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11/23 15:03:57
Name Firehouse
Subject 99년 스타크래프트...추억 넋두리...
현재 스타는 하고 있진 않지만 가끔 tv볼때 채널돌리며 보는 수준입니다.

전 98년중순에 집에 모뎀이 들어오면서(33.6K ;;) 본격적으로 통신도 하고
배틀넷에 접속하게 되었습니다.

정식 시디키가 없어서 프리배틀넷(주로 민서버)에서 20분노러쉬따위를 했었구요.

200온리뮤탈, 200스카우터, 200레이스;;
제가 유일하게 할줄 아는것이었죠.

그러다 어떻게 아는 사람에게 정식 시디키를 얻어 드디어 정식배틀넷에 접속을 하게 되었고

이후 본격적으로 스타에 빠져들었답니다...

시간은 흘러 99년 Broodwar 2시즌이었습니다.

1시즌에 이어 래더토너먼트가 있던 시절이었죠. 물론 토너먼트 참가자격은
래더랭킹 상위 16위내의 랭커였습니다.

이때는 www.katan.com 라고 있었죠. 이 사이트는 이후 게임아이 or 배틀탑등의
장점중 하나이기도 했던 어뷰징(점수 밀어주기)을 막아줄수 있는 장치였고
래더 전적 및 전반적인 경기내용 또한 조회할 수 있는데 보조사이트였습니다.

블리자드의 이런 지원속에 시작된 래더2시즌이었지만 역시나 맵핵등의 루머는
끊이지 않았습니다.

당시 전 토스vs토스전만 해서 래더 점수를 올리는 수준이었고 그나마 1200점 한번
넘지 못했었죠...

그러던차에...~(Sauron)~ 이라는 id의 저그게이머가 갑자기 유명해지기 시작했습니다.;;
vs 토스전은 승률이 90%가 넘었었죠...

지금이야 저그>프로토스라는 인식이 평균적으로 깔려있지만 제 기억으론 당시엔
저그=토스 or 저그<토스 정도였습니다.

그리고 그의 전략이 공개되었죠. 이른바 초반 5해처리 2멀티...온리 저글링&히드라
지금과 비교하기엔 아무래도 경기력에 차이가 있으니 전략자체에 대해선 논외로 하더라도

당시엔 정말 파격, 대파격 그자체였습니다;; 그의 인터뷰에서도 나왔지만
자긴 프로토스에겐 안진다고 하더군요. 단, Kain-the-feard 라는 토스유전 빼고;;

물론 그 전에도 이같이 온리 저글링같은 물량저그가 있었지만 온멀티를 다 먹어버리고
무조건 어택땅만 때리는 저그는 제 생각엔 ~(Sauron)~에 의해서 구체화되지 않았나 싶네요.

그나마 비슷한 유형의 저그가 있다면 FreeMura 최진우선수정도?
KPGL이라는 당시 메이저대회에서 신주영씨를 상대로 보여줬던 온리저글링...
이것 또한 기억에 남는게 온리저글링으로 리버+아콘 조합을 이겨버렸죠...

하지만 그 파괴력과 전적면에선 확실히 ~(Sauron)~의 vs 토스전이 대세였습니다.

이후 모든 멀티를 다 먹어버리고 저글링&히드라로 토스를 제압하는 전략을
'사우론 저그'라고 불리다 뭐...나중에야 그 의미가 많이 퇴색되었죠.


이외에도 2시즌엔 참 말도 많고 탈도 많았습니다.
다들 아는 쌈장 이기석의 어뷰저사건, 래더 16등안의 랭커중에 털면 먼지 안나올사람
없다는 신뢰도 0%의 시즌이라는 오명과 함께 결국 2시즌이 마감되었습니다.

블리자드에서 더 이상 래더토너먼트는 없다고 발표를 했었기에 많은 사람들이
래더에 열을 올렸고 또 이미 한국에서의 스타열기는 외국과 충분히 견줄 수 있는,
아니 그이상의 것이었습니다.

당연히 16등 커트라인 점수는 날이 가면 갈수록 올라갔고 결국 1700점 초반대로 결정
났을겁니다.



래더에서 점수가 같은 2명이 붙었을때, 승리자는 +25점, 패배자는 -25점을 기록합니다.
하지만 래더총전적이 33전이 넘어버리면 이후 승리자는 +15점, 패배자는 -15점을 기록하죠.

2시즌 후반 대부분의 상위랭커들은 이미 33전을 넘겨버려 이겨도 단 15점밖엔 얻을 수가 없었습니다. 또한 상위층의 실력은 다 비슷비슷하다보니 이기는것도 쉽지 않은데
커트라인은 자꾸 높아져가니 대부분 어뷰징(점수 밀어주기)를 시도하게 되죠.

이로 인해 정직하게 게임을 한 많은 유저들이 피해를 보고 그 피해자중엔 상당수의
외국고수가 포함되었습니다. PGL 3시즌 우승자 Gadianton, 1시즌 래더토너먼트 우승자
D22-soso, 그외 기욤으로 우리에게 친숙한 X'Ds~Grrrr.... & 피시통신의 많은 한국고수들까지...

외국사이트에선 래더2시즌은 어뷰저들의 잔치라며 비아냥되기도 했고 실제로
시즌 막판 쌈장 이기석선수는 어뷰징을 시인하고 래더토너먼트 불참을 선언했다가
다시 번복하고 실력으로 우승을 해버렸죠-_-;

어쨋든 그렇게 끝난 2시즌이었지만 위에 잠깐 언급한 ~(Sauron)~의 시즌결과가
참 재밌습니다.

6월30일을 기점으로 2시즌래더가 종료되었습니다. 그런데 14위부터~17위까지
래더점수가 전부 동점이었죠. 그중 사우론도 포함되었습니다.

그래서 한명떨어뜨리기 토너먼트를 벌였는데 vs 토스 최강자라고 자부하던 사우론은
2판연속 저그를 만나면서 결국 한명떨어뜨리기의 희생자가 되었죠.

그의 유일한 딜레마였던 vs 저그전이 결국 2시즌동안에 쏟아부었던 노력을 허사로 만든셈이죠.

그 해 8월달쯤에 1시즌 토너먼트 8강이상 진출자 & 2시즌 토너먼트 8강이상 진출자를
묶어 Broodwar 월드챔피온쉽을 진행하게 됩니다.

대회 직전 외국사이트에선 실력없는 어뷰저 한국유저들이 대거 진출한 2시즌
출전선수보단 1시즌선수들이 훨씬 낫다는 평도 있었을 만큼 아직까지 2시즌때의 불만을 터뜨리는 여론까지 있었죠.

결과는?

결과만 놓고 보면 1시즌진출자들이 더 많이 올라갔습니다만,
결국 테란으로 결승까지 올라간 김창선씨 vs 기욤의 결승국면으로 전개되었습니다.

2시즌 우승자 쌈장 이기석씨는 코넷광고찍는다고 연습을 못 했을까요...16강 첫빵에
떨어졌고 많은 한국유저가 16강에서 고배를 마셨습니다.

결승은 아시다시피 기욤이 3연승을 거두며 우승을 했구요 broodwar.com 에
결승 동영상이 전부 있었는데 아직 그 사이트가 존재하는진 잘 모르겠군요.

쓰다보니 시간만 가네요. 나중에 쓰고 싶은말 더 이어서 쓰겠습니다.

p.s ~ 밑에 기욤에 관련된 댓글 쓰다가 어쩌다 이렇게 글까지 쓰는군요 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랑하는저글
05/11/23 15:29
수정 아이콘
아 오랜만에 정말 좋은 자료의 글 읽었습니다.근데 전 정말 궁금한게 D22-soso란 게이머는 어느 나라 사람이고 아직도 스타를 하는지 궁금하더군요..그리고 그때 배틀넷에서 미나라는 닉을 갖고있던 아토믹 테란? 이었나? 하시는 분도 래더순위권에서 자주 봤는데.그 당시 온리 테란이라고 "와 정말 대단하다"라고 혼자 생각하던 생각이..당시 손다쳐가지고
투니버스에서 첫 스타 대회였나? 거기서 왼손으로 마우스질하다가 한번 나오고 안 나오시던데..옛날 하이텔 생각도 많이 나네요.
전 배틀넷 래더를 다시 활성화 시키면 정말 재밌지 않을까 생각합니다.블리자드에서 손을 놓은 건지..
풍류랑
05/11/23 16:17
수정 아이콘
과거 래더맵 건틀릿 ;;; 정말 지금 보면 벨런스가 달라보일지 몰라도
그당시 플토입장에서는 그맵이 그리 미울수가 없었습니다.

사우론 저그 말 한때를 풍미했던.. 지금 테란 fd정도의 인기였다랄까요?

아 그리고보니 당시 pc통신상에서 자칭 프로토스의하늘
X???? 어쩌구저쩌구 하시는 외국분도 유명하셨는데 누구 기억하시
는분 없나요? 오리지널때 dire straits라는 섬맵에서 아칸,템플 드랍위주
로 그맵에서만 승률이 엄청높았다고 했던 기억이;; 있는데
유신영
05/11/23 16:26
수정 아이콘
풍류랑 님//
저도 건틀릿이 그립습니다 ^^ 참고로 저는 저그 유저 -_-;;
Sulla-Felix
05/11/23 17:39
수정 아이콘
쏘쏘는 제가 이겨본 몇안되는 외국인 고수였었는데 흐흐흐.. 자랑글..
풍류랑님이 이야기 하시는 분은 바로 기욤선수 같네요;;
풍류랑
05/11/23 17:51
수정 아이콘
Sulla-Felix//

오리지날 당시라 Grrrr선수는 당시 저그 유저라서 아닐듯 한데 흠;;

그런가요? ;;
Firehouse
05/11/23 18:06
수정 아이콘
풍류랑 // Zealias -> 질리아스 :)
그래도너를
05/11/23 21:13
수정 아이콘
Firehouse // zealias 가 아니고 zileas 아니었던가요 ㅋ
풍류랑
05/11/24 04:53
수정 아이콘
아 감사합니다 질리아스가 맞는것 같네요

아직도 기억하니 다니 대단;;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8848 *입대문제로 일본귀화하신다는분들.. [101] 쓰루치요9751 05/12/01 9751 0
18847 벼랑끝에서 살아나는 몽상가...... 과연 그의 앞으로의 행보는? [41] SKY925040 05/12/01 5040 0
18846 [CYON MSL] 프로토스, 살아남을 것인가? 사라질 것인가? [27] 청보랏빛 영혼4542 05/12/01 4542 0
18843 지금 감각을 되찾고 있을 당신에게...... 힘들때 꼭 이날을 기억해주시기 바랍니다.(Boxer에게) [11] SKY924802 05/12/01 4802 0
18842 '해리포터와 불의 잔' 을 보고...(당연히 스포일러 有) [22] 애송이4269 05/12/01 4269 0
18841 만일 웹하드의 공유/검색을 금지한다면 어떻게 될까? [45] TheRealMe4352 05/12/01 4352 0
18840 글쓰기가 되네요...^^ [4] 리구아나4110 05/12/01 4110 0
18839 속업셔틀과 리콜의 적극적인 활용을 기대해 봅니다 [12] 처음처럼4472 05/12/01 4472 0
18838 지키기만 하는 테란에겐 수비형 프로토스가 답이다!? [39] 스톰 샤~워5731 05/12/01 5731 0
18836 12월 KeSPA 랭킹 떴네요. [65] 푸하핫6625 05/12/01 6625 0
18835 [설문조사] E-스포츠의 세계화 가능성과 노력 [48] yoon_terran4367 05/12/01 4367 0
18834 소프트웨어 상용화에 반대! [103] 마술사얀4424 05/12/01 4424 0
18833 제왕(GO)의 마지막 표효는 가능할까요?? [26] 레인메이커4216 05/12/01 4216 0
18832 프로토스 커세어+지상군 조합은 안되나요 [19] 한인5035 05/12/01 5035 0
18831 베트남 처녀와 결혼하세요!! [30] Gattaca6472 05/12/01 6472 0
18830 일본에서 연재되는 한국인의 일본 만화.쿠로카미(黑神) [26] 루루6355 05/11/30 6355 0
18829 국내 적으로 이슈가 되는 사안들의 시작 [5] NZEND4017 05/11/30 4017 0
18828 전상욱vs송병구 선수의 경기 보셨나요? [22] 밍구니5766 05/11/30 5766 0
18826 [스타 추리소설] <왜 그는 임요환부터...?> -43편 [20] unipolar7167 05/11/30 7167 0
18825 少年에 애정을 품다. [8] My name is J4210 05/11/30 4210 0
18824 그랜드 파이널 진출방식에 대해서... [7] 이성혁4573 05/11/30 4573 0
18823 유머게시판에 가야할 글인가.... [20] 퉤퉤우엑우엑4352 05/11/30 4352 0
18822 스타에서 몇가지 궁금증들.. [25] legend4480 05/11/30 448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