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6/16 09:41:20
Name CJ-처음이란
Subject 마스터.
메이져 리그를 즐겨 보시는 분들이라면 '마스터'를 듣고 떠오르는 이름이 있겠죠?.

꾸준함의 대명사 17년 연속 15승 이상 18년 연속 14승이상(진행형)기록하고 있는

대투수. 네. 제구력의 마술사, 그렉 매덕스입니다.

힘으로 윽박지르는 스타일이 아닌 원하는 곳으로 공을 찔러넣는 그를 보며 운영으로

상대를 몰아부치는 마스터가 언뜻 겹쳐보이기도 하네요.

어제 처음 저그의 마스터라는 닉넴을 들었습니다.

그전 마에스트로라는 별명도 굉장히 듣기 좋고 멋져 보였는데 어제 5경기를 보고난

후 '마스터'라는 별명이 정말 완벽하게 부합된다고 생각하는 그 사람(?)을 느꼈습니다.

완벽하게 상대의 숨통을 조이는 틈이 안보이는,상대의 수를 읽고 한번더 패를 꼬고

몰아치는 저그 마스터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제 경락 마사지,폭풍 이것마져 완벽히 갖춘다면 정말 '마스터'의 칭호가 부족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마스터. 마스터. 이제 한가지만 남았네요.

가장 큰 적. 과연 넘어 갈 수 있을까 할만큼 강한 그적.





온게임넷. 꼭 뛰어넘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06/16 09:43
수정 아이콘
마재윤의 스타일은 이미 다 파악되었다,자기 할것만 하다보니 이제는 진다라는 평가가 무색해지더군요.마재윤선수 날이 바짝 서있습니다.
Planetarium
06/06/16 09:52
수정 아이콘
여담이지만 매덕스가 시즌 초에 4연승인가 5연승인가 할때는, 로켓이나 빅유닛처럼 나이를 거꾸로 먹는게 아닌가 걱정했습니다만(?) 요즘은 정상적으로 먹는 것 같아서 아쉽습니다.-_- 시즌 초에는 통산 2점대 방어율로 내려가나 싶었습니다만...;;;;
06/06/16 09:58
수정 아이콘
'마에스트로'는 너무 길어요.
진짜 '마스터'로 했으면 합니다.
옌 n 엔
06/06/16 10:01
수정 아이콘
어제 5경기는 정말 저그 '마스터'의 포스 였죠;
근데 어감이나.. 분위기는 '마에스트로'가 좀 있어보이게 느껴져서(..);
전 그냥 마에스트로로 별칭이 정해졌으면 좋겠네요;
어쨌거나 어제 5경기는 그저 [마스터!] ......
CJ-처음이란
06/06/16 10:14
수정 아이콘
네 사실 메덕스 초반광분모드하고 살짝 주춤하고있다는 이야기를 넣을려고했는데;; 마재윤선수가 광분해서 빼버렸습니다. 그러나 저러나 꽤 길게썻다고생각해서 15줄 규정에 위험이 없겠구나 했는데 딱15줄이네요 헐..
부들부들
06/06/16 10:21
수정 아이콘
세중에는 꿀통이, 메가스튜디오에는 곰덫이 있다고 하던데
곰덫 뽀개고(?) 올라가야죠~

신한은행배 2차리그에서는 꼭 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일단 올라오기만 하면... 덜덜일거예요
Peppermint
06/06/16 10:29
수정 아이콘
"마스터"라고만 하면 뭔가 헛헛한데 "저그마스터"라고 하면 느낌이 좋아요.
"저그마스터"는 좀더 실질적이고 젊은 느낌이라면 "마에스트로"는 중후한 거장의 느낌이 나는듯..
뭐든 좋습니다. MSL 활약 후 온겜 입성이라는 전통을 마스터도 충실히 따라줄 것이라 믿습니다.
06/06/16 10:56
수정 아이콘
최연성 선수가 MSL 2회-3회 우승할 시기에 스타리그로 진출했던걸 감안하면 딱 신한 2시즌이 곰덫 탈출의 기회이긴 하네요.ㅡㅡa
GrandBleU
06/06/16 12:53
수정 아이콘
저그마스터라... 소스하나 잡히면 저곰마스터라는 닉이 나올 것 같아요
Grateful Days~
06/06/16 13:50
수정 아이콘
이러다 마스터로 정해지면 이제 CJ에 맛스타러시가 시작될지도.
06/06/16 13:52
수정 아이콘
온게임넷은 맵들이 초반전략과 빌드 컨트롤 지향 성향의 맵이 많아서 그런지 마재윤선수랑 잘 안맞는것 같습니다. 마재윤선수는 저그 최고의 운영가이거든요. 컨트롤 위주의 테란한테는 많이 잡히는 모습을 종종 보여주죠.
06/06/16 14:37
수정 아이콘
요즘 들어선 마재윤 선수가 온게임넷에 없어서
온게임넷 리그가 권위가 덜해보이는 느낌까지 들더군요...

강한자가 이긴다-엠겜
이기면 강한거다-온겜
06/06/16 14:38
수정 아이콘
Grateful Days~님/ 맛스타 일반인도 구할수 있나요?
맛스타 먹고 싶다. 행군 할때 먹은 오렌지 맛스타에 건빵맛은 잊을수가 없다.
폴로매니아
06/06/16 16:26
수정 아이콘
무슨 롤플레잉게임하는것도 아니고 저그마스터는 좀 유치하죠 마에스트로가 제일 나은듯합니다.
초록추억
06/06/16 16:58
수정 아이콘
폴로매니아// 실력이 모자란 선수에게 '마스터'라는 호칭을 붙인다면 굉장히 유치하게 보일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쬐끄만 꼬맹이가 70점 짜리 시험지를 들고는 '음하하하!!난 천재야!'라고 하는것과 별로 다르지 않거든요.
하지만, 실력과 업적이 빛나는 이 - 예를들어 아인슈타인- 에게 그의 지인들이 '아인슈타인!!당신은 진정 물리학의 천재요!!'라고 말하는것이 유치할까요..?

마스터라는 호칭이 유치하게 들리는 이유는 마스터라는 단어가 가지는 의미에 비해 지나치게 가볍게 -업적에 어울리지 않는 이들의 호칭으로- 사용되어져 왔기 때문입니다.

매덕스 앞으로 가서 '마스터라구요...?유치합니다'라고 말씀해보시죠.

본문에 나온대로, 마스터라는 단어의 의미와 그의 플레이는 부합하는 측면이 굉장히 많습니다. 그의 실력이 유치한 별명에 권위라는 의미를 부여해 주는 것이죠.

폴로매니아님은 굉장히 말을 함부로 -주장에 근거가 항상 부족합니다- 하시는 경향이 강하시던데...자제를 부탁드려도 될까요?
마술사
06/06/16 18:02
수정 아이콘
마에스트로가 더 멋져보이는건 왜일까요..
CJ-처음이란
06/06/16 18:24
수정 아이콘
저도 멋진건 마에스트로가 더멋진데.의미를 살펴보면 마스터. 황제에 버금가는 의미라고 봅니다. 음..그래서 결론은.. 둘다하면 안되겠니?.(죄송-_-)
CJ-처음이란
06/06/16 18:26
수정 아이콘
폴로매니아님//유치란건 좀 안맞는것같군요. 롤플레잉을 잘안해서그런지 뭐 어떤게 유치하다는지모르겠지만 초록추억님말씀처럼 야구팬앞에서 "마스터 그랙매덕스?야 마스터가 모냐?유치하게"라고 말하신다면 큰일날겁니다;;.
06/06/16 22:24
수정 아이콘
마스터는 정말 후덜덜한 호칭인데... 요즘 개나소나 출판하는 판타지소설에서 9서클 마스터니 소드마스터니 남발을 하고 게임에서도 숟하게 나오는지라, 별거아닌.. '쫌 하는?' 정도로 인식하는 분들도 많더군요.;;;

참고로 매덕스에게 마스터란 별칭이 언제 붙여졌는지는 모르겠지만, 전성기때에는 파워피쳐였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스타일을 바꾼거죠.
06/06/20 01:50
수정 아이콘
영 맘에 안드는사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4127 최종 11주차 모든게임이 다 빅게임.... [32] 초보랜덤4955 06/07/03 4955 0
24126 ESWC 방송이 진행중입니다. [10] Grateful Days~4196 06/07/03 4196 0
24125 펭귄프로그램.. [20] 김영모4891 06/07/03 4891 0
24121 르카프vsCJ 엔트리입니다^^ [195] 똘똘한아이'.'6134 06/07/03 6134 0
24119 프로-스펙스를 다시 신고 싶습니다. [51] 냥이5924 06/07/03 5924 0
24117 [잡담]전역3개월...안녕들 하시죠? [29] 언뜻 유재석4598 06/07/03 4598 0
24116 씁쓸합니다 [45] 플토는 나의 힘5557 06/07/03 5557 0
24115 [잡담] 지식도 먹거리처럼 꼭꼭 씹어먹자 [14] 포르티4078 06/07/03 4078 0
24113 스카이 프로리그 2006 포스트시즌 티켓의 향방... [22] lotte_giants5521 06/07/02 5521 0
24112 그냥 만화이야기 [11] 올빼미5105 06/07/02 5105 0
24111 누가 광안리로 직행할까요? [107] 초보랜덤7590 06/07/02 7590 0
24110 이거이거...누가 mvp가 될런지! [39] My name is J4784 06/07/02 4784 0
24108 이번 몰수패, 과연 규정고지가 정확이 되었을까요? [109] kai8586 06/07/02 8586 0
24105 [ESWC 2006]워3와 카스 남은 경기들입니다. [27] BluSkai4369 06/07/02 4369 0
24104 HANBIT VS MBC LINE UP (저그 vs 테란 스폐셜) [177] 초보랜덤6106 06/07/02 6106 0
24103 태왕사신기. '바람의 나라' 표절/도용 아니라고 판결이 났군요. [28] The xian5515 06/07/02 5515 0
24102 잊혀지지 않기 위하여 - 히어로 팀 응원글 [18] Observer4133 06/07/02 4133 0
24101 전기리그 막판 시청률 올리기? [23] 웃기는사람6809 06/07/01 6809 0
24099 포스트시즌을 거는 마지막 일전....... T1 VS 팬택 EX...... [55] SKY925862 06/07/01 5862 0
24098 프라이드 무차별급 그랑프리 2회전 매치 결과(제 6경기 추가) [15] The xian4477 06/07/01 4477 0
24097 블리자드 주최, 전세계 스타크래프트 대회 개최 [16] 벨로시렙터4667 06/07/01 4667 0
24095 엠겜과 온겜 색감 비교 - 엠겜 주관 경기 [14] 이희락4148 06/07/01 4148 0
24094 온게임넷 vs STX 엔트리 나왔네요(스포) [66] 성대모사달인4284 06/07/01 428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