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1/13 11:55:24
Name limit∑무한대로
Subject 파이이야기 다들 읽으셨나요??
우연치 않게 인터넷을 돌아다니다가 이 책을 보았다.
그때 무엇을 봤었는지는 기억 나지 않지만..
그 이후로 도서관이나 대여점에서 이 책을 볼 때마다
꼭 잃어야지 하며 점 찍어두었던 책이었다.

모처럼 시간이 나서 도서관으로 달려가 이 책을 빌렸다.

얀 마텔... 처음 접하는 작가여서 재미있을까 하는 생각으로 읽었다.

한 권을 다 읽은 지금 느낌을 말하자면 정말 다른 사람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책이다.

책이 세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처음에는 지루한 감이 있지만 장을 넘길수록 전개되는 이야기는
좀처럼 방향을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뻗어나가고 마지막 결말또한 대단히 놀랍다.

이 작가가 여러 나라를 여행한 사람이라 그런지, 세 종교를 믿는
어린 소년을 만들어낼 만큼 문화에 개방적인 사고방식을 가졌다.

이 책에서 가장 마음에 들었던 것을
작가가 소년의 입을 통하여 말하던 생각들은 잠깐 생각한 얕은 사고가 아니라,
몇 번은 곱씹어야 도달할 수 있는 그러한 생각들이 글 한줄 한줄을 이루는
것을 읽으면서 나도 모르게 공감이 되어 절로 고개가 끄덕여 지기도 했다.

나에게, 세 종교를 믿는 소년의 사고가 충격적이기도 했지만,
또한 동물원에 갇혀 있는 동물들이 야생을 사는 동물보다 훨씬 편안함을 느낀다
는 지식들은 대단히 나에게 놀라움을 안겨 주었다.
그래서 지금도 파이가 동물원의 동물의 심리상태에 대해,
그리고 동물원의 동물에 대한 지식에 대해 얘기하던 부분은 아직도 생생히 기억난다.

태평양 한 가운데..
벵골 호랑이와 구명보트에 단 둘이 생존하여 생명을 이어가는 부분은
정말 어린소년에게는 감당하기 힘든 일이었을 거라고 생각했다.
이 부분에서 파이가 말하는 권태와 공포의 양면성에 대해 크게 공감하기도 했다.
인간들은 아무일도 없으면 지루해서 무엇인가 큰일 이라도터지기를 바라지만,
막상 무슨 조그마한 일이라도 일어난다면
권태의 상태를 무척이나 그리워 하기 때문이다.
모든 인간이 그렇겠지만, 나도 매일 이러한 감정을 느끼는데 ,
약간 모순적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태평양 한가운데서 맹인을 만난 이야기도 놀라웠고, 식충섬 이야기도 놀라웠다.
그리고 227일의 생존을 마치고 마침내 멕시코 해안에 도착하여
일본인 오카모토와 치바에게 자신의 경험을 들려주며 이 글이 끝맺어 지는데,
끝 부분에서 나는 두 사람의 어리숙한 행동에 혼자 웃기도 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파이가 동물이 나오는 이야기와 동물이 나오지 않는 이야기
두 가지를 들려줬다는 데 있다. 이 결말은 정말 대단히 흥미로웠다.
실제 이야기는 동물이 나오지 않는 이야기이고,
파이라는 소년은 아직 어린 소년인 만큼 이 잔혹한 이야기를
동물이 나오는 이야기로 대치시켜서더 예쁘게 만들었던 것이다.

책을 읽는 중간에 약간 지루한 감이 있긴 했지만,
읽고 나니 정말  정독해서 다시 읽고 싶은 생각이 든다.

PGR 분들 중 이책을 읽으신 분들은 어떤걸 느끼셨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01/13 13:07
수정 아이콘
한번 읽어봐야지 ~ 하고 인터넷 서핑하던 도중 네타당했습니다...
06/01/13 13:09
수정 아이콘
네타가 무슨말인가요?
봄눈겨울비
06/01/13 13:09
수정 아이콘
파이이야기 읽어볼려고 샀는데 이상하게 쉽게 안 읽히더라구요..
제 취향에 안 맞다고 해야하나.. 뒷부분은 재밌어 보이던데 읽다가 중도에 포기한 얼마 안되는 책중 하나입니다..;;
이 글을 읽고 다시 곰곰히 생각해보니 다시 한번 읽어야 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화염투척사
06/01/13 13:46
수정 아이콘
-_- 추리소설을 읽으려다가 결말을 알아버린것보다는 낫지 않을까요?
네타란건 제가 알기론 대충 결말(또는 중요한 반전)을 미리 말해버리는겁니다. 스포일러랑 비슷한거라고 알고 있습니다.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0351 아버지의 뒷모습 [13] 라그나뢰크3801 06/01/22 3801 0
20348 맹세코 귀맵에 대해 마지막으로 글 쓰겠습니다 [40] ika_boxer5624 06/01/22 5624 0
20347 스타크래프트에서 귀맵이라는 변수와 생각... [19] 작은날개3877 06/01/22 3877 0
20346 저 혼자만의 작은 박수일지라도.. Into the rainbow.. [18] Layla4089 06/01/22 4089 0
20345 오늘 아마 남모르게 가장 속을 삭혔을것 같은 사람들 [18] EZrock3609 06/01/22 3609 0
20343 티원선수들 보너스 많이 받고 즐거운 설날 연휴 보내길... [13] 맛있는빵3734 06/01/22 3734 0
20342 2006년 겨울 남은 결승전들을 기다리며. [2] K_Mton3958 06/01/22 3958 0
20341 (개.념.탑.재) 결승감상기 [25] 호수청년4413 06/01/22 4413 0
20340 온게임넷의 준비 [21] 낙~3955 06/01/22 3955 0
20339 SKY 프로리그 후기리그 결승전 - 정말 결승전 다운 경기였다. [32] 청보랏빛 영혼3979 06/01/22 3979 0
20338 오늘의 변두리 감상포인트 (수정판) [32] 라이포겐3928 06/01/22 3928 0
20337 좋은 경기의 끝맛이 씁슬하군요 [25] ika_boxer4084 06/01/21 4084 0
20336 불쌍한 SK Telecom T1.......... [47] 버관위_스타워5168 06/01/21 5168 0
20335 후기는 마쳤으니 이제 그랜드 파이널 [50] EZrock4507 06/01/21 4507 0
20334 모두들 진정하세요.. [47] 황제의마린4148 06/01/21 4148 0
20333 송병구 선수는 몇 안되는 전략가였습니다. [19] 김치원4173 06/01/21 4173 0
20332 오늘만큼은 너그러운 사람이 되겠습니다.. [9] 달팽이관3957 06/01/21 3957 0
20331 스타리그 주간 MVP (2006년 1월 셋째주) [21] 일택3813 06/01/21 3813 0
20329 삼성전자 칸 그리고 SK T1 수고하셨어요. [5] 김치원3979 06/01/21 3979 0
20328 왜 이렇게 잡음이 많습니까? [76] 하얀나비4568 06/01/21 4568 0
20326 전후기리그를 마무리 한 T1 우승. [7] SJYoung3940 06/01/21 3940 0
20325 징크스가 연속해서 깨졌던 프로리그 후기리그 포스트 시즌 [10] Nerion3692 06/01/21 3692 0
20323 아아- 잘했습니다 삼성칸. 멋있었어요 T1. [7] My name is J3948 06/01/21 394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