 토스유저)

Nick “Testie” Perentesis(캐나다 선수, 랜덤유저, 이 선수도 외국인 선수중에서는 많이
유명한 선수이지요... 제작년 WCG에서 이재훈선수와 대결한적이 있는 선수이고 이 선수
도 리플레이 싸이트에서 언급되는 외국인 선수중 한명입니다...)

Fredrik “FiSheYe” Keitel (독일 선수, 토스유저, 이 선수도 유명한건 들어봤습니다만...
얼마나 유명한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아시는분이 계시다면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참가하는 팀 목록

파이터포럼(한국)
팀리퀴드(네덜란드)
고수게이머즈(스웨덴)
브루드워.디(독일)
에스시레가시(미국)

아무튼 이렇게 참가하구요... 나머지 선수들과 팀은 차후에 계속 공개된다고 하는군요;;

여기에 우리나라 선수와 팀이 참가한다니 좋은결과를 보여주면 좋겠군요...

참고로 총 상금은 2만 달러와 우승팀 주장에게 주어지는 스타크래프트를 할때 주로 쓰는

하드웨어, 한달동안 우승한 커뮤니티로 링크되는 축하 배너가 걸린다고 하더군요;;

출처는 www.battlenet.co.kr에서 퍼왔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G.s)TimeleSs
06/07/29 00:36
수정 아이콘
네임벨류있는 외국선수들이 많이 나오는거 같군요. 기대됩니다 :)
06/07/29 00:36
수정 아이콘
그 .. 그런데.. 팀 이름이 꼭 파이터포럼 이어야 하나요,,? 하기야 .. 파펠의 저주가 외국에서도 통하지는 않겠죠? , 어쨋든 파이터포럼팀 화이팅 입니다 ^^
하얀그림자
06/07/29 00:37
수정 아이콘
팀리퀴드 기대 되네용 ㅎ
똘똘한아이'.'
06/07/29 00:38
수정 아이콘
흠..이번 대회날짜가 언제죠?? 이것떄문에 서바이버 예선 참가 안한건가..준춘샤 선수는 글구 피터선수 반갑네요~~^^ 드라코 선수는 커리지매치 에서 입상 못하셧나바요..외국인 선수 울나라에서 보길 바랫는데~~몬 드라곤 선수도 잇고 여튼 울나라 선수 잘하시길~~
모또모또
06/07/29 00:41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프로게이머들 나가나요? 저번 wcg보니까 엥간한 선수 나가가지고는 쉽지 않겠던데
TicTacToe
06/07/29 00:51
수정 아이콘
컴백 피간지!
06/07/29 00:53
수정 아이콘
물고기눈은 꽤 유명한 선수죠
이용범 선수 우승시에 준우승 경력도 있고
작년인가 강민선수를 한번 잡았던 걸로(물론 강민선수의 도박이 실패해서지만) 기억합니다

그나저나 안드로이드나 블랙맨은 참여 아직안했나요 @_@?
FuroLeague
06/07/29 03:18
수정 아이콘
피간지!!!
FuroLeague
06/07/29 03:19
수정 아이콘
근데 한국선수인 In_Dove님이 나간다는게 약간 의외이긴하네요
체념토스
06/07/29 09:32
수정 아이콘
오호 In_Dove님이 나가는 군요...

저분 마린메딕 컨이.. 정말 좋은 시죠...

럴커 보이면
한동욱선수처럼 뒤도 돌아보지 않고 달리던데......

굉장히 재밌겠네요..

경기 수준은.. 거의 아마최고수 ,준프로..... ,프로 ...

이정도 레벨이 되겠네요
Eye of Beholder
06/07/29 09:34
수정 아이콘
Mondi가 어떤 경기를 보여줄지 기대되네요.
모또모또
06/07/29 10:06
수정 아이콘
글쎄요 우리나라선수가 쉽게 생각할 상대가 몇 없어보이고 상당히 버거워 보이는 상대들이 반수이상인데 우승하면 기적일듯
FuroLeague
06/07/29 10:08
수정 아이콘
In_Dove님도 고수이긴하지만 우승하긴 상당히 어려울거같군요..
한동욱최고V
06/07/29 10:56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선수는 한명밖에 없는 듯 한데..
정지환
06/07/29 11:03
수정 아이콘
피터선수는 (구)POS (현)이네이쳐가 아니라
구POS(현MBC) -> 구헥사트론(현이네이쳐)라고 표기되어야 하는것 아닌지...
한방인생!!!
06/07/29 11:15
수정 아이콘
정지환//수정했습니다...
06/07/29 11:28
수정 아이콘
저 선수가 현재 WCG 대표선발전에 명단이 있는 상태이고
소속도 "한빛"이라는 말이 있던데...그것은 어떻게 된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제가 궁금한 것은 소속이거든요.
풍류랑
06/07/29 12:10
수정 아이콘
저는 더 궁금한게

스타크래프트를 할때 주로 쓰는 하드웨어 입니다;;;;;;

펜티엄-I 128ram만해도 충분하다 생각하기에~
06/07/29 12:23
수정 아이콘
도브 님, 예전에 모 사이트 챗방에서 한빛의 연습생으로 들어갔단 말을 들은 기억이 있습니다만... 그 전에는 당사자랑 게임도 하고 게임하는 모습도 보긴 했는데 그 소식 들은 이후로는 별로 뵌 기억이 없네요.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플레이어 중 한 사람입니다. 나중에 프로게이머 되서 방송에서 보게 되면 좋겠군요. 그러길 바랍니다.
06/07/29 12:25
수정 아이콘
피간지!!!!
마술사
06/07/29 15:16
수정 아이콘
In_Dove님, 어디선가 많이 봤던 아이디인데 하고 고민했었는데
작년에 했던 홍진호팬까페 스타리그에서 우승하신 분이셨네요^^
화이팅입니다
정남일
06/07/29 19:03
수정 아이콘
Fredrik “FiSheYe” Keitel 은 이용범선수가 wcg우승할때 준우승했던 선수같은데.. 잘 기억이 나지는 않네요
06/07/30 10:40
수정 아이콘
피간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6831 저그의 동그라미, 세모, 네모.세가지 스타일, 세가지 모양. [5] legend5395 06/11/07 5395 0
26830 나같이 그냥 대충 챙겨보는 사람은 프로리그 확대든 뭐든 그냥 예전처럼 [8] 잠언4256 06/11/07 4256 0
26829 깊은 밤엔 음악이 좋다- [2] 루트4632 06/11/07 4632 0
26754 PgR21 vs YGCLAN 대회 맵 추천받습니다 :) [35] 캐럿.4497 06/11/04 4497 0
26353 Pgr + YG 얄딱꾸리 대회 (커뮤니티 최강전) [42] 항즐이6356 06/10/17 6356 0
26823 개인 리그의 한 경기와 프로 리그의 한 경기가 과연 같은 의미인가? [9] 왕초보로템매4183 06/11/07 4183 0
26822 무겁다는 write 버튼을 눌러 봅니다. [28] 레몬막걸리4355 06/11/06 4355 0
26821 토론할 때 신경써야 할 것에 대하여...지난번 경기에 대하여 [6] 화랑^^;;3757 06/11/06 3757 0
26820 잠든사이에 뒤집어진 승부 그리고 첫눈. [12] 하수태란4281 06/11/06 4281 0
26818 박영민은 진정한 프로선수라고 생각... [31] 이즈미르4556 06/11/06 4556 0
26816 왜 많은 사람이 걱정하는가. [10] 포로리5246 06/11/06 5246 0
26815 선수와 팬은 닮아간다.? [3] 영웅을 꿈꾸며4200 06/11/06 4200 0
26814 [Kmc의 험악한 입담] 밥 숟가락 [8] Ntka5031 06/11/06 5031 0
26813 좋구나. 흥분할 상대가 있다는것은. [82] 볼텍스5810 06/11/06 5810 0
26812 SKT T1 VS STX Soul 라인업. [474] SKY928382 06/11/06 8382 0
26811 사나이라면 질럿 남자라면 박정석 [38] KilleR5248 06/11/06 5248 0
26810 [잡담]솔직히 말해서 혹은 객관적으로 [10] sway with me4301 06/11/06 4301 0
26809 [sylent의 B급칼럼] 프로리그 확대 방안에 대한 단상 [28] sylent5455 06/11/06 5455 0
26808 스타방송 중독증!? [11] 쿠야미4370 06/11/06 4370 0
26805 이기거나, 지거나. 혹은비기거나 [135] 호수청년5786 06/11/06 5786 0
26804 홍진호선수와 나를 바라보면서. [4] Sohyeon4508 06/11/06 4508 0
26803 프로리그의 기본 단위는 '팀'이 아니었던가요 .. [12] 4345 06/11/06 4345 0
26802 용산전자상가 되살리기? [30] partita5791 06/11/06 579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