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1/28 08:29:30
Name 박서야힘내라
Subject 뉴스를 보다 씨름과 E-sprots의 유사점을 발견했습니다.
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ports_general&menu=news&mode=view&office_id=047&article_id=0000077046&date=20060127&page=2

글을 읽기전에 먼저 읽어보세요.
처음 그 누구도 스타리그가 이렇게 인기 있으리라고는 생각 못했을 겁니다.
하지만
임요환, 강민등의 플레이어 '기술'적인 플레이를 하여서
아기자기한 유닛으로 거대한 상대를 쓰러트리는
어떻게 보면 통쾌함을 느꼇는지도 모릅니다.
그당시만 해도 4대천왕등의 라이벌 구도가 확실했고,
이는 씨름의 삼각 라이벌 관계와도 비슷합니다.

저는 씨름에 대해 잘 알지는 못하지만,
씨름에 대해 잘 아시는 지인분들의 말을 들어보면
씨름이 재미없어진 것이
지루한 샅바싸움이나
단순한 힘에 의한 싸움이 되면서 재미가 없어졌다고들 하십니다.
물론 아닌 분들도 계실겁니다.
오히려 힘에 의한 승부가 좋은 분들도 계실겁니다.

이점은 스타크래프트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기술 씨름은 전략적 플레이를 예로 들 수 있겠구요.
지루한 샅바싸움과 힘에의한 승부는 최근 경기의 수비적 경향을 예로 들 수 있겠습니다.

분명히 바뀌어야 합니다.
E-sports는 이대로 가다가는 씨름처럼 점점 쇠락의 길을 걸을지도 모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천생연
06/01/28 08:31
수정 아이콘
결론은 강민,임요환의 부활이나 그 수준급의 선수의 배출?;; 요새 수비형 테란이니 플토니 해서 지겨워지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EpikHigh-Kebee
06/01/28 08:50
수정 아이콘
맨 마지막이 약간 반전틱..
06/01/28 09:24
수정 아이콘
글쎄요. 그렇게 따지면 스모가 이전보다는 좀 시들하긴 해도 여전히 일본에서 명맥을 유지하면서 인기를 받는건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기술씨름의 총아라고 할 수 있는 한라급이 오히려 백두급보다 인기가 없는 것은 어떻게 봐야 할까요. 게다가 LG씨름단이 해체하기 이전에 비록 부상으로 주춤하긴 했지만 나름대로 기술이 깔끔한 황태자 이태현 장사와 이전에 키만 이용해서 버티기와 밀어치기로만 일관했던 장신선수의 경기력을 어느정도 극복한 골리앗 최홍만 장사의 등장 시기에는 경기력 자체도 그다지 나쁘지 않았습니다. 물론 샅바싸움 위주의 단순한 경기흐름도 씨름의 몰락에 영향을 끼치는데 조금은 일조를 했다고 봅니다만, 저는 씨름을 우리의 민속 스포츠로 세련되게 포장하지 못한 것이 더 크다고 봅니다. 경기장도 우리의 전통적인 스타일과 현대적인 감각으로 더 잘 꾸밀 필요가 있었고 경기 이전에 행사와 인기있는 선수들의 가치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는 이벤트를 만들어 내는 등, 그런 발전을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한 것이(물론 심판의 의복을 전통적으로 변하고 잠깐이지만 선수들의 복장을 전통적으로 바꾼적이 있긴 하지만.) 결정적으로 씨름을 몰락시키게 한 요인이라고 봅니다.

이-스포츠도 마찬가지 입니다. 물론 경기 자체가 중요하긴 합니다만 경기의 양상이 변모하는 것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봅니다 물론 경기력 자체가 떨어지는 것은 문제가 있겠지만요.(프로답지 않은 집중력 부족의 경기를 보인다거나 무성의가 눈에 띄는 경기를 보인다거나.) 경기 자체는 힘싸움 위주라도 경기력 자체가 프로의 치열함을 내포하고 있다면 충분히 팬들의 시선을 고정 시킬 수 있닥 생각합니다. 더 중요하 것은 새로운 팬층을 꾸준히 흡수할 역량이겠지요. 처음 스타방송을 보는 사람들의시선까지도 흡수 할 수 있는 기획력, 이해하기 쉬운 진행, 스타 플레이어들에게 펼쳐지는 적절한 스포트라이트..... 등등 말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온게임넷의 발자취는 상당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후발주자임에도 항상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 노력하는 엠겜도...... 물론 아직 발전해야 할 것이 산더미 처럼 많지만요.
갑수옹박
06/01/28 11:11
수정 아이콘
씨름과 e스포츠의 결정적인 공통점은 유료관중이 없다는 거죠
게임단 경영 마인드가 필요합니다.
유료 관중과 더불어 다양한 이익창출의 방법을 모색할 때입니다
아직까지는 기업 홍보 효과가 유일한 버팀목인 게 사실이죠
구글신
06/01/28 11:36
수정 아이콘
씨름은 유료였습니다만..
현재 중요한 이슈는 무료/유료가 아닙니다.
통합리그와 게임단 통합이죠.
현 상황에서 기득권자인 각 구단 감독이나 방송사가
통합은 안된다고 결정을 내리는 순간이 e-sports 가 망한 거라고 봐야 됩니다.
바다밑
06/01/28 12:25
수정 아이콘
산적/ 음... 많은부분 동감입니다..
갑수옹박
06/01/28 12:57
수정 아이콘
사실상 대부분의 관중이 무료 관중인 할아버지 할머니들 아니었나요;;; 저도 너무 오래 된 기억이라 ;;;;;
통합리그와 게임단 통합이 어떤 걸 의미하는 지
경제적 기반 구축과 어떤 관계인지 언뜻 생각하기에
잘 모르겠네요;;; 자세한 설명 해주심 좋겠슴당 ;;;
06/01/28 13:20
수정 아이콘
좋은 글에 좋은 답글들이네요 ^^
갑수옹박
06/01/28 13:36
수정 아이콘
일례로 레플리카라고 하죠. 유럽 축구 팬들이 입는 선수들과 동일한 경기복 말이에요. 이 분들은 매년 바뀌는 경기복을 끊임 없이 사주며 일종의 팀을 위한 투자와 동시에 또다른 형태의 응원 방법으로 생각하더군요
다양한 방법이 있다고 봅니다
Kill'em all
06/01/28 14:42
수정 아이콘
윗님 말씀대로 겉옷까지는 아니더라도 팀로고가 써있는 티셔츠 정도는 어느 정도 상업적인 효과가 있을텐데...기업홍보와 이윤창출을 동시에~ 물론 가만놔둬도 기업들이 알아서 잘 할테지만... T1팀 티셔츠가 너무 탐이 나네효~ㅡ.ㅡv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0643 듀얼 1라운드 결승 강민 vs 염보성 관전후기 - 별이 뜨다. [29] 세이시로5505 06/02/02 5505 0
20642 그가 강민인 이유 [11] Zera_5281 06/02/01 5281 0
20641 졸전.......이었나? [63] Ace of Base6610 06/02/01 6610 0
20639 트랭크스 테란!!! [20] 청동까마귀4575 06/02/01 4575 0
20637 별을 대적하는 자. [17] Blind3905 06/02/01 3905 0
20636 최연소(?) 스타리거 염보성 [104] 슈바인호랑이7702 06/02/01 7702 0
20635 Mp3 공세에 대처하는 나만의 방법(?) : Single CD 콜렉션. [28] Saviour of our life4249 06/02/01 4249 0
20634 관록의 프로토스와 패기의 테란의 대결. 승리의 여신은 테란의 손을..! [244] 하얀그림자6807 06/02/01 6807 0
20633 케빈은 12살, 기억하고 계시나요? [7] D.TASADAR4576 06/02/01 4576 0
20632 시체의 추억의 리그 2탄..) 게임큐 3차리그 ... [9] 시체5146 06/02/01 5146 0
20631 처음으로 글씁니다.^^ [7] pm111mph4623 06/02/01 4623 0
20629 수비형 프로토스와 수비형 테란. [51] jyl9kr4563 06/02/01 4563 0
20627 호수의 한줄이야기 - 등가교환 [14] 호수청년5259 06/02/01 5259 0
20626 수비형 파훼를 위해 이런건? (맵수정에 대한...) [47] sgoodsq2893901 06/02/01 3901 0
20625 글쓰기에 대해.. [11] stila3865 06/02/01 3865 0
20623 유명한 CEO들...당신의 선택은? [16] 수선화5402 06/02/01 5402 0
20622 뒷북성이지만... 스크린 쿼터 축소에 대해 짤막하게... [8] 포르티3199 06/02/01 3199 0
20621 w플레이어 조pd방송. 염보성선수등장. [28] 비타민C5402 06/02/01 5402 0
20617 TO. 어린 해적에게 [18] 삭제됨3909 06/02/01 3909 0
20615 인터넷공유: 영파라치? [40] remedios3926 06/01/31 3926 0
20613 msl 올스타리그....오히려 ktf가 불참해야 했다고 생각하는데요 [20] ika_boxer6144 06/01/31 6144 0
20612 msl 올스타리그에 대해 시청자로서의 아쉬움 [25] 이성혁5122 06/01/31 5122 0
20609 나이를 먹어간다는 것은 삶의 비늘이 생긴다는 것이다. [2] 무라까미3907 06/01/31 390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