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4/29 15:06:27
Name XoltCounteR
Subject 결과론적인 주제로 함부로 쉽게 비판하지 않았으면....
어제 스타리그 모두 재밌게 시청하셨는지요...'_';
전 어제 운동을 늦게 가서 헬스장에서 경기를 본 덕에 해설을 하나도 못들으면서 봤네요...-_-;;
한선수 경기가 끝날때마다 집에가려고 시도해봤습니다만 가는 사이에 경기가 지나가버릴것 같아서 결국 끝날때까지 가벼운 유산소운동을 하면서 경기를 봤더니(TV는 러닝 머신이랑 싸이클 앞에만 있는 관계로....-_-;;;)...가랑비에 옷버리듯...오늘 아침에 힘이 하나도 없어요...-_-;;;;;;;;;

사설이 길었구요...참 인상적인 경기는 전상욱VS송병구의 경기였습니다.
지난 주의 임요환VS박지호의 경기와 너무 흡사했죠.
노게이트 더블후에 다크를 이용한 수비를 마치 부처님처럼 알아맞추고 스캔을 단 클래식 투팩으로 잡아낸 임요환 선수의 신승이었죠...
그뒤에 pgr에 들어왔더니...정확하게 기억은 안납니다만...테크위주가 아니라 게이트를 위시한 병력위주의 플레이로 투팩을 막았어야 한다는 내용의 글을 봤던것 같습니다.
뭐...다행히 논쟁이 과열되진 않았습니다만...정말 소모적이고 결과론적인 논쟁같았죠..

물론 러쉬 타이밍이 전상욱 선수가 한박자 빠르긴했습니다만 전상욱 선수가 보여줬던 플레이도 대승적인 차원에서 매우 흡사하고 비슷한 형태의 모습이었죠.
송병구 선수는 박지호선수가 보여줬었던 노게이트 더블이었고, 그때 글쓰신 분의 말씀대로 4게이트였던가요??하여간 드라군을 착실하게 뽑아냈던것 같습니다.
전상욱선수가 임요환 선수가 보여줬던 타이밍 보다 훨씬 빠르게 나왔고 송병구 선수가 제가 봤을땐 진짜 괜찮은 컨트롤을 보여줬는데도 마인에 패한...그런 경기였습니다.

네...맞습니다...어쩌면 박지호선수가 임요환 선수를 상대할때 다크가 아니라 드라군 위주의 물량 플레이었으면 이겼을지도 모릅니다.

후....저는 다시 묻고 싶습니다...
그래서 이번엔 다크를 뽑아야했다고 하실 겁니까....?

네네...맞습니다...지금 제가 얘기하고 있는 것도 어쩌면 다 결과론이죠...

그렇지만 pgr에 올라오는 글들을 보면...이제 곧 개막될 프로리그도 엔트리만 뜨면 그냥 평범한 예상글들과 누가 유리해보인다는 식의 리플들이 달립니다만...경기가 끝나고 나면 그 해박한 전략분석과 멤버구성의 지식량을 왜 경기가 끝날때까지, 경기전에 말하지 않고 숨겨왔는지 궁금하게 만드는...
"이건 엔트리에 패배다...누구누구감독 엔트리 발로짰다..."
식의 결과론이 너무도 뻔뻔하고 쉽게 올라옵니다...

제발 소모적인 논쟁과 결과론적인 이야기는 이제 그만 했으면 좋겠습니다...

PS:언제 부턴가....'역시 pgr이야...'란말이 긍정적으로 들리지 않고 부적적으로 들리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ouple]-bada
06/04/29 15:07
수정 아이콘
전상욱 선수 스캔 있었는데요;
XoltCounteR
06/04/29 15:08
수정 아이콘
헉...그랬습니까...-_-?수정해야겠네요...-_-;;;
XoltCounteR
06/04/29 15:09
수정 아이콘
-_-;;;수정했습니다...지적 감사...-_-;;;운동하면서 봐서 정신이 하나도 없었나봐요
구양봉
06/04/29 15:10
수정 아이콘
결과론적이 소모적인 논쟁이지만, 전 그것이 pgr 사이트의 존재 이유가 아닐까 싶네요. 자신의 의견을 표출하고, 남의 의견을 듣고 서로 주고받는 곳? 그게 pgr 아닌가요? 그것을 하지 말라하심은.. 너무 과한 자유의 억압이 아닌가 싶습니다.
정도가 심하면 소위 찌질댄다는 표현을 듣기는 하지만, pgr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런부류는 아니라고 봅니다. 소모적인 논쟁이지만, 그게 스타를 보고, 재미를 느끼는 과정이라고 생각하거든요.
체념토스
06/04/29 15:14
수정 아이콘
맞아요 저도 요즘 "역시 PGR이야" 란말이 왜 부정적으로 들리는 지...

아 그리고 그 상황에서 다크를 뽑았어도..

상황이 상황인지라... 좀 컨트롤 적인 면과 운영적인 면이 필요했다고 봐요.

전 송병구 선수 어제 선택도 그리 나쁘다고 생각 안해요...
전상욱 선수가... 워낙 컨트롤 좋게 대처 해서...
(드라군으로 마인 끌고 가는 컨트롤을 보인 송병구 그걸 보고 피한 전상욱)

결과론적으로 생각했을때는...앞마당을 조금 늦게 짓더라도 드라군의 더 충실 했으면 오히려 역공으로 테란이 꼼짝 없이 당했을 것 같아요
(로보틱스도 필요하죠)
김연우
06/04/29 15:21
수정 아이콘
어제 경기는 전상욱 선수의 컨트롤이 좋은거지, 송병구 선수의 빌드가 나쁜게 아닌거 같은데요. 병력 정도에서는 그럭저럭 막힐 병력이었고, 확실히 다크보다는 병력 위주가 나아 보였습니다.
사상최악
06/04/29 15:21
수정 아이콘
경기 내용에 대한 끊임없는 분석과 논의가 이곳의 존재의미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경기전에 어떤 식으로 게임이 진행될지 예상하고, 경기 후에 그 내용에 대해서 서로 의견을 주고 받고 하는 거 재밌지 않나요?
Sulla-Felix
06/04/29 15:21
수정 아이콘
이미 강민은 알포인트에서 더블넥을 하고도 이윤열의 투팩을 막은
적이 있습니다. 마인두기에 폭사한 드라군이 컷죠.
다만 함부로 엔트리를 비판하고 전략선택을 비판하는 짓거리는
좀 삼가해야죠. 게임하고 있는 이들은 프로입니다.
The xian
06/04/29 15:39
수정 아이콘
문제는, 결과를 해석하는 데에 있어서 나타난 결과만이 모든 것을 말한다는 식의 의견을 피력하거나, 경기에서 나타난 결과를 자신의 입맛대로 해석하면서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밟는 도구로 이용한다는 데에 있죠. 거기에 - 좀 위험한 주제이기는 했습니다만 - 밸런스 논쟁을 하면서 자신이 좋아하는 종족에 따라 의견이 극과 극을 달리는 경우나, 선수더러 아예 "이런 전략은, 이런 경기는 재미가 없으니 하지 말라"는 식의 말들.

이것이 비판일까요. 속된 말로 '까는'것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그리고 '까는'건 비판(잘잘못을 따지는 것)이 아니라 비난(잘못만을 가지고 말하는 것)이죠. 좋은 점은 묵살하고, 자기에게 밉보이는 것만을 비판이라는 이름으로 말하는 건 아니라고 봅니다. 또한, 그런 면에서, 저는 최근에 벌어지는 이른바 '결과론적인' 부분에 대한 말들은 비판의 도를 많이 넘어섰다고 봅니다.

더불어 한마디 더 덧붙이자면 '깐다'는 말이든, 행동이든, PGR에서는 제발 안 봤으면 좋겠습니다. 재미있다고, 많은 사람들이 용인한다고 사람 하나둘씩 비난하는 이야기 계속 올라오고 나니, 말하는 분위기 이게 뮙니까.
06/04/29 17:08
수정 아이콘
2팩으로 밀고 나올때 첫교전에서 드래군으로 지연만 시키고 죽이진 않은후에.. 물러나서 추가된 드루군을 넓게 퍼트려서 상대를 끌어들여서 싸우고, 어차피 그 한타만 안정적으로 막으면 되므로 앞마당 일꾼을 모두 델꼬 나와서 에워 싸줬으면 막을수 있을것 같습니다. 빠른 앞마당시에 공격들어오는 테란은 일꾼까지 동원하여 한번 잘 싸우면 경험상 됐거든요. 그리고 그때 조심할껀 마인 대박으로 일꾼이 다 죽으면 안돼니 드래군만 뽑던지 질럿이 섞여 있다면 질럿 컨을 마인을 안 밟게 하던지 일꾼과 떨어진쪽에서 싸우게 하던지 등의 컨을 해야 합니다. 어쨌든 보통은 그렇게 싸우면 일꾼좀 죽더라도 드래군 어느정도 살리면서 막을수 있던것 같은데... 아쉽습니다. 저의 경우엔 때로는 빨리 치고 나오는 테란병력을 잡으려고 일부러 앞마당에 일꾼을 다수 옮겨놓겨 놓고 대기합니다.
06/04/29 17:18
수정 아이콘
이세상은 결과론 중심으로 돌아가고있죠. 원래 결과가 나쁘면 당연히 비판은 나오는법입니다.
sAdteRraN
06/04/29 22:08
수정 아이콘
이 글 쓴사람 자체도 그런사람들을 비난할라고 쓴거같네요
모 같은 격이죠 -_-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2928 나는 왜 온겜넷의 맵들이 싫어지기 시작했을까~ [84] 초록추억5711 06/05/02 5711 0
22927 Air Fighter (4) Rafale [23] BaekGomToss4392 06/05/02 4392 0
22925 교육부의 점점 어이없어지는 입시제도 [62] 신림동팬돌이4646 06/05/02 4646 0
22924 건물을 날려라!! [6] Lunatic Love4530 06/05/02 4530 0
22923 드디어 이번주 24강 맴버들의 운명이 갈린다... 신한은행 OSL 16강 5회차... [20] 초보랜덤4011 06/05/02 4011 0
22920 엠겜에 바라는 몇가지 [68] Debugging...5550 06/05/02 5550 0
22919 Fate/SN에 맞춰본 프로게이머(2)-홍진호 [8] jyl9kr3812 06/05/02 3812 0
22918 잃어버린 시대의 로망 - Ronaldo [10] Mlian_Sheva3752 06/05/02 3752 0
22917 비판과 비난은 다릅니다. (성승헌 캐스터의 목소리에 대해 비판하시는 분들께. ) [44] TicTacToe5219 06/05/02 5219 0
22915 우리, 왜 헤어졌어? [30] EndLEss_MAy4376 06/05/01 4376 0
22914 정소림캐스터에 대해서.. [147] SealBreaker11358 06/05/01 11358 0
22913 PKO 리그를 아시나요? [9] Ssai104597 06/05/01 4597 0
22912 괜찮습니다- 신경쓰지 마요!^_^ [32] My name is J4454 06/05/01 4454 0
22911 동종족 연속출전 금지 조항은 왜 부활하지 않는것인가! [62] 김연우6488 06/05/01 6488 0
22909 영화 "사생결단"을 보고... (스포일러 있음 영화를 본 분들만 봐주세요) [18] 깐따삐야6973 06/05/01 6973 0
22908 일본인은 과거를 모른다..? [18] psycho dynamic4054 06/05/01 4054 0
22907 스타크래프트 맵에 대해서.. [14] 김환영4011 06/05/01 4011 0
22906 대한민국 국방력의 딜레마 그리고 임종인 [10] 김형준3649 06/05/01 3649 0
22905 MBC게임 오프닝이 가져야 할 덕목 [38] SEIJI5959 06/05/01 5959 0
22904 Fate/SN에 맞춰본 프로게이머(1)-임요환(추가!) [13] jyl9kr4027 06/05/01 4027 0
22903 [유럽스타크레프트] kor.soul편 [3] ROSSA3796 06/05/01 3796 0
22901 진정한 팬이란 도대체 뭘까? [10] 체념토스3827 06/05/01 3827 0
22900 수비형은 가고 공격형이 도래하리라~!! [13] 못된놈4052 06/05/01 405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