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4/26 23:30:24
Name BaekGomToss
File #1 SU_27.jpg (76.8 KB), Download : 18
Subject Air Fighter (2) Sukhoi - 27


사진 출처 - 이반 카지노프 (현 러시아 방공군 정비사)

사실 우리가 '수호이'라고 부르는데, 수호이 (Sukhoi)는 정확하게 러시아에서 항공기 설계국의 이름입니다. 과거 소련을 양분했던 MiG (미코얀-그레비치)와 Sukhoi는 모두 설계국의 창립자들의 이름을 따서 지었고 이 외에도 다양한 설계국을 러시아는 가지고 있습니다.

수호이 설계국의 야심작 Sukhoi-27 (줄여서 보통 Su-27 이라고 하지요.)의 탄생 배경은 미국의 F-15입니다.

1972년 첫비행한 F-15A의 경우 기존 미국이 개발한 F-4 팬텀, F-111 야드바크에 비해서는 필적할 수 없는 성능을 보유합니다. 우선 강력한 쌍발엔진과 최신 기술이 밀집된 레이더등 전자장비, 뛰어난 설계등으로 인한 높은 기동성을 가진 F-15가 개발되었을때, 당시 구 소련에서는 이에 대적할만한 전투기는 전무했었습니다. F-15의 실전배치는 즉 구 소련에 있어서는 제공권을 미국에게 내주었다는 의미였죠.

당시 Sukhoi, MiG, Yak 이 3개의 설계국이 F-15에 대항하는 전투기 설계에 들어갑니다. 이중 Yak 가 제안한 설계는 마치 2차대전의 Me-262를 보는듯한 괴상한 설계로 사업 초반에 탈락되었고, 수호이 설계국과 미그 설계국의 설계안이 채택, 대형전투기로 수호이 설계국의 초안이, 중형전투기로 미그 설계국의 초안이 채택됩니다. 여기서 나오는 전투기들이 그 유명한 Sukhoi-27과 MiG-29 전투기이지요. 미국의 F-15, F-16이 가지는 High-Low Mix 와도 같은 조합입니다.

1979년 미국의 위성에 관측된 Sukhoi-27의 프로토 타입은 이후 개발과정에서 다양한 설계변경끝에 1984년부터 실전배치 시작됩니다. Sukhoi-27의 설계성능으로써는 미국의 F-15에 뒤쳐지지 않는 내용을 자랑합니다. 고출력의 엔진, 강력한 레이더, 그리고 항공역학적인 우수함까지. 거기에 연료를 내부에 모두 수납하는 설계를 해 엄청난 항속거리도 추가적으로 갖추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요구 성능끝에 개발된 Sukhoi-27의 경우 다양한 변형이 존재합니다. 무려 41개나요. 이중 실제로 개발된 것들도 30여개에 육박하고 실전 배치된 것도 20여개가 넘습니다.

대표적인 기종으로는 최근 해외 수출에 성공적인 Su-30이 있습니다. 이 기종은 복좌형인 Su-27UB에 전투능력을 강화시킨 형태로, 마치 F-15E 스트라이크 이글과 비슷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물론 세부적인 내용까지 들어간다면 운용국가마다 성능이 각각 틀리긴 하지만... 외형적인 능력은 이미 F-15E와 비슷한 수준으로 보시면 됩니다.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베트남등이 현재 운용중이고 거기에 말레이시아가 추가로 구매하였습니다.

한국에 제안되었던 Su-35 전투기는 어느정도 Su-30과 비슷한 수준의 기체입니다. 단지 Su-35는 러시아에서 실험용일 뿐인 기체이고, Su-35의 개발 이후에 이 기체를 베이스로해 수 많은 기술을 응용, 이를 해외판매용인 Su-30에 적용시켰습니다. 실제로 인도에 납품된 Su-30의 경우 3가지 형태의 버라이어티가 있는데, Su-30K의 경우 공대공능력만 갖춘 요격기의 성격이 짙지만 Su-30 MK의 경우에는 어느정도 수준의 공대지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여기에 Su-30 MKI의 경우에는 추력변형식 베기구와 최신예 전자주사식 레이더, 고출력 엔진을 갖추고 있습니다.

Sukhoi-27이 가지는 미려한 곡선은 수 많은 사람들에게 감탄사를 가지게 했고, 거기에 Sukhoi-27의 불매특허인 코브라 기동은 에어쇼에서 수 많은 사람들의 눈을 사로 잡았습니다. 코브라 기동은 Sukhoi-27이 할 수 있는 기동이 아니라 단지 '이러한 기동을 할 수 있으니 기동성은 세계 최강!' 이라고 스스로 자랑하게 됩니다.

현재까지 Sukhoi-27과 그의 버라이어티를 운용하는 국가는 꽤나 많습니다만 중요한 국가들은 러시아, 중국, 인도 정도입니다. 최근 중국이 J-11B라고 해서 기존 라이센스 생산했던 Sukhoi-27 (중국에서는 J-11A라 부름)을 포기하고 독자적인 생산에 들어갔습니다. Sukhoi-27의 카피판을 중국에서 개발하고 있다는 예기죠.

Sukhoi-27. 첫 비행이 1981년이고, 지금은 2006년이니 무려 25년이나 러시아의 주력 전투기로 계속적으로 개량되 운용되어 왔습니다. 비록 2005년 이후 Sukhoi-27의 변형개발은 중지되었지만, 20년 넘게 개발되고 지금까지 개량되면서도 세계 최강의 전투기 자리에서 자리를 놓아주지 않았다는 점은, 이러한 훌륭한 기체가 오랫동안 사랑받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04/26 23:32
수정 아이콘
양대산맥...
06/04/27 00:00
수정 아이콘
수호이 27과 미그 29, 둘다 매끄러운 몸매를 자랑하죠. 진짜 이쁩니다.. 개인적으로 카나드가 달린 항모용 33도 좋아합니다^^
Zakk Wylde
06/04/27 01:07
수정 아이콘
정말 좋아하는 전투기이지만.. 제 생각에는 세계최강 자리에서 한발 물러났지요..;;

구소련 공기역학적 그리고 기동성이 뛰어난 기체에 서구의 최신예 전자장비를 탑재한 전투기를 보는게 꿈인데..

밀리터리 팬에게는 동서냉전시대의 종말이..왠지 서글프다죠..ㅠ_ ㅠ
쉬면보
06/04/27 01:28
수정 아이콘
뽀대는 정말 최고죠..
거룩한황제
06/04/27 09:41
수정 아이콘
추후에 나오는 Su시리즈는 역날개 모양으로 해서 나오더군요.

그것도 참 대단하다고 생각하는데

아무튼 러시아 제 무기의 특성이 가격이 좀 싸다는 거죠.
(미국거에 비해서 매우 싸죠...)
그래서 적절한 효율을 보일 수가 있다는게 장점이었는데...

아무튼 Su정말로 좋아하는 기체입니다.
F/A-18과 더불어서요.
06/04/27 09:51
수정 아이콘
실제로 보면 그 육중한 크기에(F-15보다 적어도 1.5배는 크지않은가요?) 안어울리는 미끈한 라인..정말 멋집니다;
게다가 실제 비행은 정말 그 크기에 안어울리게 날렵해서..;;
06/04/27 17:19
수정 아이콘
재미있네요^^
다음편은 f15인가요?
제가 아는 전투기는 f15하고 라팔 밖에 모르는데
님글보고 많은것을 알게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3021 만약...혹시라도... [11] 286Terran3922 06/05/07 3922 0
23020 제 얘기를 한번 끄적여 보려합니다.... [9] Jin's ⓚ3620 06/05/07 3620 0
23015 마우스패드와 키보드을 새로장만했습니다 [12] 그래서그대는3892 06/05/06 3892 0
23014 알 수 없어요. [4] 비롱투유3979 06/05/06 3979 0
23013 오늘자 우주 평점에 대한 불만. [27] Sulla-Felix6168 06/05/06 6168 0
23012 프로리그 MBC게임중계때 흘러나오는 Heavenly의 음악. [8] 화잇밀크러버4431 06/05/06 4431 0
23011 Fate/SN에 맞춰본 프로게이머(3)-박정석(상세 설명 수정!) [9] jyl9kr4065 06/05/06 4065 0
23009 오영종선수의 백두대간 플레이 [58] 부들부들6897 06/05/06 6897 0
23008 미션 임파셔블 유감 (스포일러 전혀 없음, 줄거리 조차 없으니 안심하세요.) [25] 산적4398 06/05/06 4398 0
23007 최근 느껴지는 PGR의 변화? [17] SEIJI5184 06/05/06 5184 0
23006 마재윤. 정말 포쓰 무적이네요. [23] swflying6598 06/05/06 6598 0
23005 박찬호 선수... 오늘의 주인공은 바로 당신입니다. [48] RedStorm5532 06/05/06 5532 0
23004 3사단 백골부대를 오며 [21] 마리아4951 06/05/06 4951 0
23003 강민팬으로서 요즘 정말 신나고 즐겁군요.^^ [44] 김호철5558 06/05/06 5558 0
23002 송병구, 천국의 문을 열어라(지옥의 주를 맞이한 그를 응원합니다) [11] 시퐁4203 06/05/06 4203 0
23001 프로페셔널? 아마추어? [18] 하얀나비4112 06/05/06 4112 0
23000 일어나라! 최연성. [57] seed6825 06/05/06 6825 0
22999 이번시즌(신한은행1st,프링글스)에 터질 수 있는 사건들 [18] 백야5582 06/05/06 5582 0
22998 Bravo your game! [14] 훈이4228 06/05/06 4228 0
22996 금요일 신한은행 스타리그 리뷰 [19] pioren4785 06/05/05 4785 0
22995 Air Fighter (5) A-37 Dragonfly [5] BaekGomToss3812 06/05/05 3812 0
22994 스타리그 24강 재경기. 송병구 선수를 막아보자(vs 변형태 in 8153) [27] 체념토스3980 06/05/05 3980 0
22993 24강 재경기 대진표가 나왔습니다. [42] 부들부들4811 06/05/05 481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