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11/20 00:10:30
Name 천재를넘어
Subject 100% 반드시 이기는 게임은 없다.
pgr만은 그들에게 아직은 조용할줄 알았던 것은 제 생각뿐이였을까요..?

스타 처음 나올때부터 시작한 올드게이머? 입니다.
그렇지만 그런 저도 3~4개월 된 친구들한테도 100%의 승률을 자랑하진 않습니다.
물론 이유는 여러가지겠죠, 저의 방심이 될 수도 있겠고, 아니면 그 친구의 독특한 전략에
맥없이 허무하게 질수도 있고, 그 친구가 엄청난 숨은 재능을 가졌을 수도 있고,
또 벨런스가 무너진 불리한 맵에서 했을때 질수도 있는겁니다.
그 3~4개월 된 친구는 부대지정조차도 습관이 안되있는 친구고, 전 학교에서 좀 한다하는
나름대로? 고수였죠, 그런데도 졌습니다. 그것도 중요한 내기 클랜전에서요.

(물론 위의 내용이 아주 좋은 예가 아닐수도 있지만)
저도 저런 친구한테 질 수 있습니다.

하물며 나름대로 그 나라 대표로 나온 선수들(그 선수들은 그 나라에선 최고겠죠)
비록 우리나라 선수들 보다는 환경적인 요인으로 실력이 떨어지겠지만,
질 수도 있지 않습니까?
오히려 저의 상황보다도 더 질 확률이 높지 않을까요?

전 외국인 선수가 아무리 못한다고 해도 위에서 말씀드린 저와 그 친구와의 차이보다는
짧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실력차이가 심하게 나는 친구한테 질 수 있는데,
하물며 그 차이가 그렇게 심하지 않은(비교적) 선수끼리의 대결이기에 질수도 있는것 아닙니까..?

뭐 나도현선수와 서지훈 선수의 대결은 정말 안타까웠고(더 높은 곳에서 싸웠으면 했죠)
그리고 나도현선수가 올라가서 8강에서 바로 2:0으로 진것은 정말 아쉬웠죠.
2:1도 아니고 2:0으로 진것은 정말 충격적이구요.

그렇지만 그것을 가지고 결과가 절대 저렇게 나올 수는 없다는 생각을 가지지는 않습니다.
나름대로 그 선수들도 열심히 한 우물만 판 것일 수도 있고, 또 우리나라 선수들은 얼마나 압박이 심했을까요? 외국인 선수에게 지면 엄청난 비난을 받을것이라는 그런 압박 속에서 경기도 제대로 안풀릴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큰 비중은 아니겠지만요.
그런 상황속에서는 충분히 질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아직 경기결과가 나쁜 선수들에게 비난을 할때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격려와 위로가 먼저가 아닐까요? 왜 졌을까라는 평가는 WCG가 끝난 이후에 해도 늦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아직 이재훈 선수가 남아 있지 않습니까?

우리는 비난 보다는 응원을 할 때 입니다.

WCG 스타크래프트 부분 결승전!

대한민국 스타 팬들이 하나되어 외칩시다.

이재훈 하나! 둘! 셋! 이재훈 화이팅!!

p.s 주제넘는 소리였지만 pgr분들의 넓은 아량을 믿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워크초짜
05/11/20 00:12
수정 아이콘
이재훈 화이팅!!!

스타에 기대가 큰 만큼 아쉬움도 많죠 ^^
바람돌이리
05/11/20 00:13
수정 아이콘
야구나 축구처럼 못하는팀이 잘하는팀 잡을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마리아
05/11/20 00:16
수정 아이콘
이번이 좋은 경험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제 한국이 최고가 아니죠.
좀더 매끄럽게 준비하고 연습해서 우리선수들의 실력을 보여 줬으면 합니다.
이재훈선수의 우승을 기원합니다~
처음그느낌
05/11/20 00:19
수정 아이콘
넵!!!!
이재훈선수! 이제 기회가 왔습니다.
당당하게 우승하시길 기원합니다!!
이재훈 화이팅!!!!!!!!!!!
blueisland
05/11/20 00:19
수정 아이콘
어째...권리는 없고 의무만 있는 선수들처럼 느껴집니다..
부담감 떨쳐내시고..
이재훈 선수~
무조건 온라인 모드 발동!!
I have returned
05/11/20 00:26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스타에서 실력이라는게 승률을 보장할지는 몰라도 승리를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실력차라는게 분명히 존재한다면 스타리그에서 우승자가 그렇게 매번 바뀌지는 않겠지요
오히려 야구 축구 같은 경기보다도 훨씬 승패를 예측하기 힘든게 스타인것 같습니다
이뿌니사과
05/11/20 00:27
수정 아이콘
이재훈 하나! 둘! 셋! 이재훈 화이팅!!
My name is J
05/11/20 00:54
수정 아이콘
그런의미에서...
우린 안드로장의 패배도 의연하게 받아들여야...(퍼억-)
swflying
05/11/20 00:57
수정 아이콘
아직 안끝났죠 우승자를 러시아에서 가져간 후에
밑의 글은 나와도 늦지않다고 생각합니다.

이재훈선수 우승 프로토스 화이팅!!
05/11/20 01:17
수정 아이콘
1:0도 아니고 2:0이 아니라 2:1도 아니고 2:0이라니가 아니었을까요^^;;;
천재를넘어
05/11/20 01:21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ㅜㅜ 바로 수정 ㅜ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8792 초기화면의 랭킹 안바뀌나요..??? [16] 설탕가루인형4501 05/11/29 4501 0
18791 wcg에서의 불미스런 일이 기사로 나왔네요.. [181] Mr.머14649 05/11/29 14649 0
18790 새튼교수, 황우석연구팀에 특허지분 50% 요구 -_-;;; [61] I♡JANE4771 05/11/29 4771 0
18789 고마워요 NaDa, 제게 희망을 주어서 [16] 카카4030 05/11/29 4030 0
18788 개인리그 우승상금 2000만원. 그 2000만원에 대해- [41] jhplusjs5643 05/11/29 5643 0
18787 러브포보아 낼 복귀합니다^^* [19] 러브포보아4697 05/11/29 4697 0
18785 Pgr을 사랑하고 pgr을 아껴주는 모든분들께 감사의 말씀드립니다. [9] 이준태3757 05/11/28 3757 0
18784 [스타 추리소설] <왜 그는 임요환부터...?> -42편 [20] unipolar7567 05/11/28 7567 0
18783 맵의 새로운 패러다임 ver.2 - 패러독스 지상판. - [15] 어머니사랑해4105 05/11/28 4105 0
18780 이승엽, 인간적인 그리고 너무나 멋진... [13] 라구요3961 05/11/28 3961 0
18778 정말 골 때리는 KOF XI 스토리...(스포일러 주의요) [32] 워크초짜8301 05/11/28 8301 0
18777 저글링의 눈물(1) [14] legend4313 05/11/28 4313 0
18776 [잡담]2005.11.28. PGTOUR 종족별 전적 [12] 다쿠3938 05/11/28 3938 0
18775 투신이여~~ 그래도 여기 팬이 있습니다. [68] 최혜경5523 05/11/28 5523 0
18774 스포,카스,워3,스타크레프트 다 좋아합니다. [12] 스머프4513 05/11/28 4513 0
18773 그래도 고맙다... 라는 말을 건넵니다. [13] 가루비4087 05/11/28 4087 0
18772 종교... 영원히 내가 이해 하지 못하는... [45] 임정현4276 05/11/28 4276 0
18771 지긋지긋한 안경! [51] letsbe04526 05/11/28 4526 0
18770 달리 되었더라면.. [2] 치토스4075 05/11/28 4075 0
18769 이론과 현실 그 사이에 담긴 고정관념 [7] NZEND4125 05/11/28 4125 0
18768 [책 추천 릴레이 - ②] 사후 - 영혼에 관한 익살스런 탐구과제 [8] 캐럿.3987 05/11/28 3987 0
18766 M.net Km Music Video Festival을 보고.. [73] Ryoma~*5434 05/11/27 5434 0
18765 삽질하는 나, [7] minyuhee4572 05/11/27 457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