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12/09 22:46:10
Name Winjun
Subject 프로 = 승리?
이번 최연성 선수의 경우를 보면
프로선수는 공정한 경기로 무조건 승리 해야하나요?
전 절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프로라면 보여주는 경기도 생각해 봐야 하기 대문에
무조건 승리만이 중요하다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재미있는 경기를 보여줘야 하는 것도 프로로써의 임무이기 때문이죠.
프로로써 똑같은 경기 내용이 아닌 색다른 경기를 보여줘서
팬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겠다는건 잘못된거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인터뷰를 봐도 프로리그가 아닌 자기 성적은 자신이 책임져야하는
개인리그이기 때문에 시도해 봤다고 했습니다.
저 혼자만의 의견이 아닌 많은 전문가들도
이기는게 우선이라는 마인드의 k리그와
팬들에게 재밌는 경기를 보여주는게 우선이라는
마인드의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를 봐도
꼭 축구 뿐만이 아니라
농구든 야구든 이미 프로화가 오래된 스포츠 일수록
이기는 경기보다 팬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는
경기를 해야한다는 마인드가 강하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들은 오랜 리그를 진행하는 동안 그래야지만
프로팀, 리그가 유지 된다는걸 깨달았거든요.
그리고 프로선수라고 꼭 승률이 높은 전략을 들고 나와야
프로정신이 강한 선수라고 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다른 선수들의 인터뷰를 보더라도
항상 승률이 높은 전략만 들고 나오는 것이 아니라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다들 상대방을 무시해서 일까요?
연습때 승률이 안 좋은 전략 = 상대방 무시
라는건 절대 아니라고 할 수 있죠.

우선 밑에 비슷한 글이 많은데 글을 또 남기게 되서 죄송합니다.
글을 쓰는 동안 그리고 망설이는 동안 비슷한 글들이 많이 올라와 버렸네요.
방금도 글 하나가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마추어인생
05/12/09 22:49
수정 아이콘
글이 상황에 맞지 않는 것 같네요.
최연성 선수가 도박적인 빌드를 해서 논란이 일어난게 아니죠.
05/12/09 22:56
수정 아이콘
아... 전 최연성 선수의 인터뷰를 지지하는 의견으로 쓴 겁니다.
인터뷰는 변명거리가 아니며 프로로써 용감한 시도였다라는
의미로 쓸려고 했는데...
쫌 아니였나 보네요 ㅡㅡ;;
05/12/09 22:57
수정 아이콘
인터뷰가 용감한 시도가 아니라 경기 내용이...
체념토스
05/12/09 22:59
수정 아이콘
^^ 네..
05/12/09 23:59
수정 아이콘
어디서 봤는지 기억이 안 나지만 이런 구절이 있었습니다.
프로의 조건이란 ......
매 경기에 최선을 다하는 것, 관객들의 기대에 보답하는 것, 그리고 승리하는 것.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9119 pgr 단상. [4] hyoni3993 05/12/12 3993 0
19117 완불엠.. [71] 가승희4803 05/12/12 4803 0
19116 가정 문제입입니다.길지만 읽어주세요. 그리고 조언 좀 해주세요 [28] 저스트겔겔4355 05/12/12 4355 0
19115 [Zealot] 세상의 변화 [3] Zealot4324 05/12/12 4324 0
19114 최연성과 서지훈 또 다른 의미의 강력함. [21] 레인메이커4461 05/12/12 4461 0
19113 아이리버 u10 2기가 출시! 레인콤에 대한 실망. [35] 아크비프4389 05/12/12 4389 0
19112 Starcraft의 스포츠화를 위한 선결과제 - 판권.....? [6] XoltCounteR3849 05/12/12 3849 0
19111 [마왕-태호](단편) [3] 럭키잭4438 05/12/12 4438 0
19110 이번 op에 대한 황당한상상 [18] Okchaos3661 05/12/12 3661 0
19109 내일 GO와 T1의 1위를 둔 총력전이 펼쳐집니다. [70] KanRyu6097 05/12/11 6097 0
19108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기회는 아직 남아있기에.... [9] BluSkai4087 05/12/11 4087 0
19107 팀리그가 다시 생겨나는게 방송사. 게임단 에게 윈윈(WinWin)이 될까요? [139] TicTacToe5296 05/12/11 5296 0
19106 연말에 제주도 여행을 갈려고 합니다.+ 질문~ ^^ [19] 삭제됨3753 05/12/11 3753 0
19105 현재 네임밸류로 따져본 32개국 16강 확률 [29] hobchins4322 05/12/11 4322 0
19104 WEG 2005 시즌3 CJ 그랜드파이널-카스 결승전(문자중계-종료) [224] BluSkai4600 05/12/11 4600 0
19103 [초잡담]밀린 게시물 돌아보다가 뜬금없이 하나 쓰고 가요 -_- 방송직종 관련.. [3] In the Rain3730 05/12/11 3730 0
19102 팀리그 부활 하면 하위팀들 다 죽어 나갈듯..... [46] 토스희망봉사4970 05/12/11 4970 0
19101 추억의..크레지오배 종족별 최강자전 !!! [15] 시체5019 05/12/11 5019 0
19100 한국의 16강 가능성 [73] 군의관4032 05/12/11 4032 0
19099 (생활글)언론으로 흥 한자 언론으로 망 한다 [61] 순수나라4457 05/12/11 4457 0
19096 '팀리그'가 부활할수도 있다는군요. [94] 리콜한방6181 05/12/11 6181 0
19094 kbs대토론을 보고... [7] 내안에그무엇~3747 05/12/11 3747 0
19091 자자 다들 감정적인 논쟁은 그만하시고~ 이쯤에서 노래한곡 들어볼까요? [13] KilleR4173 05/12/11 417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