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11/30 10:06:44
Name 기다린다
Subject 나의 음악 편력기
밑에 MP3논쟁을 보고, 또 요즘 뜨고 있는 가수들에 대한 이야기를 보고 전 솔직히 현제 상황을 이해하고 타개하려고 노력 하기 보다 예전에 내가 듣던 음악, 내가 좋아 하던 가수들이 생각납니다.

정확하게 날짜와 연도는 기억이 안나지만 (20년이 넘었습니다) 국민학교(저 때는 국민학교였습니다...)를 졸업하고  중학교때로 기억 하는데요, 그 당시에는 가수라고는 TV에 나오는 조용필, 이용, 이은하등  몇몇 사람만 알고 있었고 우리나라 가요에  대해서는 팝송과 비교하여 약간 무시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지금은  이 분들이 무시할만한 분들이 아니고, 정말 노래를 잘하시는 분들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물론 팝이라고 해봐야.. 중학교 갓들어온 나에게는 대중적으로 많이 알려진 마이클 잭슨이나, 신디로퍼, 에프알데이비드, 보이조지 정도 이지만요.

4-6월 정도였던걸로 기억 하는데요. 어느날 이모부네 집에서 잠을 잘 상황이 있었습니다. 밤에 사촌형 방에서, 잠을 청하면서 라디오를 듣고 있었는데, 그 당시에는 밤 10시에 '이종환의 디스크쇼'를 하고 었습니다. 그냥 무의미하게 듣고 있다가  제 음악인생을 180도 바꿀만한 음악을 하나 듣게 되었습니다.

내용이 자세히는 기억이 안나지만 이종환님의 느끼하고 가라앉은 목소리로 나오는 멘트 "요즘 이 가수의 노래를 한번 정도는 들어 보셨을 것입니다. 이번에 들려드릴 노래는 시인과 촌장의 '매' 입니다." .......................  이후에 들려나오는 그 당시 엄청났던 기타반주와 처절한 노랫말...........  '아.. 우리나라에 이런 가수, 이런 음악도 있었구나,'

이 다음날 전 참고서 산다는 명분으로 아버지께 돈을 타낸후, 시인과 촌장의 앨범 LP '푸른돛'을 사게 됩니다.

  이 이후 내가 듣게 되는 거의 모든 음악은 동아기획(들국화 1집은 서라벌레코드로 기억)에서 나오는 음반들로 채워지게 되었습니다. 지금 누가 나한테 무인도에 표류하게 되었는데 3장의 음반을 가지고 갈 수 있다고 하면 무엇을 가지고 가겠는가? 라고 물어본다면
"들국화 1집" "김현식3집" "시인과 촌장 2집(푸른돛)" 3장으로 아무 망설임 없이 말할 수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오케이컴퓨터
05/11/30 10:14
수정 아이콘
참고서 산다는 명분으로 ;;;
아무튼 시인과 촌장도 좋죠.. 아시나요 원곡도 시인과 촌장꺼고...
InTheDarkness
05/11/30 10:28
수정 아이콘
나이가 나이인지라 옛 가수들은 잘 모릅니다. 제게 있어 최고의 뮤지션은 이승환입니다.
StaR-SeeKrR
05/11/30 10:37
수정 아이콘
좋은 엘범이죠 ^^
05/11/30 10:53
수정 아이콘
당시 DJ 로는 이광한(맞나?) 김기덕(맞나?)가 양대산맥이었죠. 시인과 촌장은 가스펠 가수로 활동을 더 많이 했고, 개인적으로 제목은 생각 안나는데 '그대의 나의 깊은~~~ 어둠을 흔들어 깨워~' 이런 노래를 소싯적에 흥얼거리고 다녔던 기억이 나네요. 보이조지는 솔로가수가 아니라 컬처클럽의 꽃미남 멤버였고 제 별명이기도 했어요.. ㅎ
들국화 1집이 그것만이 내 세상, 제발이 수록된 앨범 맞나요^^? 당시에는 폭발적인 인기였죠. 그 시절에 국내 음악으로는 조덕배씨와 남들은 이해하기 어렵겠지만 이광조씨를 참 좋아했습니다-_- 평생 가장 많이 불렀던 노래는 송대관의 쨍하고 해뜰날이 아닐지.. 국민학교 다니던 74년도였나 75년도 였나에 발표되어 길거리 모든 아이들이 그 노래를 부르고 다닐정도였어요. 새마을 노래보다 더 많이 불리던 애창곡.

InTheDarkness님 // 옛 가수라는 범주가 어디까지인지 모르겠지만 승환횽아는 현재 41살이시죠 :)
Judas Pain
05/11/30 11:23
수정 아이콘
80년대에서 90년대 초반이 황금기...

그때의 음악 관련 TV프로는 유치하기 짝이 없었지만
음악 하나만큼은 양과 질에서 다시 보기 힘든 수준이었습니다

전인권이 있었던 들국화,어떤날,시인과촌장,부활,시나위,유재하,김현식,봄여름가을겨울,김광석,동물원,여행스케치,신촌블루스,한영애,장필순,정태춘,패닉,전람회,공일오비,넥스트,안치환,한대수,낯선사람들,이상은,강산에,듀스,빛과소금,김수철,김현철,유앤미블루

90년대 후반떄 라디오에서 들국화의 그것만이 내세상과 어떤날의 초생달을 듣고 그것이 80년대에 나온 음악이란걸 알고 난뒤 받은 문화적 충격이 다시 떠오르는군요

외국의 팝/락 씬처럼 시간이 흘러도 음악적 가치가 존재하는 음악이 우리나라에도 있을수 있다는건 정말 신선한 충격이었습니다
05/11/30 11:35
수정 아이콘
오케이컴퓨터//아시나요는 조성모의 원곡이고 가시나무새가 시인과촌장의 곡이죠
레지엔
05/11/30 11:40
수정 아이콘
92년에 초1이었던 제게 가장 큰 충격을 준 건 역시 서태지-_-; 였습니다.(전 앨범 소장 중입니다) 지금이요? 중학교 들어가기 좀 전부터 락과 메탈에 빠져서 사대주의(라고 불려도 할 말 없는)를 표방하다가 지금은 적절하게 한국락을 같이 듣고 있습니다. 시나위, 블랙홀, 들국화... 참 아깝다는 생각이 듭니다. 태어난 곳이 한국이 아니었다면, 아니면 시대가 조금 달랐더라면, 지금처럼 일부에게 회자되는 수준이 아니라 영국의 핑크 플로이드나 비틀즈처럼 국민 가수가 되었을지도 모를텐데요..
오케이컴퓨터
05/11/30 11:42
수정 아이콘
서태지 난알아요 표절이라는 걸 알고 싫어졌습니다. 밀리바닐리의 곡을 완전히 베꼈죠.
05/11/30 11:52
수정 아이콘
'가시나무' 이죠 가시나무새는 아니고
Paul 님께서 언급하신 곡은 '비둘기에게' 인듯 하네요!
특유의 파스텔톤의 앨범자켓 생각나네요!
05/11/30 12:19
수정 아이콘
주다스페인님이 말씀하신 가수들.. 최고네요. 여행스케치, 김현철, 공일오비, 전람회, 유재하...

90년대 후반엔 이승환, 김동률, 유희열, 조규찬, 윤상 등이 분전하고 있지만 역시 가요의 황금기 하면 90년대 초중반일거 같습니다.

공일오비 정말 좋았죠. 우리나라 팝씬에서 실력만 놓고보면 정석원만한 사람 찾아보기 힘듭니다. 14년전에 발매된 공일오비 2집은 아직도 저에게 베스트앨범이네요. 6집은 뭐 말할껏도 없구요
05/11/30 12:55
수정 아이콘
이병우, 이은미, 김광민님도 껴주세요 ^-^
Judas Pain
05/11/30 13:28
수정 아이콘
이병우님이야 어떤날 멤버셨으니까요^^

김광민님은 아마 지구에서 온 편지로 알려지신 분맞죠?
이은미 누님은 깜박 잊었네요

정원영,한상일,조규찬,윤상,윤종신,토이,H2O,푸른하늘,문화혁명을 시도한 삐삐밴드,휴먼과 싸이클을 만들 당시의 이승환...
이외에도 언급하지 못한 뛰어난 그러나 알려지지 못한 뮤지션들...대중음악 리스너들과 후배들에겐 소중한 토양입니다

오랜만에 라디오나 다시 들어야겠네요
유신영
05/11/30 13:36
수정 아이콘
매니아의 냄새가;; 오랜만에 LP 돌려보나요~^^;;
Judas Pain
05/11/30 13:48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면 공일오비 6집은 정석원의 마지막 객기가 되는건가요
말도 안되는 짓이었죠, 인더스터리얼의 형식미를 구현해내고 영화식구성에 당시 유치찬란하게 밝은 노래만을 강요받던 음악계에서 금기시 된 반사회적 세기말적 분위기

좋았어요... 정석원 답지 않게 조요히 앨범하나 내고 평가에 맡긴것도 그랬고

마지막에 해보고 싶은걸 다 시도한것 같은데... 아직까지 앨범하나의 작품으로서 그정도의 완성도를 보인ㄴ 앨범은 많지가 않아요

재능이 아까운 사람중 하나...
조영래
05/11/30 13:49
수정 아이콘
시인과 촌장의 '푸른돛'앨범은 한국 가요계의 걸작이라 할만하죠. '비둘기에게' '고양이' '매' '비둘기 안녕' '진달래' '풍경'등 주옥같은 곡들로 가득찬 앨범이죠. 3집 가시나무때부터 너무 가스펠적으로 흐르더니 CCM처럼 되어 대중들과 멀어지게 된 게 개인적으로는 아쉽습니다.
05/11/30 13:53
수정 아이콘
휴먼과 사이클을 만들 당시의 이승환이라... 이승환 팬으로서 너무 공감되는데요. ^^;;
05/11/30 14:39
수정 아이콘
아아..90년대 초반,
정말 cd를 돈주고 살게..너무 많아서; 괴로웠었죠.
이승환,넥스트,전람회,토이 등등등등등...
정테란
05/11/30 14:40
수정 아이콘
폴님
이광환이 아니라 김광환입니다. 같은 세대라서 한말씀 올립니다.
쨍하고 해뜰날 저도 많이 불렀던 기억이 납니다.
정테란
05/11/30 14:41
수정 아이콘
글구 이승환이 30대 후반인줄 알고 있었는데 40대였나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9039 요즘의 김성제..그리고 박태민.. [10] 김호철4668 05/12/10 4668 0
19037 [4] So Far... So Good... So What...? [9] Saviour of our life4647 05/12/10 4647 0
19036 역사에 남기 위한 첫 발걸음.. 박성준의 시원한 히드라 럴커~^^ [22] Dizzy5070 05/12/10 5070 0
19034 기대되는 어떤 게임의 예고편 [2] 포르티4118 05/12/10 4118 0
19033 자, 잘된점을 한번 이야기해 봅시다! [8] The Drizzle4335 05/12/10 4335 0
19030 너는 왜 살아? [23] Timeless4258 05/12/09 4258 0
19029 팬이라는 사람들... [6] 가루비4242 05/12/09 4242 0
19028 메이저리그팀과 프로게임단의 닮은꼴 찾기 (1) [7] 로망테란4812 05/12/09 4812 0
19027 이번주 주말에 관심 한 번 가져볼 만한 리그의 마지막을 즐겨보실래요? [5] 워크초짜6524 05/12/09 6524 0
19026 과연 박성준선수(삼성)의 고집이었을까? [58] 낭만토스4797 05/12/09 4797 0
19025 프로 = 승리? [5] Winjun4181 05/12/09 4181 0
19024 저는 게임에 대해서도 말하고 싶습니다. [33] legend4442 05/12/09 4442 0
19023 신한은행 스타리그 16강 1주차 시합 [22] kama4725 05/12/09 4725 0
19022 도대체 프로게이머란 어떤 존재란 말입니까? [211] legend5826 05/12/09 5826 0
19020 완전소중 견제양. -_-; (경기 내용 스포일러) [97] [couple]-bada5419 05/12/09 5419 0
19019 프로토스의 정신력vs저그의 근성 [23] jyl9kr4249 05/12/09 4249 0
19018 최연성 선수의 인터뷰를 읽어보고 난 뒤... [104] 케이6337 05/12/09 6337 0
19017 [Zealot] 다른 방면으로 이 세상을 본다면 [9] Zealot4350 05/12/09 4350 0
19016 싸이언 MSL 승자4강 마재윤선수vs최연성선수 경기를 보고생각한 분석 [5] 나르크4947 05/12/09 4947 0
19015 그가 다시 한번 거듭나다 (스타리그 2경기 스포일러) [28] 진공두뇌4024 05/12/09 4024 0
19013 [펌]게임중독에 대한 승민이 아빠의 소견 [9] homy4652 05/12/09 4652 0
19012 프로게이머...그 후에 시작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 [10] legend5039 05/12/09 5039 0
19010 (약간수정)생각만 해도 끔찍한 상상이..... [64] 순수나라4755 05/12/09 475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