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2/03/11 17:07:40
Name Leeka
File #1 55Auvc0n2gkQgIaaWoYace.jpg (95.9 KB), Download : 22
Subject [일반] 부동산은 서울 표심에 얼마나 영향을 줬을까? (수정됨)


* 편의상 민주당 / 국힘이라고 정당명은 쭉 기재함


-> 2012년 대선,   민주당 20 : 5 국힘




1646986118_2PgZtVcNiM2UWYgKaEUcIK.png


-> 2017년 대선,   민주당 25 : 0 국힘


1646986101_4h0kMoZU6AwoAom8cc22cM.jpg


-> 2018년 지선.    민주당 24 : 1 국힘


1646986082_7AEDZ3SCAwwYecoiAeckQc.jpg

-> 2020년 총선 -> 강남 3구 + 용산 빼고 모두 민주당 승리 (송파도 병은 민주당 승) 



1646986060_zQ81WCIh20WAMMKis0Wku.jpg

-> 그리고 이번 선거.   민주당 11 : 국힘 14


서울시 평당 집값 1~13위 지역에서 모두 국힘이 이겼으며

서울시 평당 집값 16~25위 지역에서는 모두 민주당이 이겼습니다. 

(직전 서울시장 보궐에서도 오세훈이 이긴게 서막..)



서울이 윤석열로 넘어간 지분엔 부동산이 상당히 높습니다.

심플한 근거로는 넘어간 14개 구중 13개 구가 집값으로 줄세우면 1~13위라는..


4년전에만 해도 강남/송파까지 민주당이 이겨서 구청장을 민주당에서 올렸다는점..

박원순이 3선을 했다는 점.

대선에서 항상 민주당이 이겼다는 점..

총선도 민주당이 이겼다는 점..

을 생각하면...   


다른 이슈들도 많았지만. 서울의 향방의 결정타는 결국 부동산이 갈랐다는걸 보여주지 않나 싶네요. 


탄핵 버프를 빼고 보더라도 강남3구+용산 정도를 제외하면 민주당이 꾸준히 이기던 곳이였는데 절반이 넘어간거라서.. 




(그런면에선 개인적으론..

이재명은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더 강하게 밀어붙일것으로 보이는게

서울 유권자들에게는 가장 큰 결함이 아니였을까 하는 생각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ifewillchange
22/03/11 17:14
수정 아이콘
한강벨트가 진짜 빡친게 보이죠. 외곽지역은 절대 오를리가 없는곳이 올랐고...
22/03/11 17:26
수정 아이콘
한강벨트 빡친건 올라서 그런게 아니라 더 오를수 있는걸 막아서 그런거구요. 많은 분들은 빡쳐서 그런겁니다. 지근 정부 부동산 정책에 사람들 불만은 많고 표심은 하나로 집결했지만 원하는 해결책도 다르고 불만의 이유도 다르다 봅니다
22/03/11 18:13
수정 아이콘
한강벨트에서 투표권 있는 분들이 모두 자가인 것은 아닙니다. 전세로 사는 분들도 많아요.
리켈메
22/03/11 20:43
수정 아이콘
잠실, 강남, 용산, 여의도 사는 분들중에 전세가 절반이에요
StayAway
22/03/11 17:31
수정 아이콘
마용성까지만 넘어간거면 그려러니 하겠는데 동대문까지 깨졌으면 할 말없죠.
쿼터파운더치즈
22/03/11 17:34
수정 아이콘
전 솔직히 부동산이 결정적인 이유인지 잘 모르겠는게
문재인정부 실책으로 꼽히는 부동산정책들이 대부분 17~19에 나왔고 총선이후에 실시한건 임대차관련 법 정도에요
이미 폭등에 불만 최고조에 김현미 장관 욕 엄청 먹을때가 2019년인데 이후 오히려 180석 먹었죠
대선에 분명 영향을 미친건 맞지만 그게 결정적 요인은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22/03/11 17:58
수정 아이콘
그 때까진 역치를 넘어가진 않았고 이전 정권 탓이라는 변명도 어느 정도 통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180석 먹은 이후 임대차3법으로 더 이상 전 정권 탓을 할 수 없는 폭등을 경험시켜 주고, LH 사태로 마침표를 찍어 준 거 같네요. 그 이후로 더 이상 전 정권 탓을 안하고 세계적 추세라고 말이 바뀌더군요.
양을쫓는모험
22/03/11 18:06
수정 아이콘
저는 그 임대차 3법이야말로 현 정권이 명줄을 스스로 끊은 정책이었다고 봅니다. 그 법을 기점으로 전월세가 어마어마하게 올랐거든요.
근데 그 오른 전월세를 감당해야 하는 게 2+2가 끝나는 올해 하반기부터입니다.
Grateful Days~
22/03/11 18:14
수정 아이콘
2020년초에 약간 소강상태로 슬슬 잡혀가나 싶었는데 민주당이 총선 승리하고 나서 전문가들이 안된다고 하는 임대차3법을 관철시켜서 2차 폭등을 만들어버렸습니다.

결정적인 원인이 맞아요.
22/03/11 17:39
수정 아이콘
우스게소리인데요. 평당집값 1-13위는 집값이 더 올랐으면 민주당을 더 지지해야 하지 않나요? 보유세가 많아서 그런거겠죠?
라울리스타
22/03/11 17:57
수정 아이콘
천만 서울 시민 중 우리나라에서 부동산 가치를 인정받는 '아파트' 자가보유자들도 있지만, 세입자들도 만만치 않게 많죠. 게다가 서울은 다른 수도권 도시들에 비해 빌라, 다세대 주택 비율이 높은 도시이기도 하구요.

아파트 커뮤니티 같은데 활발하게 활동하는 친구 말 들어보니 같은 단지에 세입자로 사시는 분들이 더 많이 화났다고 하더라구요. 이 분들은 집을 사려면 이제 아예 다른 동네로 이사를 가야 가능한 일이 되어버렸으니...
양을쫓는모험
22/03/11 18:08
수정 아이콘
전월세 사는 사람들이 있고, 집값이 오르면 전월세도 따라 오르니까요.
22/03/11 18:14
수정 아이콘
투표권 있는 분들이 모두 자가인 것도 아니고, 설사 자가라고 하더라도 대개는 더 좋은 곳으로 갈아타고 싶어하는 분들이 많은데 집값이 너무 오르면 그게 힘들어질 뿐더러 세금만 더 내게 됩니다.
22/03/11 21:18
수정 아이콘
그 우스게소리 반대로하면
민주당덕에 앞으로 수도권 집못사게 되었는데
1번찍으신분들은 왜 민주당지지하나요
집있는분들 보유세 더 걷어서 마음의 위안이라도 삼나요
내맘대로만듦
22/03/11 22:59
수정 아이콘
1주택자들은 올라도 나갈수가 없는데 세금만 더내니 썩 좋지도 않다...고하더라고요. 물론 저는 없어서 모릅니다
22/03/11 17:46
수정 아이콘
설문 한 번 해보고 싶네요.
1. 집값이 20%만 낮았어도 민주당 찍었을 거다 VS 2. 집값 그대로라도 조국, 윤미향 등 적폐만 짤랐어도 민주당 찍었을 거다.
3. 그런거 없다. 난 무조건 야당 찍었을거다.
22/03/11 17:55
수정 아이콘
저는 1번에 한표입니다...
Grateful Days~
22/03/11 18:17
수정 아이콘
전 2번. 20%가지고는 두배 세배오른 지역이 커버가 안됩니다.
AaronJudge99
22/03/11 20:17
수정 아이콘
저는 집값이랑 윤미향 페미 둘다 화나서 국힘쪽으로 튼 거라서..저는 3번이겠군요
세종대왕
22/03/11 18:03
수정 아이콘
서울에 거주하는 투표권자 중에 자가를 가진 가진 투표권 수 보다 월세 전세를 사시는 분들이 더 많을 텐데
이번 정부 부동산 헛발차기에 내 집도 아닌 거주지가 하루가 다르게 집 값이 오르며
상대적 박탈감을 코앞에서 겪었을테니빡칠만 하죠.(저 포함)
22/03/11 18:08
수정 아이콘
제 주변에 친민주당에서 돌아서서 이번에 2번 찍은 분들은 전부 부동산이 주요한 원인이었어요.
솔직히 지금같은 부동산 가격 정체하락기가 6개월만 빨리 왔어도 이재명후보가 되었을거라 생각합니다.
22/03/11 18:12
수정 아이콘
문정부가 급하니까 대출 강제로 막아서 가격 정체하락기가 온거져
대선까지만 버티려는 임시방편이니 6개월 더 일찍 대출 막긴 무리수가 있었죠
양을쫓는모험
22/03/11 18:17
수정 아이콘
솔직히 임대차 3법만 안했어도 민주당이 20년은 했을겁니다. 근데 막판에 현 정권 정책 다 무효화시키면서도 임대차 3법만은 안건드리더라고요.
뭐.... 깨닫지 못하면 망해야죠.
Grateful Days~
22/03/11 18:18
수정 아이콘
후보만 미투터지기전의 안희정이었어도 임대차3법이고 뭐고 손쉽게 이겼을겁니다.

그만큼 윤석열 후보에 대한 못미더움이 굉장히 컸어요. 상대가 이재명이어서 그나마 이긴거지..
22/03/11 18:15
수정 아이콘
부동산 아니었으면 정권교체 없었다고 봅니다. 어떻게 생각하면 김수현, 김현미에게 감사해야 할수도.
Grateful Days~
22/03/11 18:32
수정 아이콘
이정도 경험이면 앞으로 민주당쪽이 대선이기면 무조건 부동산 사야합니다.
22/03/12 00:14
수정 아이콘
저는 그렇게 하고 있긴 합니다.
22/03/11 18:39
수정 아이콘
구단위로 보면 민주당 우위지만 구역 내 동별로 보면 재개발이 완료된 신축 아파트들이 몰려있는곳은 2번이 높고 아닌 곳경우 1번이 높습니다.
1번이 제안한 부동산 공약은 사실 문재인정부 매운맛버전인데 지지 못하죠.
아스날
22/03/11 19:03
수정 아이콘
우스게소리로 부동산 공부할 필요없고 20대 대선 서울 지역별 지지율만 보고 사면 된다더군요..
AaronJudge99
22/03/11 20:18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
22/03/11 20:22
수정 아이콘
서울뿐 아니라 각 지역도 기초단체 단위로는 비슷할거 같아요. 광역단체 단위는 지역성이 좌우하지만
비회원
22/03/11 20:34
수정 아이콘
부동산(관련 세금)때문에 열받아서 투표권 생긴지 30년만에 처음으로 국힘 찍었습니다.
애플리본
22/03/11 20:38
수정 아이콘
의도적으로 집값을 올렸다고 보기 힘든 이유 중 하나죠.
리켈메
22/03/11 20:44
수정 아이콘
어느정도 갈라치기 의도는 있었으나 예상했던것보다 더 올라버린게 문제
애플리본
22/03/11 20:47
수정 아이콘
저도 신념으로 갈라치다가 예상치 못하게 올랐다고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884 [일반] 이재명 후보가 3일전에 각 커뮤니티에 올린 홍보영상. [47] 달리와9220 22/03/11 9220
5883 [일반] 원희룡은 영리병원의 선구자인가? [47] 아이n7433 22/03/11 7433
5882 [일반] 흥미로워 보이는 민주당 당원 가입 폭증 [98] 치느11708 22/03/11 11708
5881 [일반] 이번 대선후기 왜 2번을 선택했는가? [15] TAEYEON6609 22/03/11 6609
5880 [일반] 20대 초선의원 전용기가 민주당에서 살아남는 법 [54] 난포7502 22/03/11 7502
5879 [일반] 개그 원고로 끝나버린 취임사… 이미지가 ‘문재인 보유국’ 만들었다 [92] 미뉴잇9436 22/03/11 9436
5878 [일반] 대통령 당선자를 디스하는 다큐(MBC)는 처음보네요. [50] Alan_Baxter9702 22/03/11 9702
5877 [일반] 이재명이 서울시장에 도전한다면?? [93] 느조스7525 22/03/11 7525
5876 [일반] 피바람이 예상되는 여론조사 업계.. [31] Darkmental7132 22/03/11 7132
5875 [일반] 호남 지역은 어째서 민주당이 압도적인 우세일까? [140] 지나가던S8750 22/03/11 8750
5874 [일반] 0.7%가 지선으로 가면 142:84가 됩니다. [54] Leeka10323 22/03/11 10323
5873 [일반] 틀릴 가능성이 매우 높은 향후 선거 예측. [86] Crochen8023 22/03/11 8023
5872 [일반] 부동산은 서울 표심에 얼마나 영향을 줬을까? [35] Leeka5725 22/03/11 5725
5871 [일반] 다음 대선을 예상해 보자 [122] 퇴사자8620 22/03/11 8620
5870 [일반] 윤석열이 정권교체 열망을 가장 못담은 세대는 어디일까? [21] 사이먼도미닉9396 22/03/11 9396
5869 [일반] 이재명을 지지하는 20대 남자 [135] 봄날엔10988 22/03/11 10988
5868 [일반] 지극히 개인적인 19대 대선까지, 그리고 이번 20대 대선의 기억 [3] 행복을 찾아서4658 22/03/11 4658
5867 [일반]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을 다시 돌아봤습니다. [144] 설탕가루인형형12763 22/03/11 12763
5866 [일반] 야당 지지 입장에서 정말 분노를 느끼게 했던 여당 집단, 인물들 [84] Alan_Baxter12908 22/03/11 12908
5865 [일반] 정치 그리고 리더와 책임 [15] 한사영우5909 22/03/11 5909
5864 [일반] 21세기 이후로 20대의 투표 경향를 봤습니다 [31] 사이먼도미닉8648 22/03/11 8648
5863 [일반] 의료민영화) 하루만에 시작된 가짜뉴스 공세 [156] 25cm12552 22/03/11 12552
5862 [일반] 주 52시간제 이야기와 주 120시간 공약 [55] 딸기8604 22/03/11 860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