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5/05/25 10:29:32
Name 고무닦이
Subject [일반] 왜 나라를 팔아도 특정 당을 찍는다는 사람들이 있을까
전 어렸을때부터 대가족이라는 구성원에서 컷습니다. 그리고 이런 3대가 같이살며 느낀점은 한번 정해진 정치성향은 죽을때까지 간다는 것이였죠. 32년생인 할아버지는 보수당을 지지했습니다. 민주당은 빨갱이며 박정희는 구국의 영웅이고 박근혜는 대통령이 되어야 하며 매일 조선일보와 KBS 뉴스를 봤습니다.

63년생인 아버지는 80년대 대학생이였습니다. 민주당을 지지했습니다. 손석희의 시선집중과 김어준의 뉴스공장을 듣습니다. 소위 586이라 불리는 세대의 전형입니다.

명절때 친척들이 오면 늘 논쟁이 오고갔습니다. 싸움까지는 가지 않았지만 늘 레퍼토리는 동일했습니다. 민주당은 빨갱이라는 할아버지와 그런으로 생각하지 말라며 반문하는 아버지. 그 논쟁은 4년전 끝났습니다. 할아버지가 돌아가셨기 때문입니다. 이제 저희집에는 명절이 되어도 논쟁하는 소리는 들리지 않습니다.

전 사람들의 정치적 입장은 않바뀐다고 생각합니다. 정치적 입장은 세계관입니다. 한번 생긴 세계관은 죽을때까지 갑니다. 누가 뇌물을먹든 성추행을하든 사람을 때리든 계엄을 하든 바뀌지 않습니다. 한번 굳혀진 인간을 변하지 않습니다.

+

저는 소위 홍대병 환자입니다. 왠지 소수정당만 보면 찍고싶어집니다. 나만의 작은 OOO 같은거죠. 왠지 거대정당보단 한표가치가 클거같고 같은 후원금을 내도 왠지 소수정당 입장에선 더 소중하게 여겨지는 그런 느낌적인 느낌이 있습니다.

이번 대선에서 이준석이 저의 홍대병을 자극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5/25 10:46
수정 아이콘
정치를 종교나 프로야구처럼 소비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죠.

쥐를 대상으로 실험한 8:2 법칙 같은 걸 봐도 만장일치는 이뤄지지 않는 것이 사회인 것 같고요.

저도 홍대병 환자지만 정치에 있어서는 본능을 억제하고 나름의 전략적 판단을 하려고 합니다.

왜냐하면 누가 정치를 하느냐가 내 삶에 실제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죠.

예전에는 쳐다보지도 못했던 선진국들도 뒤뚱거리는 모습을 보면

우리 나라도 끊임없이 정반합을 이뤄나가야 한다는 생각이 드네요.
사조참치
25/05/25 10:49
수정 아이콘
결국 계엄이 민주당을 비롯한 의원들과 시민들의 노력으로 빠르게 종결된 덕분이기도 하죠.
계엄 진행되고 나라가 미쳐돌아가기 시작했으면 이야기는 달랐을 겁니다.
박정희가 암살당하지 않고 당초 계획대로 무력진압을 시행했으면 그에 대한 향수나 영남지역의 여론도 지금과는 방향이 많이 달랐을 겁니다. 호남의 현 여론도 전두환의 군인 투입이 현실화되기 전엔 전혀 방향이 달랐죠.
25/05/25 10:53
수정 아이콘
세대의 큰 가치에 의해 나뉘는거 같긴 합니다.
글쓴분 말씀대로 60-70이상 노인분들에게는 반공이 최고의 가치였다면 40-50(60초반포함)은 민주화일테구요.
그런면에서 보면 사실 20-30은 어떤 가치를 지향해야 하는가는 개인적으로는 좀 잘모르겠습니다
체크카드
25/05/25 10:54
수정 아이콘
문국현 찍어봤었는데 아무 의미 없더라구요
선거라는게 결국 승자독식이라 당선될 가능성이 높은 후보 중 내가 원하는 것에 가장 가까운 후보를 찍습니다
군령술사
25/05/25 10:57
수정 아이콘
응원하는 야구팀이 못해도 야구를 안보고 말지 응원팀을 바꾸는 경우는 드물어요. 정치도 비슷합니다
25/05/25 11:04
수정 아이콘
제가 주변사람들한테 자주하는 비유인데 용례는다릅니다
야구 응원팀 못바꾸는것과 지지정당 못바꾸는건 다른일이이라고 전자는 개취이고 후자는 아집입니다
군령술사
25/05/25 11:1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자가 정말 개취일까요. 부산에서 태어나면 십중팔구 롯데를 응원하죠. 모태신앙처럼요 크크크 (바로 접니다 ㅠㅠ)
지지정당을 안 바꾸는 것도 단순 아집으로 볼 문제는 아니에요. 편을 바꾸는 걸 배신자로 느끼는 문화가 꽤 강하죠.
묵리이장
25/05/25 10:58
수정 아이콘
모두가 가지고 있는 마음 속의 선민의식이라고 생각합니다.
호호할머니국밥
25/05/25 11:01
수정 아이콘
저는 특정 당을 찍기 왜이렇게 어려울까요..
완벽한 사람, 완벽한 정당을 바라는 것이 아닙니다. 실수할 수도 있고, 오판할 수도 있죠. 하지만 그것에 대해 인정하고 사과하고 반복하지 않도록 노력하는 진실된 자세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제 기준에서는 국힘은 아득히 먼길을 가버렸고 민주당은 과거의 실수를 다시 반복하느냐 벗어나느냐의 갈림길에 서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동덕여대 사건으로 참 변하기 어려운 것이 정치라는 게 느껴지네요...
사람들이 고 노무현 전대통령을 좋아하고 그리워하는 이유는 솔직했고, 인정했고, 사과하고, 상식적인 분이라 많이 그리워 한다고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제 기준에 고 노무현대통령은 그때도 맞고 지금도 맞지만 양 정당은 글세요..제가 보는 단편적인 시선에서는 그때도 틀리고 지금도 틀리네요..
(여자)아이들
25/05/25 11:04
수정 아이콘
저는 홍대병은 없지만, 만약 이 번 대선에서 발휘를 했다면 권영국을 찍었을 겁니다.
유료도로당
25/05/25 11:10
수정 아이콘
바뀌긴하더라고요..? 저희 아버지 원래 젊은시절(제가 어린 시절)엔 딱히 민정당계 정당의 열렬한 지지자가 아니었거든요. 그 이후 TK지역에 오래 살면서 종편 열심히 보시고 나이가 70이 넘으신 지금은 그냥 평범한 TK할아버님 같은 성향이 되었습니다... 나이 들면서 보수화되는경향은 분명히 있는것같긴해요.
25/05/25 11:12
수정 아이콘
정치를 숙고하는 사람이 없기 때문이죠.

선택은 바꿀 수 있는데 취향은 안바뀝니다.
사람들은 자신이 선택한다고 생각하지만 대부분은 그냥 취향입니다. 딸깍의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죠.
25/05/25 11:16
수정 아이콘
우리 사회는 지지 정당을 바꾸면 우경화되었다, 빨갱이 다되었다며 비난합니다.

이런 풍토가 유연한 생각을 더 어렵게 하는 것 같습니다
기다리다
25/05/25 11:23
수정 아이콘
본인의 사회적 포지션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은 있는거 같습니다..저희 집안 어른들 전부 70년대 운동권 출신이지만 사회생활 하시고 10년정도 안에 전부 전향하신 분들이군요..물론 사회격변기였으니 생각이 변하기도 쉬웠고 요즘은 그때보다야 안정기니 바뀌기 쉽지 않을거 같기도 합니다
빼사스
25/05/25 11:32
수정 아이콘
정치를 그나마 제대로 하는 사람이 아닌 신선한 이름들은 결국 오히려 더 사회를 말아먹을 확률이 높다는 게 지난 윤석열로 드러났지요. 기분 나쁘고 더러워도 결국 양당 중에 하나 뽑는 게 국가 안정화의 길이라고는 생각합니다. 더군다나 지금처럼 위험한 시기에는 행정부와 입법부가 협업할 수 있는 당을 뽑아주는 게 맞다고 보고요. 대선은 실험장이 아니라고 봐요. 그리고 권력은 영원하지 않습니다. 늘 그 권력을 영원히 쓰고 싶어하는 인간들이 문제를 일으키는 거죠. 민주당도 3년 동안 그런 짓을 할 기세가 보이면 민심은 빠르게 돌아설 겁니다.
포도씨
25/05/25 11: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자신의 이익보다는 이념을 따르던 시대가 가고 본인 중심의 세계관이 보편화 되어 그런것 아닐까요?
저는 전두환 막내아들과 같은 학교를 다니며 다양한 불합리함을 겪었고 그 경험이 이번 계엄을 거치며 좋아하지도 않고 내 이익의 방향과도 일치하지 않는 이재명으로 당연한 귀결이 되었지만 문민정부 이후세대들은 본인을 희생해서라도 쟁취해내야 할 무엇이 없는게 이상하지 않죠.
이준석이 더지니어스에서 해서 많은 공감을 받았던 '너만 죽으면 모두가 살 수 있다는 말에 누가 동의해 주겠어요?' 라는 말에는 일제치하부터 유신, 독재와 투쟁해온 수 많은 투사들이 배제되어 있습니다. 그들에게 운동권은 혈기어린 젊은시절 화염병 좀 던진걸로 평생 꿀빠는 꼰대들일 뿐이지 민주주의를 누리며 사는 시민으로 가지는 부채의식따윈 없죠. 노무현을 존경한다는 이준석은 언더독에서 대통령에 이르는 기적과도 같은 승리에 대한 동경이지 그 과정에서 겪어야 했던 희생과 갈등, 고뇌에 대한 이해는 없습니다.
제 아버지는 할아버지께서 한국전쟁때 납북되신 후로 9남매의 맏이로 모진 고생하시며 성장하셨고 평생을 빨갱이에 대한 적개심을 놓으신적이 없습니다. 그 곤고한 삶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것 같아 이제는 아직까지도 기득권을 지키기위해 지겨운 색깔론 펼치는 인간들의 행태를 저주할 뿐 아버지를 원망하거나 무지하다 생각하지 않습니다.
25/05/25 11:51
수정 아이콘
매우 공감합니다.
다람쥐룰루
25/05/25 11:58
수정 아이콘
남이 만들어준 큰 가치는 깎아내리고 내가 만들어낸 작은 가치는 위대하다 칭송받길 바라는 마음이 누구에게나 있습니다.
솜니움
25/05/25 12:01
수정 아이콘
정치인을 나 바쁘니까 정치 대신해 주는 도구가 아니라 아이돌로 보기 때문이죠.
도구가 뭔가 잘못하면 도구 욕을 하면 되는데 아이돌이니까 잘못을 잘못한 게 없다고 합니다.
그러면서 해례본 v1, v2를 계속 내고 기울어진 언론 탓으로 들어가죠.
쵸젠뇽밍
25/05/25 12:21
수정 아이콘
프로야구와 비슷해 보이고, 실제로 프로야구단 응원하는 것처럼 지지하는 사람들이 많죠. 근데 그건 누군가 그렇게 되기를 원했기 때문입니다.

마치 특정당만 지지하는 것이 나쁜 것처럼 사람들이 인식하죠. 특정당만 지지하는 것은 결코 나쁜 게 아닙니다. 이유가 그저 그 당이 좋아서, 혹은 상대당이 싫어서가 아니라면, 특정당만 지지하는 건 욕먹을 이유도 없고, 자연스럽고 흔한 현상입니다. 옳다고 생각하는 것이 선거 때마다 바뀌는 게 더 드문 일이죠. 근데 그걸 섞어서 그 자연스럽고 흔한 일을 욕먹을 일로 만든 거죠. 그게 자기들에게 좋으니까.

옳고그름을 따지는 것은 상당한 에너지를 소모하는 일입니다. 그래서 그게 귀찮아서 특정당 정해서 덮어놓고 믿는 사람들 많죠. 근데 은근슬쩍, 정치적 의견만 내보이고 자신과 생각이 다르면 덮어놓고 지지하는 사람으로 상대를 몰아갑니다. 그 폐해가 덮어놓고 지지하는 사람들보다 이 쪽이 더 심각하게 생각되는 수준이예요. 논의 자체를 불가능하게 만들거든요.
전기쥐
25/05/25 12:24
수정 아이콘
그래도 군사반란을 일으켰는데도 40%나 지지할 줄은 몰랐네요.
시린비
25/05/25 12:41
수정 아이콘
정말요... 국회에 군대를 끌고가서 죄다 끌어내고 지맘대로 하겠단 일이 일어나고
일부 당 사람들은 그에 동조하듯 빠져있고 한 일이 일어났는데도...
전기쥐
25/05/25 13:30
수정 아이콘
군사반란보다 더 심한 정치적 실책을 감히 상상조차 힘들기 때문에, 저 40%는 저 당이 무슨 짓을 하든 별에별 핑계를 대며 지지하실 분들이라고 생각하면 될 거 같습니다.
쵸젠뇽밍
25/05/25 15:24
수정 아이콘
아직은 모릅니다. 투표를 해 봐야 아는 거죠. 투표를 안한다면 여론조사에 기대야겠지만, 어차피 투표를 할 거니까 선거 후를 기다려봐야죠.
전 40%에서 많이 못 미칠거라고 예상 중입니다.
25/05/25 12:59
수정 아이콘
사람은 서 있는 곳에 따라서 풍경이 바뀐다고 하죠.. 좌익과 우익의 치열한 이념 전쟁을 벌이던 시절에 사셨던 분들은 당연히 기존 이데올로기를 깨부수려는 진보쪽을 싫어하실 확률이 높고 이미 민주화된 사회에서 태어난 세대들에게 민주화 운동 세대들은 그저 위에서 자신들의 앞길을 막는 장애물로 밖에 안 보이는게 당연한 이야기겠죠.. 나이를 먹어가면 먹어갈 수록 느끼는 거지만 인간은 굉장히 감정적인 동물이고 이성적으로 판단해야 하는 공약 같은 복잡한 이야기보다는 그냥 인간의 감정(위기의식, 상대편 악마화, 네거티브)을 건드리는 쪽이 훨씬 효과가 크고 빨리 먹힌다는 겁니다. 그래서 저는 갈 수록 중도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긴 합니다. 감정에 그나마 좀 덜 휘둘리고 최대한 이성적으로 판단하려고 노력을 하는 경향이 있으니깐요..
Your Star
25/05/25 17:36
수정 아이콘
현대에 탈종교, 무종교가 늘어난다고 하는데 전혀 아니에요.

그게 정당, 정치인으로 변한 거 뿐이지.
25/05/25 23:28
수정 아이콘
권영국이 아닌 이준석인 이유가 궁금해지는 글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6875 [일반] 이 사건으로 이준석 후보의 지지율이 떨어질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104] 된장까스6836 25/05/28 6836
6874 [일반] SBS뉴스 쇼츠를 보니 언론 중립성이 걱정됩니다. [44] 발이시려워4398 25/05/28 4398
6873 [일반] 이준석 형보수지까지 언급했더군요. [110] 이게대체6737 25/05/28 6737
6872 [일반] 벗겨진 두 후보의 민낯 [150] AW6940 25/05/28 6940
6871 [일반] 세상은 키보드 밖에 있다면서?? [120] ItTakesTwo7244 25/05/27 7244
6870 [일반] 민주노동당과 권영국 후보의 이준석 즉각 사퇴 요구 [188] 린버크8593 25/05/27 8593
6869 [일반] 개혁신당 선대위 부대변인 페이스북.jpg [102] 카린7295 25/05/27 7295
6867 [일반] 3차 토론 후기 [163] 카레맛똥10098 25/05/27 10098
6865 [일반] 젓가락 발언 저거 악영향 클것 같은데요 [125] 다크서클팬더10763 25/05/27 10763
6864 [불판] [불판]3번 교체할지 몰랐던 대선후보 불판 [255] 제논13719 25/05/27 13719
6863 [불판] [불판]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토론회 2차 [382] 제논18386 25/05/27 18386
6862 [불판] [불판] 제21대 대통령선거 3차 후보자 토론회 [374] 제논17560 25/05/27 17560
6861 [일반] 현재 이준석 후보의 방략은 무엇인가? [44] meson2936 25/05/27 2936
6860 [일반] KBS, MBC, SBS 대선 개표방송 패널 라인업 [51] 전기쥐2881 25/05/27 2881
6859 [일반] 한덕수 계엄선포 전 포고령 확인??? [34] a-ha4000 25/05/27 4000
6858 [일반] [단독]'이명박 황금두꺼비, 이준석 룸살롱'...'상납 장부' 덮은 검찰 [104] 물러나라Y5770 25/05/27 5770
6857 [일반] 심우정 검찰총장 딸에게 외교부가 보낸 문자 [104] 흙손5911 25/05/27 5911
6856 [일반] 소소한 대선 예측 이벤트합니다. [117] aaassdd2317 25/05/27 2317
6855 [일반] 이재명 "국산 e스포츠, 국제대회 채택 위해 적극 뒷받침 할 것" [37] 카레맛똥3069 25/05/27 3069
6854 [일반] 경찰, '내란 혐의' 한덕수·최상목 출국금지 [72] 전기쥐4912 25/05/27 4912
6853 [일반] 특정 인터넷 커뮤니티를 모니터링 하면서 정치하는 대선후보 [241] 마라떡보끼8263 25/05/27 8263
6852 [일반] 이준석, 오후 2시20분 긴급 회견…김문수에 사퇴 요구할듯 [226] 전기쥐11208 25/05/27 11208
6851 [일반] 친윤 윤상현 선대위원장 기습 임명, 친한계 반발 [38] 빼사스4302 25/05/27 430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