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04/06 02:44:42
Name Timeless
Subject 사람의 정신력 vs 화학물질
지금부터 보시게 될 내용은 저의 가설입니다.


#1
[남들에게 사소한 일로 보일지 모르는 일에 심각하게 고민하는 사람]

[사랑의 실패로 좌절하여 망가지는 사람]

[경제적 문제로 자살하는 사람]

그들에게 주위에서는 비슷한 말을 해줍니다.

"마음 단단히 먹어라"

과 같은 류의 말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정녕 마음 단단히 먹는다고 될까요?


#2
사람은 호르몬과 같은 화학물질에 의해 지배받습니다.

많이 들어보셨을 아드레날린, 도파민, 에피네프린,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테스토스테론 등등의 것들이 바로 호르몬입니다.


월경전 증후군이라고 아십니까?

월경을 하는 여자들 중 일부에서 도벽과 같은 증상으로 나타나는 증후군입니다. 월경은 호르몬에 의해 생기는 것입니다.


항우울제를 아시겠죠.

우울증에 걸린 사람들에게 사용됩니다. 이것은 다시 말해 이것을 투약받으면 우울증에서 해소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항우울제도 화학 물질입니다.


진정제도 있습니다.

약한 용량으로는 몸이 나른하고, 멍하게 되고 용량이 늘면 잠이 듭니다. 역시나 화학 물질입니다.


혈압이나 혈당을 잴 때도 알 수 있습니다.

긴장하게 되면 스트레스 호르몬에 의해 혈압 상승하고 혈당도 상승합니다. 고혈압이 아닌 사람도 당시에는 고혈압을 나타내는 수치만큼을 기록할 수 있습니다.


가장 쉬운 예로는 마약이 있습니다.

우리가 말하는 정신력과는 별 상관 없습니다. 마약에 들어있는 화학 물질은 사람을 멍하게 또는 환각, 환청 등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마약도 화학 물질입니다.

이 밖에도 사람이 화학 물질에 좌우되어 진다는 예는 많이 있습니다.


#3
개인마다 화학물질에 대한 반응의 정도는 다릅니다. 체중이 덜 나가는 사람은 적은 용량의 진정제로도 효과를 볼 수 있고, 체중에 맞는 용량을 주었는데도 진정 작용이 덜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 밖에도 다른 많은 원인이 있겠지요.

호르몬의 작용은 호르몬의 양과 그것을 받아들이는 수용체에 의해 결정됩니다.

분비할 수 있는 호르몬의 양과 수용체의 숫자 및 동원력 등은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반응의 정도가 달라지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을까 혼자 생각해봅니다.


#4
정신력은 결국 호르몬의 양과 수용체의 반응성에 의해 결정되지 않을까요.

정신력이 강한 사람은 외부 스트레스에 대항하여 많은 양의 호르몬과 더불어 많은 양의 수용체를 발현하여 그 스트레스로부터 이겨낼 힘을 가지는 사람입니다. 결코 그 사람이 위대해서가 아니라는 것이죠. 잘 타고 났을 뿐입니다.

이런 기질적 원인을 두고 '너는 하면 되는데 정신력이 빠졌어'란 말로 어떤 이를 평가하는 것이 옳은 일일까요?


#5
하지만 사람은 적응의 동물입니다. '군대 갖다오면 참을 수 있다'란 말을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아마도 군대에서 매일 계속 되는 외부 스트레스에 적응하기 위해 군대 간 사람의 몸은 점차 호르몬 양을 늘리고 수용체 반응성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적응되어졌을 것입니다.

화학 작용에 역치란 말이 있습니다. 내 몸이 어느 정도 자극에 익숙해지면 그 보다 작은 자극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습니다. 그래서 군대에서 그만한 스트레스를 견뎌 온 사람이라면 사회에서의 작은 스트레스에는 별 생각 없이 넘길 수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역시 외부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성도 개인마다 다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군대에서도 자살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것이겠죠.


#6
이제 결론입니다. 우리는 화학물질에 좌우되어집니다. 그리고 그 화학물질에 대한 반응성은 개개인마다 다 다릅니다.



#7
적용1
자신이 안그렇다고 해서 꼭 남도 안그렇다고 생각하지는 마세요.

나에게 별 일 아니라도 상대방에게는 큰 일 일 수가 있습니다.

1000만원을 잃어버렸다. 빌 게이츠가 신경이나 쓰겠습니까? 반면에 저는 하늘이 무너집니다.

빌게이츠를 자극하려면 1000억쯤은 되야 할 것인데 저는 1000원에도 자극됩니다.



적용2
사랑에 유통기한이 있다. 맞는 말일 것 같습니다.

사랑할 때 나오는 호르몬이 고갈 된다던가, 아니면 사랑이라는 자극에 대한 역치가 높아져서 같은 수준의 사랑에서는 아무것도 느끼지 못한다던지..



----------------------------------------------------------------------------------------------------------------------------------------------------------------

과학적 근거가 꽤나 부족한 저의 가설입니다. 개인적으로 역치를 높이지 않는 "사랑" 호르몬이 시판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화날 때 한 방 맞고, 우울할 때 한 방 맞고, 외로울 때 한 방 맞고, 사랑할 때도 한 방 맞고 하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5/04/06 02:48
수정 아이콘
저는 냉정이란 호르몬이 시판되었으면 좋겠다는...
여자친구랑 헤어지고 싶은데 자꾸 약해져서...퍽퍽퍽
Youmei21
05/04/06 02:49
수정 아이콘
↑이런 염장질을 하시다니.. ㅠㅠ
안그래도 가뜩이나 없는 공대에 CC가 생겨서 낭뷁인데..(250명중에 여자 12명.. -_-??)
콧물테란
05/04/06 03:14
수정 아이콘
아까같은 pgr엔 진정제등이 먹는식음료 비슷하게 시판되었으면 좋았을듯 ..
마음의손잡이
05/04/06 07:32
수정 아이콘
#7
너무 공감이요 너무 공감해서 죽을지경입니다
∂\(* ̄▼ ̄)/
05/04/06 07:49
수정 아이콘
공감합니다
Chicken flies.
05/04/06 08:24
수정 아이콘
뇌가 화학물질과 전기자극으로 이루어져 있는건 맞습니다만, 화학물질이 정신에 영향을 끼치는 것 못지 않게, 정신도 화학물질의 분비에 영향을 끼지지요. 저는 예전 사람들이 영적이었다고 생각한 것을 물리적 현상으로 개념이 바뀐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머신테란 윤얄
05/04/06 18:19
수정 아이콘
음...
김대선
05/04/07 00:25
수정 아이콘
지능지수, 육체능력 .... 또는 돈? 등만 타고나는 것이라면 얼마나 좋겠습니까마는....행복도 . 집중력, 이런것들도 많은 부분 타고나는 것이라고 하죠.
아케미
05/04/07 01:26
수정 아이콘
영감을 떠올리는 것을 돕는 "소설가용 호르몬" 없을까요? 미소천사 다음 편 너무 기대되는데 어서 써주세요T_T!! (남자로 아셨다는 것에 대한 복수로 연재 압박 들어갑니다~ 앗! 농담이니까 돌은 치우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208 폭력(2가지 종류)이 무섭습니다. 나이든 사람의 서글픔 [55] 데모5486 05/04/08 5486 0
12207 아슷흐랄 나다.. 오늘 꼭!! [36] 김군이라네4074 05/04/08 4074 0
12206 SBS 세상에이런일이 "선풍기아줌마"를 보고나서 [22] AssaSinTOss5451 05/04/07 5451 0
12204 나에 베스트 [한국영화]들 [30] 잔잔바라바라3842 05/04/07 3842 0
12203 Navy여!!! 당신의 눈물을 보았습니다.ㅠㅠ [11] Crazy Viper4978 05/04/07 4978 0
12201 흥분과 기대감이 넘치는 내일 개막전 [40] 초보랜덤6046 05/04/07 6046 0
12200 MBC게임 박상현 캐스터 가능성 무한대 입니다! [14] 가츠테란J4335 05/04/07 4335 0
12199 군대 군가산점 이렇게 하면 어떨까요? [106] 이규수4473 05/04/07 4473 0
12198 여러분 저는 어찌하면 좋을까요? [33] Hydra이야기3533 05/04/07 3533 0
12197 UEFA Champions League 8강 1차전 첼시 vs 바이에른 뮌헨 을 보고.. [23] hyun52804469 05/04/07 4469 0
12195 남자들의 의리없는전쟁이시작된다 <달콤한인생> [13] 마리아4474 05/04/07 4474 0
12194 게임계에 상무팀 만들어지나 ? [164] 승리의기쁨이6683 05/04/07 6683 0
12192 처음 제목 달린 글을 적어봅니다. [7] 티에니3872 05/04/07 3872 0
12191 [연재] Reconquista - 어린 질럿의 見聞錄 [# 13회] [8] Port4994 05/04/07 4994 0
12190 [잡담]경제 관련글이라 무거울수도 있지만 읽어보시면 도움되리라 생각합니다.. [18] 조자룡4369 05/04/07 4369 0
12189 불가능을 가능으로! [추리의 매력] [38] 공부하자!!4723 05/04/06 4723 0
12188 내 이름은 코난.... [5] LoKi4490 05/04/06 4490 0
12187 짤막한..잡담..@_@ [6] 정령3880 05/04/06 3880 0
12185 MBCgame 새로운 캐스터의 등장! 박.상.현. [26] 청보랏빛 영혼6262 05/04/06 6262 0
12184 나의 Best 영화들 (1) [45] 공공의마사지4333 05/04/06 4333 0
12183 년도별 pgr21랭킹 20걸 [26] 프렐루드5455 05/04/06 5455 0
12182 [잡설] 멜랑꼴리 그리고 무한한 슬픔 [9] 볼드모트3866 05/04/06 3866 0
12181 UEFA Champions League 8강 1차전 리옹 vs Psv 아인트호벤을 보고.. [26] hyun52805753 05/04/06 575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