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4/28 03:03:17
Name 볼텍스
Subject 스타 실력이 느는 과정. 그에 관한 잡담

  ... 이 글은 지극히 주관적인 글임을 밝힘니다 ;

  1. 완전초보

  여러가지 루트가 있겠지만 일단 막 입문. 빌드오더나 전략 전술에 대한 개념 자체가 0에

수렴한다. 주위 사람들의 실력이나 본인의 의지에 따라 이 수준에 있는 기간이 결정된다.

하지만 정말로 전략 시뮬레이션을 좋아하는 사람이면 혼자 이것저것 해보면서 나름대로

상당히 즐길 수 있는 시기. 본인이 초5때 이시기였던거 같은데 치트키 쳐가면서 케리어

한부대 베틀 한부대 이런걸 뽑는것 자체로도 재미있게 즐겼던 기억이 있다. 아, 미션도

그 당시엔 정말 흥미진진하게 즐겼다.

  2. 초보

  이제 뭔가 좀 알 것 같다... 라는 생각으로 베틀넷 여러 방에 들어가 보지만 결과는 처참

하다. 흔히 '공방양민'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2:2 3:3  팀플을 했을때 상대팀에 고수가 있으

면 1명을 밀고도 역전당하는 사태가 비일비재하다. 맵핵이나 자원핵의 유혹을 가장 많이

받는 시기이다. 하지만 자원핵이 승리를 보장해주지는 못한다. PGT D 이하

  3. 중수

  초보에서 중수로 올라오면 뭔가 자신감이 넘치기 시작한다. 공방에서도 어느정도의

승률이 나오기 시작하고, OSL이나 MSL 보면서도 상황이 이해가 가기 시작한다. 학생때

중수정도면 학교에서도 랭커에 들 수 있으므로(학생들은 겜을 많이 못하므로) 친구들 상

대로 상당히 뻐기며 다니는 맛도 쏠쏠하다. 만약 자신이 이 과정에 있다고 생각된다면

피지투어 라는 서버에 들어간다거나 브레인 서버에서 레더를 한다던가 하는 짓은 절대  

하지 말 것을 권한다. 거기 갔다가 스타 하기 싫어질 가능성이 농후하다. 가끔 주위 사람

들 중에서 스타에 관한 이야기 '이 전략은 어쩌구 저 전략은 어쩌구' '그거 x파 그냥

물량으로 밀어버리지 뭐 캬캬캬' ...라면서 자신이 고수임을 알리지 못해 안달하고

있는 사람이 있다면 중수일 가능성이 높다. 진짜 실력자들의 실력을 모르기 때문에 이렇게

자신감있게 떠들 수 있는 것이다. 모르긴 몰라도 진짜 고수가 옆에서 듣고 있다면 나중에

감당 못할 사태가 발생할 수 있므로 주의해야겠다. PGT 계급 C 이하

  4. 고수

  주위에서 인정해 주는 것에서 벗어나서 온라인에서 인정해주게 된다. 이 시기에 클랜전

이나 팀플 하는 맛이 진짜다 -_-b 올킬했을때의 그 기분은 정말 글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

로 최고다. 맵핵이나 자원핵 예전에 썼더라도 쓰면 재미없으므로 안쓴다. 공방양민에게

비젼 켜주고 해도 넉넉하게 이길 수 있다. 자존심도 꽤 쌔져 누가 더 잘한다.. 라는 소리가

들리면 바로 달려가서 한겜 해본다. PG투어 계급 B 근처

  5. 초고수

  가끔 인터넷 방송 '아프리카' 나 각종 아마추어 대회에 출몰해서 우승하는 사람들.

리플레이 싸이트에 리플이 올라가거나 가끔 프로게이머나 연습생들과 게임을 하기도 한다

이 사람들에 대해선 본인도 잘 모르므로 -_-;;; 잘 아는 사람들이 댓글로 보충해 줬으면

하는 바램이..;

PG투어 A 근처

  6. 프로게이머

........... 뭘 써야할까. 설명이 필요 없다. 아마 초고수라고 하더라도 A급 프로게이머들과

는 셀 수 없는 차원의 벽이 존재한다. 이윤열 선수가 테란 안고르고 피지 A 이겨버리는 것

보고 깜짝 놀랐던 기억이.. 저런 사람도 스타리그 떨어지는데 스타리거는 대체 어떤 사람

들이란 말인가!! .. 물론 아마 초고수들 중에 프로게이머들 간혹 이기는 사람들도 있고, 그

런 사람들은 조금 기다리다 보면 프로게이머 명단에서 발견할 수 있다.



  물론 저런식으로 대충 나눠보긴 했습니다만; 중간중간에 많은 간극이 있습니다.

  자아, 여러분은 어느 단계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강은희
06/04/28 03:14
수정 아이콘
흠...중수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저런 시츄에이션;오히려 전 반대네요.자신감이 너무 없어서 탈이에요..피지투어에서 게임을 시작하기 전에 내가 이길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항상 하거든요.누가 채널에서 겜 신청만 해도 덜덜;피지에서 4연패 당하고 들어가지도 못하고 있네요.빨리 B근처로 가고 싶은데
WizardMo진종
06/04/28 03:14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pg A가 주변에 많더군요;;;
얼굴벙커
06/04/28 03:17
수정 아이콘
전 각종핵의 유혹은 전혀 안느껴지던데....초보가 아닌가요....?^^
그래도 아직 초보방을 기웃거리고 있는....-_-
글루미선데이
06/04/28 03:18
수정 아이콘
몇년하다보면 계급에 해탈합니다 -_-
잘한다 못한다보다 그냥 에이..졌다..혹은 아싸 이겼다!
2~3일에 대여섯게임정도...거의 습관화라고 해야하나 -_-
06/04/28 03:23
수정 아이콘
우우...방금 pg C-찍고 왔습니다.100여게임 끝에 이루어낸 노가다의 산
물;;;;그래도 100판 중 50판은 이겼으니...나도 중수다!
오늘은 C를 향해 달려봐야겠습니다.그 다음엔 C+ 그그다음엔 대망의 B!
요즘 계급 올리는 재미가 쏠쏠하더군요.^^
Zakk Wylde
06/04/28 03:28
수정 아이콘
저는 PGT가면 열받아서 못하겠습니다..ㅠ_ ㅠ
하는거마다 다 막히고..분명 핵도 없는데..
이길때는 산전수전 ㅠ_ ㅠ
질때는 허무하게..;;
T1팬_이상윤
06/04/28 03:46
수정 아이콘
중3~고1때 까진 고수 근처까지 갔었다가(게임아이에서 제법 승률 괜찮았는데^^;;;;;) 한 3,4년간 공백기(ㅡㅡ;;;;)를 거치고 나니 지금은 초보와 중수 사이 정도의 실력입니다;;;;
06/04/28 03:46
수정 아이콘
그런데 사람들마다 자기를 생각하는게 다른거 같아요..
공방에서 1:1 루나 중수이상 이렇게 방제를 해 놓으면 별 사람들이 다들어 옵니다. 3000승 500패 이런 사람부터 30승 50패까지.. 자기들 좋을대로 들어오죠 -_-;
그리고 분명 초보같은데 실제 해보면 잘하는 사람이 있고 고수 같은데 못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게임이란게 정확히 그 사람의 절대적인 실력은 나눌수 없는거 같아요.. 너무 변수가 많아서.
저 같은 경우에는 PGT에서는 쫄아서 그런지 몰라도 B+하는 아는 친구랑 하면 승률 50%나오는데 PGT들어가면 D근처에서 노는 이상한 현상이 벌어지죠.
T1팬_이상윤
06/04/28 03:49
수정 아이콘
정말 고수 정도의 실력에서 길전 할때 팀플에서 압승하거나 또는 혼자서 올킬해버릴때 쾌감은 정말 짜릿했었더랬죠. 타임머신이 있다면 중3때로 다시 돌아가고 싶은데요^^
최고봉
06/04/28 03:53
수정 아이콘
정말 몰라서 그러는데요... PGT D 머 이런게 머죠?
06/04/28 03:55
수정 아이콘
등급일 겁니다... A B C D 등...
M.Laddder
06/04/28 03:56
수정 아이콘
저도 2000년 즈음엔 스스로 아 이젠 중수라고 부를 수 있지 않나 했었는데
몇년간 게임을 안하다가 근 4년만에 다시 하려니 이젠 다시 완전 초보 입니다.
예전에 길드전 하면 1:1도 가끔 나가곤 했었는데. 지금 생각하면 꿈만 같네요;;
06/04/28 06:52
수정 아이콘
저는 물량 뽑는거랑 심시티 익히느라, 배틀넷에서 무한맵 한 몇백판 했거든요... 나중에 유한맵에서 할때도 물량이 엄청 늘었더라는...
06/04/28 07:01
수정 아이콘
PGT라는 사이트가 대학교라고 가정하면 학점입니다. 학점 ㅡㅡ;
게레로
06/04/28 07:18
수정 아이콘
웃긴게 OSL, MSL을 보면 상황도 다 이해하고 머리속으론 대처법도 다 나오는데 손이 안따라가서 초보입니다 .... 젠장.. 이론으론 완벽한데 반응속도랑 컨트롤이 .....ㅠㅠ
06/04/28 07:34
수정 아이콘
B-까지 갔다가 개쪽팔림 당하고 왔습니다.
EpikHigh-Kebee
06/04/28 08:00
수정 아이콘
2년 반 넘게 한것 같은데.. C+ ~ B- 니까 저도 이제 중고수 정도 되는거군요...(실력은?)
아쉬운건... 처음 스타시작할때 피지알이나 다른 커뮤니티를 알지 못했던 것들과..
가르쳐 줄 사람이 없어서 그냥 무작정 게임만 했다는거죠...(리플레이 본적도 없는듯)
박재현
06/04/28 08:08
수정 아이콘
등급이 수정되어야 할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제가 저번 시즌 피지 A 정도에 실력이지만 고수는 절대 아닙니다.
예전과는 달리 요즘 피지 사이트의 수준은 많이 떨어졌다고 봅니다.
저번 시즌만 돌이켜봐도 A+이 200명가량되었습니다.
제가 볼떄 현 시점에서 굳이 나누자고 한다면
초고수는 적어도 피지 100위안정도로 볼수있겠고
고수는 피지 100위밖에서 피지 a+정도로 볼수 있겠습니다.
중수와 고수 사이를 피지 A 정도로 볼수 있겠네요.
Zakk Wylde
06/04/28 08:22
수정 아이콘
PGT 시즌초반에 A급이랑 B+급이면 고수라고 봅니다..
다만 시즌 마가지에는 A가 넘쳐나죠..
시즌 막바지에도 C인 나는...-_ -
WizardMo진종
06/04/28 08:54
수정 아이콘
평점 2.5~3.0 이라..... 취업도 못하겠네요;;;
06/04/28 09:56
수정 아이콘
요즘 PGT는 확실히 예전만 못하죠 시즌말에 A라면 고수라고 하기에는 좀 모자람이..
글설리
06/04/28 10:32
수정 아이콘
박재현님....-.- 7차가 유달리 A+~A-를 많이 배출했죠...
7차가 수준이 낮았던 감도 있구요....워낙 기간이 길었으니....
지금 8차 하면 7차랑은 수준이 틀립니다 ㅇㅇ/
06/04/28 12:20
수정 아이콘
8차는 수준이 틀립니다.7차때는 그나마 C급에서 왔다갔다 했는데 8차
들어선 D급에서 왔다갔다-_-;;오늘 겨우 C급으로 진급했음;;
06/04/28 13:07
수정 아이콘
아직 공방에서도 '초보' 안붙은 밀리 방은 못들어갑니다.. ㅠㅠ
여태까지 유즈맵, 팀플이, 무한맵이 밀리보다 더 재미있는걸 보니 전 완전초보인 모양입니다.. (그럭저럭 승률은 조금씩 오르고 있긴 합니다만;;)
공실이
06/04/28 14:02
수정 아이콘
프로게이머가 100명 안팎인데... 뭐 모든 프로게이머들이 다 PGT하는게 아니라 쳐도 100위까지만 초고수 라는것은 너무 심하시다는 ㅠㅠ

글쓴이 많은부분 동감하는것이- 스타하면서 벽같은것을 느끼고
넘어섰을때가 저 등급사이에 간격정도 되네요-
길드내 사람들 이야기 들어보면 그위의 기준도 맞는듯 하구요.
06/04/28 23:44
수정 아이콘
WizardMo진종// 리플보곤 씁쓸하게 웃고갑니다.
학점은 제때제때 관리 해야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2878 5경기 경기 안보신 분들을 위한 김정민 해설 상황~(스포임) [33] 경규원6984 06/04/30 6984 0
22874 김정민 선수의 해설, 괜찮았습니다. [81] 연휘군7784 06/04/30 7784 0
22872 신한은행 2006 온게임넷 스타리그 24강 전망과 진출 가능성. [17] K_Mton3776 06/04/30 3776 0
22871 강민 대 박영훈 경기를 보니까.. [10] 워메4525 06/04/30 4525 0
22870 칸 Vs T1 개막전을 보고... [7] 김치원3689 06/04/30 3689 0
22868 오전 0시 자살기도를 했습니다. [58] 타이푼6896 06/04/30 6896 0
22867 인생을 낭비하고 있는 너에게. [10] stwon3607 06/04/30 3607 0
22866 내일 KTF와 MBC의 팀리그 로스터를 예상해보아요... [16] 다크고스트4032 06/04/30 4032 0
22862 잘 알지 못하는 것과 잘 아는 것 [5] S@iNT2992 06/04/30 2992 0
22861 천재테란의 화려한 귀환 [11] 호나우딩요4359 06/04/30 4359 0
22860 단상-왜 먼저 온 순서대로일까? [21] 진리탐구자4198 06/04/30 4198 0
22857 ( _ _ ) 김창선입니다. [73] 김창선10495 06/04/30 10495 0
22856 그동안 있었던 여러 맵 밸런스 논쟁들 [33] toss4125 06/04/30 4125 0
22852 현실에서 비판할수있는가? [27] 이준희3617 06/04/29 3617 0
22851 알려드립니다. [20] 항즐이7043 06/04/29 7043 0
22850 그냥 아무렇게나 생각해본 엽기(?) 전략들... [31] SEIJI4871 06/04/29 4871 0
22849 간단한 SKY 프로리그 2006 전기리그 STX 대 팬택 리뷰. [15] 산적3741 06/04/29 3741 0
22848 핵쓰는 사람들의 심리가 정말 궁금하네요 [39] 발업리버4337 06/04/29 4337 0
22847 815란 맵. 지금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19] DJDOC6160 06/04/29 6160 2
22845 방금끝난 프로리그 개막전 삼성 Khan vs T1 재밌네요(스포만빵) [10] KuTaR조군3611 06/04/29 3611 0
22844 방금 송병구 선수의 경기 보셨습니까? [40] 4thrace6139 06/04/29 6139 0
22843 파포의 mvp .. 취지가 뭡니까 ; [58] 벨로시렙터5285 06/04/29 5285 0
22842 결과론적인 주제로 함부로 쉽게 비판하지 않았으면.... [12] XoltCounteR3824 06/04/29 382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