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5/19 04:22:53
Name 설아
Subject 왜 프로리그와 개인리그 성적이 반비례하는가?
요새 프로리그에서든지, 개인리그에서든지 잘나가고 있는 프로게이머들을 보고 있자면

대부분이 개인리그와 프로리그 성적이 반비례합니다.

솔직히 저로선 이해가 갈듯 말듯 합니다.

개인리그에서 성적이 좋은 선수는 당연히 '기세' 나 '마인드'면에서 좋을 수 밖에 없고

그것이 프로리그로 이어 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이 저의 생각이었습니다.

연습하는 맵도 그렇게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그런데 왜 이렇게 프로리그와 개인리그 성적이 반비례 할까요?

-------------------------------------------------------------------------------
솔직히 프로리그 입장에서는 개인리그에서 성적이 좋은 프로게이머는 당연히 프로리그에서도 성적이 좋아야 흥행으로서 좋을 수 밖에 없습니다. 왜냐구요? 각 팀에서 로스터를 발표했을때 개인리그에서 잘나가는 선수들이 나온다, 또는 준우승,우승 했던 선수들이 붙는다 이런식으로 관심거리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만약 개인리그 성적이 좋은 선수가 프로리그에 나오는 족족 패배를 기록하게 된다면, 개인리그 우승이니 뭐니 개인리그 성적 좋은 선수가 로스터에 나와도 흥미거리가 줄어 들게 됩니다.
'에잇 저 선수 개인리그에만 잘하지 프로리그에서는 꽝이던데 뭘...'
개인리그에서 무적의 포스를 자랑하던 선수가 프로리그에서는 '질 수 도 있다.' 또는 '질거야.'라는 생각이 들게 된다면, 보는 입장에서 상당히 경기에 대한 기대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

팀 입장에서도 개인리그에 분위기 좋은 선수가 프로리그에서도 좋은 성적 보이면 좋을텐데요...

e-sports팬 입장으로서 현재 프로리그와 개인리그 성적이 반비례 하는 현상은 보기가 좋지만은 않네요...

개인리그 성적이 프로리그로 곧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제도적인 측면으로 어떻게 할 방법은 없는 것일까요? 만약 있다면 그렇게 행하는게 도리라고 생각합니다.


p.s 점선 안에 있는 내용은 순전히 저의 관점입니다. 개인리그 성적이 좋은 선수가 프로리그에서는 질 수도 있다는 점이 오히려 재밌다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전 다만 개인리그의 기세가 프로리그에서도 그대로 전이 되는 것을 바랄 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05/19 04:24
수정 아이콘
문법이라든지, 맞춤법이라든지, 논지 전개의 어색함이라던지, 잘못된 것 이 있으면 말씀해 주세요. 다음에 글 쓸땐 참고하여 쓰겠습니다. 2번째 쓰는 글이라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아슷흐랄
06/05/19 04:37
수정 아이콘
전반적으로 상향평준화된 프로게이머들의 실력, 이게 원인인 것 같습니다.

상대와 맵이 정해져있는 개인리그와 달리, 짐작은 할 수 있겠지만 종족 - 나아가서는 같은 종족이라도 선수별로 다른 스타일 - 을 알 수 없는 프로리그의 방식이 선수들에게 큰 부담이 되는 모양이에요.

이제는 S급 -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표현입니다만 딱히 다른 말을 찾을 수가 없네요 - 게이머라도 한 게임, 한 게임을 위해 철저하게 준비해오지않는 이상 신예게이머나 상대적으로 이름이 덜 알려진 게이머에게 이긴다고 자신할 수 없을겁니다.

제한된 시간내에서 개인리그와 프로리그 연습을 모두 하려면 무리가 오는거죠.

뭐... 제가 응원하는 선수가 개인리그, 프로리그에서 모두 날아다닌다면야 그야말로 홍조♥지만, 어쩌겠습니까.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ㅁ<
T1팬_이상윤
06/05/19 05:24
수정 아이콘
아슷흐랄님 말씀대로 프로게이머들간의 실력의 차이는 거의 없는편인지라...... 양대리그 그랜드슬램이니 이런말들은 이제 옛말이 되어버린것 같습니다.
06/05/19 06:01
수정 아이콘
실력차이가 없는 상황에서 오영종 선수의 백두대간 출전과도 같은 예상치 못한 엔트리라면 MBC 박성준 선수나 CJ 마재윤 선수, T1 박태민 선수라고 할 지라도 고전할 수도 있을 겁니다. 그만큼 실력이 상향 평준화 되어있는 상황에서 균형을 깨트릴 수 있는 조건인 출전할 가능성이 있는 상대방에 대한 대비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설령 상대방을 예상은 했더라도 실력이 동등하게 된 프로게이머들이라고 해도 아스트랄함, 전략 등등에 밀릴 수 있지요. 대표적으로 에결의 강민 선수...-_-;]
T1팬_이상윤
06/05/19 06:13
수정 아이콘
선수들의 전체적인 실력이 상향평준화 되어가다 보니 운, 당일 컨디션등 경기외적인 부분이 예전에 비해서 많이 작용하고 있죠.
서지훈'카리스
06/05/19 07:44
수정 아이콘
프로리그에서.. 랑 개인전의 차이...
대부분 팀에서 프로리그는 각 맵마다 선수가 정해져있어서 자기가 맡은 한 맵만 많이 연습하게 되는 반면...
개인리그는 모든 맵을 골고루 연습해야 되는 차이...
06/05/19 08:27
수정 아이콘
뛰고 싶어도 못 뛰는 선수와 뛰고 또 뛰는 선수의 차이라 할까요?
프로리그는 맵집중도가 강하고, 개인리그는 개인 집중도가 강하므로
맵집중도가 강한 선수가 개인 집중도까지 확률을 높힌다면 거의
필승이 아닐까요?
06/05/19 08:57
수정 아이콘
둘다 좋은선수는 강민선수랑 또 최연성선수 그리고 또 딱히 떠오르는 사람이 없네요..
토스희망봉사
06/05/19 09:13
수정 아이콘
프로게이머 들도 일정한 맵에서는 더 잘하는 사람들이 있을것 같은데요

전태규 선수 같은 경우에도 루나에서는 거의 승률 70% 이상을 자랑할 정도로 루나의 신으로 군림 했었지요
축구 선수들도 일정한 스트라이크 존에서는 더 잘한다고 합니다. 그것처럼 선수들도 어떤 특정 맵에서 더 잘하는 선수들이 있겠죠
06/05/19 09:29
수정 아이콘
개인리그 잘하면 대부분 프로리그도 잘하죠 임요환선수가 원래 아스트랄할뿐 -_-
06/05/19 09:59
수정 아이콘
프로리그도 1주일이나 단 며칠이라도 대진을 결정해서 발표하면 어떨까요? 그러면, 맵과 상대가 다 정해진 상태니까 연습도 더 잘할수 있을거고, 개인리그와 비슷해지니까 대체로 개인리그 잘하는 사람들이 이길 확률이 더 높아질 듯 하네요.
WizardMo진종
06/05/19 10:22
수정 아이콘
개인전은 상대에 맞춰서 빌드나 뽀록류를 준비해올수있다만, 프로리그의 경우 같은종족전 싸움이 많고 엔트리 예측이 빚나갈수 있기때문에 기본기 싸움이 주가되는경우가 많습니다.
06/05/19 10:25
수정 아이콘
일반화 하긴 힘들지만, 전략형 게이머가 개인리그에 강하고 물량형 게이머가 프로리그에 강하지 않을까요.
귀얇기2mm
06/05/19 12:13
수정 아이콘
개인리그는 맵과 상대 선수, 그리고 상대 종족을 알고 있어 그에 맞춰 준비할 수 있지만, 프로리그는 맵 외엔 확실한게 없죠. -_-a 또한, 선호맵이나 잘하는 맵에 따라 출전 할 수 있는 프로리그와는 달리 개인 리그는 싫거나 불리한 맵이라고 피할 수도 없고요.

프로토스 선수를 예로 들면, 프로토스에게 극도로 암울한 맵이 개인 리그와 프로 리그에서 사용될 경우, 개인 리그에서는 이 맵으로 인해 PC방으로 갈 수 있지만(예전에 듀얼 5경기 맵이 머큐리였던 것처럼), 프로 리그에선 그 맵에서 안나오면 그만이죠. -_-a
T1팬_이상윤
06/05/19 22:24
수정 아이콘
WizardMo진종님//근데 포스트시즌에선 레퀴엠에서 전상욱 선수가 보여준 8배럭 벙커링 같은 극단적인 필살기가 사용되기도 하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3377 스타크래프트 경기에 카메라를 좀 더 동원하자!! [13] Mr.bin4047 06/05/20 4047 0
23376 롯데가 또 6연패를 끊었습니다. [50] EzMura4785 06/05/20 4785 0
23375 [잡담] 조그마한 스타대회를 나갔습니다.. [17] 두목3799 06/05/20 3799 0
23374 오늘의 SKY 프로리그 2006 SKT T1 VS 한빛 Stars 후기. [22] SKY924537 06/05/20 4537 0
23373 [잡담] 이제 게임보러 안갈래요...우울- [15] My name is J4299 06/05/20 4299 0
23372 이번주 최대의 빅뱅 KTF VS CJ [27] 초보랜덤5003 06/05/20 5003 0
23371 또 한명의 여성 프로게이머 출신 방송인 - 이종미 [9] Means5345 06/05/20 5345 0
23369 동지들이여 그대들은 가능한가? 달콤한 유혹을 뿌리칠 수 있을 것인가? [11] 워크초짜6081 06/05/20 6081 0
23368 최가람 선수 테마곡에 대한 짧은 해프닝! [15] 그남자_Eom4438 06/05/20 4438 0
23367 시로사기와 쿠로사기.. 임요환과 최가람.... [9] 이슬라나5135 06/05/20 5135 0
23366 어제 임요환선수 VS 최가람선수 2경기에 대한 소고. [34] 4thrace6203 06/05/20 6203 0
23365 뜬금없이 염보성 선수의 우승 가능성.. [12] Den_Zang3994 06/05/20 3994 0
23363 홍진호선수는 조용호선수랑 연습하면 되겠네요. [20] 김정재5015 06/05/20 5015 0
23362 저 울어도 되나요? [12] 아스피린 소년5480 06/05/20 5480 0
23361 반전을 좋아하십니까? [1] Theses3702 06/05/20 3702 0
23359 롯데 자이언츠와 E네이쳐팀. [44] 햇살같은미소3873 06/05/19 3873 0
23358 한판만........ 한판만....... 한판만 더이겼더라면....... [26] SKY925847 06/05/19 5847 0
23357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1st 저그의 강세가 눈에 띄는군요 [21] T1팬_이상윤4375 06/05/19 4375 0
23356 처음으로 ... 임요환 선수가 미워보입니다 [24] 볼텍스6301 06/05/19 6301 0
23355 아주 사소하고 가벼운 임요환선수 vs 최가람선수 3경기 분석. [17] 4thrace4935 06/05/19 4935 0
23354 최가람의 승리에 대한 제멋대로인 생각, 축하 [27] pioren3914 06/05/19 3914 0
23353 임요환 선수 힘싸움의 자신감을 잃어버리셨나요??? [69] 아우구스투스5777 06/05/19 5777 0
23350 꺄아- 홍진호 선수 1경기 승리했어요+_+ [255] Be the Arabian5707 06/05/19 570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